1. 사람의 청각 특징

  - 사람의청각은물리적으로동일한세기(음압, Sound Pressure)를가진 소리라 할지라도음의 주파수, 음의 시간 등에따라 다른 느낌을가짐
  - 1kHz~5kHz 범위의소리에 대한 감도가 높고, 낮은 주파수에 대한 감도가낮음
  - 음압이 작아질수록 저음에 대한 감도는 떨어지며, 음압이 높을수록 주파수에 대한 특성이 평탄함

 

2. Loudness

  - 기존 레벨 미터(PPM, VU 미터링)로는 사람의 청각에 따른 정확한 음량 측정이 어려움

 - 청각 특성을 기반한 사운드 크기 측정 시작

 - 라우드니스는 음량의 청각적인 크기를 나타내며, 사람의 귀는 주파수 대역별로 평탄하게 들리지 않으므로 그러한 특성을 반영한 음량 기준 (단위 : LKFS)

 - 객관적 오디오 음량 측정 국제 표준 발표( ITU-R Rec. BS. 1770-1(2006) )  

 - 음량 측정 단위 : LKFS(Loudness K-scale below Full Scale)

 - 2010년 3월 ITU에서 국제 프로그램 교환시 음량을 -24LKFS로 할 것을 권고한 이후, 국가별 음량 규제의 기준으로 삼고 있음


 

3. Loudness 도입 필요성

 - 아날로그 시대에서는 음량 규제 존재

 - 디지털 시대로 전환되면서 방송 음량 편차 심화

 - 방송사간 과도한 레벨 경쟁

 

4. 방송법 개정

  - 표준음량:  -24 LKFS ±2dB ( -26 LKFS ~ -22 LKFS )

  - 광고를 포함한 모든 프로그램에 적용

  - 지상파, 케이블TV, 위성방송의 디지털 방송에 적용함(2016년 5월부터 시행 중) 

  - 프로그램단위로 규제적용

 

'Multimedia > 압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MVC(Multiview Video Coding)  (0) 2016.06.09
영상압축기법_작성  (1) 2016.06.02
단답형>MPEG-21  (0) 2015.10.26
심리청각특성, 오디오 신호의 압축방식  (0) 2015.10.04
단답형>SVC(Scalable Video Coding)  (0) 2015.10.04
Posted by 둔탱이
,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2. LDM

3. Transmitter/Receiver 구조

4. FDM/TDM/LDM 비교

 

 

 

1. 개요

 - 현재의 방송시스템은 모바일 방송을 지원하지 못하고,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적응력이 떨어지는 한계를 보이고 있음

 -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스펙트럼의 효율을 높이고 유연한 스펙트럼 사용을 지원하는 기술이 LDM

 - ATSC 3.0의 물리계층 기술로 채택

 

2. LDM

 - LDM(Layered Division Multiplexing)

 - 여러 개의 스트림데이터를 하나의 RF채널에서 전송하기 위해 스펙트럼을 중첩시키는 기술

 - 각 스트림 데이터는 각각 다른 파워레벨, 채널코딩, 변조기법을 갖음

 - 하나의 RF 채널에서 4K UHD 및 이동 HD 서비스를 동시에 지원

 - 차후에 더 많은 계층을 올릴 수 있음

 Layer

 내용

 Upper Layer

 SNR threshold가 0에 근접

 모바일 서비스

 Lower Layer

 Upper layer 보다 약 3dB~6dB 아래 중첩

 다채널 HD 또는 UHD 방송

 고정 수신

 

 

3. Transmitter/Receiver 구조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qkrtmddn10&logNo=220473262501

 

 

 

4. FDM/TDM/LDM 비교

 - 각 진영 별 서로 다른 방식을 이용한 모바일 방송 구현

 - DVB-T2: TDM 방식 이용

 - ATSC 3.0: LDM 방식 이용

 - ISDB: FDM 방식 이용

 

 

 5. DVB-T2의 다채널 구현 방식

   - Multiple PLP(Physical Layer Pipes)

  - 모든 PLP는 개별적으로 변조, FEC 코드레이트 및 인터리빙 가능

  - 하나의 DVB-T2 채널로 모든 PLP는 같은 주파수로 방송

  - TDM 방식임

 

