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R

Multimedia/기타 2016. 6. 22. 11:04




1. 개요

 - HDR(High Dynamic Range)

 - SDR(Standard Dynamic Range, 기존 방식의 휘도범위에 비해 더 넓은 영역의 휘도를 보여주는 기술

 - 영상의 어두운 부분과 밝은 부분의 밝기 차이가 커지기 때문에 영상에서 느끼는 2D 입체감이 더 커지는 효과


2. SDR(Standard Dynamic Range)과 HDR 개념도 


3. Gamma 곡선

 - Gamma 는 디스플레이에 들어오는 입력신호와 출력되는 광량의 상관관계를 표시하는 수식



<참조>

HD와 UHD의 color gamut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2. 방송용 메타데이터 표준

3. 맺음말

 

 

1. 개요

  - data about data

  - 콘텐츠는 에센스와 메타데이터의 합성

  - 메타데이터(metadata)는 데이터(비디오, 오디오, 텍스트 등)에 대한 모든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부가 데이터

  - 메타데이터의 가장 쉬운 예를 들자면, 도서관의 카드 인덱스 카탈로그를 들 수 있음

 - 최근 정보의 홍수 시대를 맞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그 사용 필요성이 더욱 많이 제기되고 있음

 

 

2. 방송용 메타데이터 표준

 가. MPEG-7

    -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표현하기 위한 형식적 표준

              - 제목, 재생시간과 같은 미디어 단위의 메타데이터 표현

              - 화면 안에 있는 각 오브젝트의 정보와 화면 배경 색 정보, 오브젝트의 위치 등 멀티미디어의 내용을 기술

    - 인터넷에서 키워드로 동영상 검색하는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 검색에 주로 사용

    - XML을 이용한 텍스트 위주의 표기방식

    -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어떤 메타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음

    - 내용이 너무 방대하여 많은 저장 용량을 차지한다는 단점이 있음

 

 나. EBU/SMPTE

    - EBU(European Broadcasing Union)/SMPTE(Society of Motion Picture and Television Engineers)에서 제정

    - 비트스트림으로 전송하기에 적합한 메타데이터 표준안을 만드는 것

    - 비트열로 모든 데이터 항목을 쉽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저장이나 전송에 용이

    - 모든 메타데이터가 코드북의 형태로 숫자로 일대일 대응

 다. P/META

    - 방송 프로그램 프로덕션과 배급사가 서로 거래를 할 때에 사용되는 메타데이터 표준

    - 프로그램 미디어 계약을 할 때 필요한 정보를 기술

 라. TV-Anytime

- TV Anytime Forum이 제안하고 있는 차세대 디지털 방송용 메타데이터

- 사용자(시청자)가 직접 방송프로그램을 저장, 검색, 선택하는 과정을 지원하도록 하는 표준

- MPEG-7에서 정한 메타데이터 요소 중 TV-Anytime의 목적에 맞는 것들을 취사 선택

    마. MPEG-21

        -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전자상거래를 주요 응용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표준

 

  3. 방송영상 메타데이타에 대한 관심사의 변화

  -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 제작에서 유통, 서비스로

  - 공급자중심에서 사용자(수용자) 중심으로

  - 단방향에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으로

  - TV에서 다양한 Device로

  - 방송플랫폼에서 다양한방송, 통신융합미디어플랫폼으로

 

  4. 한계점들

  - 기술적한계

  - 복잡하고방대한구성요소

  - 적용사례부족

  - 방송영상 메타데이터 표준 및 관리기관의 부재

  - 관련된 요소들에 대한 산발적 연구

 

5. 맺음말

 - 수많은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하기 위해서 콘텐츠에 적합한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고, 콘텐츠와 메타데이터가 밀접하게 연결되어 관리되도록 할 필요가 있음

 - 향후 콘텐츠 생산자뿐만 아니라, 관련 분야에서 동일한 메타데이터 집합과 표기 방식을 사용하면, 서로의 메타데이터를 해석해야 하는 부담을 없애고, 효율적으로 모든 작업을 할 수 있을 것임