  - Block Diagram

 

 

 

 

 

http://www.ldm-tech.com/index.php/basics/benefits/

LDM-presentation.pdf

'Multimedia > 차세대방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ATSC 3.0 시스템 프로토콜  (0) 2016.06.02
ATSC 3.0 전송규격  (0) 2015.12.02
증강현실  (0) 2015.09.20
스마트 TV의 주요 특징과 서비스 기술, Smart TV 1.0과 2.0을 비교 설명  (0) 2015.09.19
3DTV  (1) 2015.09.19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2. TTI(Traffic & Traveller Information)의 진화 

3. TPEG 서비스의 구성

4. TPEG의 주요 서비스

5. TPEG의 주요 기술 및 문제점

 

 

1. 개요

 -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은 실시간 교통정보와 여행자 정보 등을 DMB 데이터 방송 신호에 실어 DMB 수신모듈과 TPEG 솔루션을 장착한 내비게이션 단말기로 보여주는 기술의 표준규격

 - 디지털방송 매체를 통해 교통 및 여행 정보를 전송하는 표준 프로토콜임

 

2. TTI(Traffic & Traveller Information)의 진화

 

 

3. TPEG 서비스의 구성

http://m.blog.daum.net/rubicono/539593

 - TPEG 서비스를 위해서는 TPEG 단말기, 교통정보수집장치, 실시간 데이터 전송으로 구분함

 - 콘텐츠 제작공급업체는 고객에게 전달할 교통정보를 수집, 가공하여 방송사업자에게 제공

 - 이때 TPEG 생성기는 전달할 정보를 TPEG 프로토콜에 맞게 변환하는 기능

 - 디지털 방송사업자는 디지털 방송신호와 교통정보를 고객들에게 방송

 - 방송신호를 수신한 단말기는 TPEG 디코더를 통해 방송신호에서 교통정보를 분리하여 단말기에 표시해줌

 - 국내에서는 T-DMB를 이용한 BIFS 데이터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TPEG 서비스 실시

 - TPEG과 타 서비스 비교

 

4. TPEG의 주요 서비스

 서비스 종류

 기능

 혼잡교통정보

- 도로상황을 지도에 표시

- 한 눈에 도로정보를 확인할 수 있음

 안전운전정보

- 파손도로, 결빙, 터널 등 사고방지를 위한 정보 제공

- 과속적발장치의 위치정보제공으로 과속 방지

 관심지점정보

- 음식점, 주유소 등 위치 정보 제공 

 뉴스정보

- 각종 뉴스와 공지사항, 행사안내등 정보 제공 

 유고정보

- 갑작스런 사고 안내, 차량 우회 정보 제공 

 버스운전정보

- 실시간 버스 운행정보 

 멀티미디어정보

- 주요상황을 문자나 그림이 아닌 영상으로 제공 

 

5. TPEG의 주요 기술 및 문제점

 가. TPEG의 주요기술

 단말기 기술

 교통정보수집 기술 

 교통정보 전송기술 

 기존 TDMB 단말에 TPEG용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여 사용함

 도로공사 등으로부터 광범위한 교통정보 수집 요망

 지상파 방송사들의 T-DMB 인프라 사용함

 

 나. TPEG 서비스 문제점

   - 유료 서비스에 따른 소비자들의 거부감

   - 수익성 있는 비즈니스 모델 부재

   - 스마트폰 보급으로 인해 DMB/TPEG 서비스 차별화 시급

   - 핵심기술은 대부분 유럽 DAB 기반, 핵심기술의 국산화 필요

   - 교통 정보 수집 지역의 제한 및 수집방식 미흡

'Multimedia > 이동휴대방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AT-DMB  (0) 2016.05.27
이동체 멀티미디어 통신기술에서 코덱의 표준화 현황  (0) 2015.09.19
단답형>SFN과 MFN  (0) 2015.09.19
지상파 DMB  (0) 2015.09.19
디지털TV 및 DMB 방식  (0) 2015.09.19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2. MPEG-21 주요기술 

3. MPEG 표준 비교

4. MPEG-21 응용분야

 

 

1. 개요

  - MPEG은 디지털 콘텐츠(동영상, 소리, 사진 등)에 대한 저장, 압축, 전송, 검색, 저작권 보호등에 대한 표준임 

  - MPEG-21은 Multimedia 콘텐츠를 생산, 유통, 소비함에 있어 필요한 전반적인 프레임워크를 정의

 

2. MPEG-21 주요기술

  - 디지털 품목 선언: 분배 및 처리에 기본이 되는 디지털 아이템의 정의

  - 디지털 아이템 식별자 부여: 디지털 품목에 하나의 유일한 식별자를 부여하는 표준

  - 콘텐츠 표현 기술

  - 디지털 품목 관리와 사용: 디지털 품목의 생성에서부터 소멸까지의 생명주기 사이에 필요한 인터페이스와 전송규약
의 표준

  - 저작권 관리 및 보호

  - 단말 및 네트워크 기술 : 사용자가 단말기와 통신망의 기술적인 사항을 의식하지 않고, 콘텐츠를 서비스 받을 수 있
도록 하는 것을 목표

   - 이벤트 리포팅

 

 

3. MPEG 표준 비교

종류 

 용도

 비트레이트

 비고

 MPEG-1

 동영상 저장용

 1.5Mbps

 비디오, CD, MP3

 MPEG-2

 동영상 저장용, 방송용

 4~80Mbps

 HDTV, DVD

 MPEG-4

 이동영상전화

휴대용 멀티미디어 방송

 10,24,48kbps

 

 MPEG-7

 콘텐츠 검색

 

 

 MPEG-21

 콘텐츠 전자상거래

 

 

 

 

 

4. MPEG-21 응용분야

 - 전자 상거래, 전자 도서관 등

 - 디지털 콘텐츠 저작권 보호

 

 

JTGHBY_2002_s82_67.pdf

Posted by 둔탱이
,

오디오 또는 음성신호를 압축할 수 있게 하는 심리청각 특성을 설명하고 오디오 신호의 압축방식을 설명하시오

 

1. 개요

-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기 위해 표본화, 양자화, 부호화 과정을 거침

     - 원음의 충실도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부호화된 데이터 양을 줄이기 위한 기술이 압축임

     - 압축 방식에는 무손실 압축 기술과 심리청각 특성을 이용한 압축 기술이 사용됨

 

 

2. 심리청각특성

  - 인간의 감각특성은 최소가청한계와 마스킹 특성이 있음

  가. 마스킹 특성

     - 강한 음과 약한 음이 동시에 발생되면 약한 음을 들을 수 없는 현상

     - 마스커란 것은 방해하는 음을 말하는 것이고 마스키는 방해받는 음

     - 방해음때문에 목적음의 최소가청한계가 높아지게 됨

     - 동시적 마스킹(Simultaneous Masking, 주파수영역에서 마스킹), 순시적 마스킹(Temporal Masking, 시간영역에서 마스킹)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hester_kor&logNo=50119821955

  나. 최소가청한계 

     - 최소가청한계는 잡음이 없는 환경에서 인간이 감지할 수 있는 최소음압레벨임

     - 인간의 청음대역: 20Hz~20kHz, 1~4kHz 대역에서 가장 민감

 

 

3. 오디오 압축 원리

 

  가. 가변장 부호화(엔트로피 부호화)

      - 신호의 통계적 중복성을 제거하여 정보를 효율적으로 압축

      - 원신호와 재생신호가 동일하기 때문에 정보의 손실이 전혀 없음(Lossless)

  나. 지각부호화(Perceptual coding)

      - 신호를 받아들이는 인간의 감각특성을 이용해서 감도가 낮은 세부의 정보를 생략하여 부호량을 절감

      - 지각부호화에서는 원신호와 재생신호가 다르지만 인간의 귀로 듣는 경우에는 동일하게 들림

      - 지각적 오디오 파형 부호기

 

 

   - 청각심리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서브밴드로 오디오 주파수 대역을 세분화함

   - 다음 각 대역별로 청각심리모델을 적용하여 양자화함

   - 양자화된 결과에 대해서 최종적으로 부호

 

4. Digital 오디오 표준 규격

구분 

 표준

 오디오 지원 채널

 기타

 MPEG

 MPEG-1

 Layer-1

 MPEG-1 Part 3

 스테레오

 