 

방송영상메타데이터.pdf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2. Video Streaming 서비스의 일반적인 구조

3. 멀티미디어 전송 기술

4. 비교

5. HAS 관련 표준 및 비표준 현황

 

 

 

 

1. 개요

 - OTT(over-the-top)는 콘텐츠 사업자가 인터넷망을 통해 멀티미디어를 제공

 - IPTV처럼 QoS가 보장되는 Walled-garden 형태 서비스가 아닌 best-effort 기반 인터넷 환경에서 끊김 없는 멀티미디어 전송을 보장하고, 유선보다 상대적으로 가용 대역폭이 작고 가변적인 무선환경에서 QoE(Quality of Experience)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멀티미디어 전송기술로는 한계

 - 제한적인 통신환경에서 멀티미디어 효과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적응형 스트리밍 기술 등장

 

2. Video Streaming 서비스의 일반적인 구조

 

3. 멀티미디어 전송 기술

 - 멀티 미디어 전송을 위한 기술은 크게

           HTTP Progressive Download 방식

           RTMP/RTSP Streaming 방식

           HTTP Adaptive Streaming 방식

 

 가. HTTP Progressive Download

    -  미디어 콘텐츠를 단말로 전달하기 위해서 PC 에서 일반 데이터 파일을 다운로드(HTTP/TCP)하는 것과 동일하게 취급

    - 스트리밍이 아니고 다운로드 방식

    - 일반 데이터 파일 다운로드와 다른 점은 비디오 파일을 다운로드하면서 초기 일정량이 다운로드되면 바로 재생을 하면서 다운로드를 계속한다는 점

     - Adobe Flash, Silverlight, Windows Media Player 등 대부분의 미디어 플레이어와 플랫 폼에서 지원되며, YouTube, Vimeo, MySpace 등 유명한 비디오 공유 웹 사이트들은 모두 HTTP PDL방식을 사용

     - 장점: HTTP로 구현

              별도의 전용 서버가 필요없음

     - 단점: 대역폭 낭비

               비디오 Quality 스위칭 어려움

               다운로드 속도가 인코딩율보다 빠르면 재생되나 늦으면 로딩이 발생

 

 

 

 나. RTMP/RTSP Streaming

    - RTMP/RTSP 프로토콜 이용

    - CDN(Content Delivery Network)의 전용회선을 이용하여 현 시점에서 필요한 영상을 미디어 서버로부터 전송 받는 방식

    -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세션이 설정되면, 서버는 작은 패킷으로 된 일련의 스트림으로 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시작

    - 전송계층 프로토콜로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또는 UDP(User Datagram Protocol)를 사용

    - 기존의 대부분의 웹비디오 서비스는 스트리밍 서버를 기반으로 하는 RTSP 이용

    - 장점: 다운로드 방식에 비하여 대역폭 활용도가 높음(사용자가 시청한 데이터는 바로 버려짐)

              Qulity switching 가능

    - 단점: 전용 스트리밍 서버 고가(HTTP 서버 무료)

              회사의 방화벽에서 차단되는 경우 발생

 

 

 

 

 다. HTTP Adaptive Streaming

   - 기존 스트리밍 방식과 Adaptive Streaming 방식

     - HAS 방식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여러 개의 비트율에 대해 일정한 단위의 청크(chunk)로 나눈 뒤 저장

     -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 상황(매 청크의 다운로드 속도 등)과 단말 상황(단말의 Video Rendering Capability(CPU/RAM 부하상태 등), 단말의 스크린 해상도, 화면상황(백그라운드 or 풀스크린))을 고려하여 다음에 요청할 청크의 비디오 품질 레벨(해상도, 인코딩율)을 결정하고 웹 서버로 요청

      - 단말과 서버 간에 가용 대역폭이 감소하면 비디오 품질을 낮추고, 증가하면 비디오 품질을 높여 가면서 끊김 없는 시청이 가능

      - 단일화된 표준이 없음

 