 Layer-2

 스테레오

 

 Layer-3

 스테레오

 mp3

 MPEG-2 

 MPEG-2 Part 3, MPEG-2 BC(Backward Compatible)

 5.1 채널

 

 MPEG-2 AAC

(Advanced Audio Coding)

 MPEG-2 Part 7,

MPEG-2 NBC(Non-Backward Compatible)

 48채널까지 확장 가능

 mp4

 MPEG-4 AAC

 MPEG-4 Part 3

 여러개의 Sub part  있음

 

MPEG-4 HE AAC:

대역폭 확장기술의 하나인 SBR(Spectral Band Replication) 알고리즘을 MPEG AAC와 결합

 

Dolby 

 AC-2

 

 스테레오

 

 AC-3

 

 5.1채널

 지상파DTV

 Dolby-E

 

 8개 채널

 돌비에서 다채널 전송용으로 개발

 

 

 

 

MP4_HE-AAC.pdf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2. 개념도

3. 맺음말

 

 

Ⅰ. 개요
- H.264 SVC 기술은 ITU-T와 ISO/IEC의 JVT(Joint Video Team)에 의해 2007년 표준화된 동영상 압축 기술임.
- SVC(Scalability Video Coding)는 계층적인 코딩방식으로 하나의 비트스트림으로 다양한 네트워크와 단말이 존재하는 수신 환경에서 공간적, 시간적,품질적 스케일러빌러티를 통해 다양한 해상도, 프레임율, 화질을 갖는 영상을 서비스 할 수 있는 압축 기술임.
- SVC는 무선, 모바일· 와이브로 네트워크 환경이 혼재된 UC (Unified Communication)와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 상황하에서 이동 방송, HD(High Definition)방송은 물론 IP-TV 방송을 동시에 서비스할 수 있음.

 

 2. 개념도

  - 기존의 비디오 코딩은 고화질 영상을 소비하는 단말기를 위해서는 고화질 영상을, 저화질 영상을 소비하는 단말에는 저화질 영상을 별도로 전송해야 하였으나, SVC는 한번의 인코딩을 통하여 고화질이나 저화질 영상이나 고화질 영상을 동시에 OSMU(One Source Multi Use)서비스를 가능하게 함.

 

 

3. 맺음말

 - SVC는 한번의 인코딩으로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과 단말에 적응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동영상 압축기술임

 - SVC는 휴대폰, PC, 디지털 TV에서 연속적으로 방송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3-SCREEN의 핵심 압축 기술임

 

 

<참조>

김기남 공학원 93회 기출문제 풀이

'Multimedia > 압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답형>MPEG-21  (0) 2015.10.26
심리청각특성, 오디오 신호의 압축방식  (0) 2015.10.04
단답형>HEVC  (0) 2015.09.22
단답형>MMT(MPEG Media Transport) 계층 구조  (0) 2015.09.21
디지털 영상  (0) 2015.09.18
Posted by 둔탱이
,

STM-1급의 MSPP 장비를 채택한 M/W 전송시스템을 설계할 때 신호처리를 포함한 시스템 계통도 및 주요기술을 설명하시오

(단, UHD TV 45[Mbps], DTV 20[Mbps], DMB 2[Mbps], 이더넷 50 [Mbps] )

 

1. 통신네트워크 구성

- 유선장비(MSPP)와 무선통신(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해 신뢰성있는 장거리 통신시스템 구축가능

- MSPP는 다양한 인터페이스처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고,

- 마이크로웨이브는 LOS(가시거리)환경에서 원거리, 고속전송이 가능함

- SDH 전송프레임 속도는 STM-1 (155.52Mbps)이므로, 입력신호 (45M + 20M + 2M + 50M =117Mbps)를 충분히 수용가능함

 

2. MSPP와 마이크로웨이브 시스템 계통도 

 

http://cafe.daum.net/impeak/Pthm/1?q=%C1%A4%BA%B8%C5%EB%BD%C5%B1%E2%BC%FA%BB%E7&re=1

 

3. 주요기술

1) MSPP

  - Multi-Service Provisioning Platform

  - 모든 서비스를 통합하는 하나의 기술이 아니라, 여러 기술 또는 계층을 단지 하나의 장비에서 통합 구현하는 방식

  - 다양한 인터페이스 지원: 기존의 동기식 뿐만 아니라, IP 트래픽까지도 처리 가능

                                         SDH Interface: STM-1/4/16/64 등 STM-n 또는 OC-n

                                         PDH Interface: DS-1/3 등 DS-n

                                         기가비트 이더넷 인터페이스:GbE

                                         SAN(Storage Area Network) 인터페이스

                                         ATM 및 DWDM 인터페이스 등

  - 다양한 형태의 망구성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이고 단순한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

  - 고용량 SDH 신호 스위칭 기술

  - Layer-2 스위칭 기능을 제공하여 Ethernet 서비스의 통합수용이 가능하다

 

2) 마이크로웨이브의 주요기술

- LOS(Line Of Site) 가시거리가 확보된 네트워크 구성이 되어야 함

- 방송망에서 많이 사용

- 마이크로웨이브 주요기술 

 신호처리 기술 

 - STM(TDM Frame)신호를 마이크로웨이브 신호로 변환하는 기술이 요구됨

 - 변조 방식으로 128QAM 방식 등 사용

 - 고성능 증폭기 기술 과 고속 신호처리 기술을 요함

 안테나 기술

 - 고지향성 확보를 위한 안테나 사용

 다이버시티 기술

 - 페이딩 극복

 - 전송 신뢰성 향상

 

 

3. 네트워크 구성시 요구사항

- 전송용량 보다 네트워크 채널용량이 더 크게 설계되어야 함

- 네트워크 구성이 유선(고가격, 고신뢰성) 또는 무선(저가격, 중신뢰성)이 유리한지를 판단 해야 함

- 네트워크 구성시 OPEX(유지보수비용), CAPEX(설비비용)를 고려해 설계해야 함

- 향후 확장성 및 처리속도 증가 등을 고려해 미래 지향적인 네트워크 구성을 해야 함

 

 

- 끝 -

 

Posted by 둔탱이
,

1. 개 요

- CCTV(Closed Circuit TV)는 폐쇄회로TV

-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1:1배선 또는 IP를 이용한 LAN네트워크 구성이 있음

- CCTV의 주목적은 보안, 방범, 화재감시 등에 주로 사용됨  

- IP카메라 구성도

     카메라, NVR(Network Video Recorder), 저장장치, View화면으로 구성됨

http://www.viewrunip.co.kr/board/board.php?board=newsletter&command=body&no=24

2. 옥외 CCTV 구성도

가. 옥외 CCTV구성 

- 옥외 Pole, 옥외함체, 옥외용 CCTV, 옥외용 전원, 옥외용 통신회선, 옥외용 접지, 옥외용 SPD, 피뢰침 등으로 구성됨


http://it.news.danawa.com/News_List_View.php?nSeq=2883157&nBoardSeq=64

3. 옥외 CCTV 낙뢰 유형 및 대책

가. 낙뢰 피해 유형 

 -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뇌해는 감시 카메라나 감시장치 등의 기기에 접속하는 금속 케이블에 뇌서지가 침입해 발생

 - 이 뇌서지는 건물 등에 직접 낙뢰가 있었을 경우(직격뢰)뿐만 아니라 시스템 부근에 낙뢰가 있었을 경우에도 그

영향으로 인한 전자유도로 인해 금속 케이블에 뇌서지가 침입한다(유도뢰)

 낙뢰 유형

특 징 

 직접뢰 

 . 건물이나 외부 Pole에 직접적으로 낙뢰피해가 가해짐

 . 화재나 폭발이 가능해 건물이나 외관에 문제가 발생됨

 . 직접뢰에 의해 유도뢰 또는 간접뢰 문제가 발생됨

유도뢰

 . 전력선에 낙뢰가 발생되어 통신장비 , CCTV장비에 영향을 미침

 . 통신선에 낙뢰가 발생되어 통신장비, CTV장비에 영향을 미침

 . 주 원인은 직접뢰에 의한 유도현상 과 접지 전위차에 의한 유도가 있음

 

 

  1) 접지선 상승으로 인한 피해

   - 피뢰침에 낙뢰가 있었을 경우 뇌전류가 피뢰침에서 접지로 방류됨으로써 피뢰침용 접지의 접지전위가 상승하고 각

기기의 케이블과 접지 사이에 큰 전위차가 발생



http://www.hellot.net/new_hellot/search/search_magazine_read.html?idx=11267&page=1


   2)바닥 상하간의 전위차로 인한 뇌

     - 건물에 낙뢰가 있었을 경우에는 뇌전류가 접지로 흐를 때 뇌전류의 일부가 철근·철골로 흐르고 그 임피던스로

인해 바닥 상하간에 전위차가 생기는 일

http://www.hellot.net/new_hellot/search/search_magazine_read.html?idx=11267&page=1


  3) 유도뢰에 의한 낙뢰

    - 감시 카메라 시스템 부근에 낙뢰가 있었을 경우 전자유도로 인해 케이블에 뇌서지가 침입하는 일

http://www.hellot.net/new_hellot/search/search_magazine_read.html?idx=11267&page=1



나. 낙뢰 대책

대 책

특 징 

 접지 

 . CCTV 외부 Pole 과 외부함체에 대한 접지를 실시함

 . 건물내 Main Mash접지와 연결함

 . 기술기준에 의해 1종접지 (10옴이하)를 실시함  

SPD

 . SPD (서지보호장치)로 낙뢰가 인입되면 장비(CCTV)로 인입되지 않고, 접지로 빼주는 역할

 . 과전압에 의한 서지보호가 가능함 

피뢰침

 . CCTV Pole 이나 건물에 직접 낙뢰가 가지 않도록, 피뢰침을 이용함

 . 피뢰침은 접지와 1:1로 접속되어 낙뢰후에 바로 접지로 빠짐

 

4. CCTV기술 동향

- CCTV는 방범, 보안 등에 매우 유용한 장치이지만 사생활 침해라는 이슈가 제기되고 있음

- 최근의 CCTV는 IP 카메라를 사용해 간단한 네크워크 구성이 가능함

- CCTV는 방범, 보안에 매우 중요한 장치로 낙뢰피해, 전원잡음피해, 무중단 이 매우 중요함

- 최근 지능형 CCTV를 사용해 침입인식, 화재인식, 속도인식 등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음.

 

- 끝 - 

 


<참조>

http://www.hellot.net/new_hellot/search/search_magazine_read.html?idx=11267&page=1

http://cafe.daum.net/impeak

Posted by 둔탱이
,

1. 개 요

2. 적합성 평가 요구사항

 

 

1. 개 요

- 전파법 제58조의 2에 근거해 방송통신기자재를 제조 또는 판매/수입 하는 자는 해당

기자재에 대한 적합인증, 적합등록, 잠정인증을 받아야 함

 

2. 적합성 평가 요구사항

가. 평가항목 및 대상

① 적합인증 : 전파환경 및 방송통신망 등에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기자재와 중대한 전자파장해를 주거나 전자파로부터 정상적인

동작을 방해받을 정도의 영향을 받는 기자재를 제조 또는 판매하거나 수입하고자 하는 경우

 

② 적합등록 : 적합인증 대상이 아닌 방송통신기자재등을 제조 또는 판매하거나 수입하고자 하는 경우

 

③ 잠정인증 : 방송통신기자재등에 대한 적합성평가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아니하거나 그 밖의 사유로 적합성평가가 곤란한 경우

국내외 표준, 규격 및 기술기준 등에 따라 적합성평가를 한 후 지역, 유효기간, 인증조건을 붙여 해당 기자재를 제조·수입·판매 할수 있음

 

나. 대상기자재 

 적합인증

적합등록

잠정인증 

무선전화기, 모뎀 등 

컴퓨터, 방송수신기기 등 

평가 기준이 없는 신규개발기기 

 

다. 면제대상 기기

- 방송통신서비스의 시험,연구 또는 기술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기기

- 판매가 목적이 아닌 전시회등에 사용하는 기기

- 군용으로 사용할 기기

- 국외에서 사용할 기기

 

http://cafe.daum.net/impeak/Pthm/1?q=%C1%A4%BA%B8%C5%EB%BD%C5%B1%E2%BC%FA%BB%E7&re=1, 박종규 기술사님 자료

Posted by 둔탱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