4. 비교

 구분

 HTTP Progressive Download

 RTMP/RTSP Streaming

 HTTP Adaptive Streaming

 방식

 다운로드 방식

 스트리링

 스트리밍

 프로토콜  HTTP  RTMP/RTSP  HTTP

 서버

 HTTP server

 고가의 전용 서버 필요

 (Flash Media Server

  Wowza Server)

 HTTP server

 방화벽

 문제없음

 방화벽에서 차단 문제 발생

 문제 없음

 대역폭 활용

 비효율적

 높음

 높음

 Quality Switching

 불가능  가능  가능

 

5. HAS 관련 표준 및 비표준 현황

 

6. 맺음말

 - 대용량 고화질의 다양한 영상 서비스 출현에 따라 인터넷 망을 이용한 고품질의 비디오를 끊김 없이 서비스하기 위해 기존의 RTP보다는 HTTP를 이용한 적응형 스트리밍이 대세를 이루게 될 것으로 보임

 - 아직 표준의 부재로 인해 다양한 기술이 등장하고 있음

 

<참조>

멀티미디어 서비스 확산 동인(動因)과 스트리밍 기술 현황.pdf

https://www.jwplayer.com/blog/what-is-video-streaming/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2. TV 유휴대역

3. CR 기술

4. 활용 서비스 및 이용기술

5. 향후전망

 

 

1. 개요

- TV 유휴대역은 TV 방송대역(채널 2 ~ 51) 중 지역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비어있는 주파수 대역

- 기존 Wi-Fi 대역 주파수보다 전파특성이 우수

누구나 정부의 전파규제에 대한 조건을 만족하면 사용할 수 있는 비면허 대역

 

 

2. TVWS(TV White Space)

 

3. CR기술

 - TV 화이트 스페이스 대역의 통신장치는 TV 시청자의 방송 수신을 방해해서는 안되며 이 대역 일부를 사용하는 무선마이크 장치에도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함

 - 이를 위해 필요한 기술이 CR 기술

 - 비어있는 주파수를 인지하여 사용하는 기술

 

4. 활용 서비스 및 이용기술

 - TVWS는 저주파수 대역으로 전파특성이 우수하여 도달거리가 길고 투과율이 좋아 다양한 용도에 활용 가능

 가. Super Wi-Fi

    - 방송 주파수 54~698MHz 주파수 중 지역별로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를 활용하여 15~20Mbps의 성능을 제공하는 Wi-Fi 기술

 나. 공공기관, 지자체의 공공안전용

  - 지하,건물 등의 재난영상 전송

 다. 광역서비스

 - 스마트 그리드 서비스 등

 라. 근거리 서비스

  - 소출력 방송 서비스 등

 

 

5. 향후전망

 - 전파 선진국인 미국, 영국, 일본 등에서는 이미 TVWS 활용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

 - TV 유휴대역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존 TV 방송서비스에 전파간섭이 없도록 기술적, 제도적으로 안전성 확보가 필요하다고 사료됨.

 

Posted by 둔탱이
,

STM-1급의 MSPP 장비를 채택한 M/W 전송시스템을 설계할 때 신호처리를 포함한 시스템 계통도 및 주요기술을 설명하시오

(단, UHD TV 45[Mbps], DTV 20[Mbps], DMB 2[Mbps], 이더넷 50 [Mbps] )

 

1. 통신네트워크 구성

- 유선장비(MSPP)와 무선통신(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해 신뢰성있는 장거리 통신시스템 구축가능

- MSPP는 다양한 인터페이스처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고,

- 마이크로웨이브는 LOS(가시거리)환경에서 원거리, 고속전송이 가능함

- SDH 전송프레임 속도는 STM-1 (155.52Mbps)이므로, 입력신호 (45M + 20M + 2M + 50M =117Mbps)를 충분히 수용가능함

 

2. MSPP와 마이크로웨이브 시스템 계통도 

 

http://cafe.daum.net/impeak/Pthm/1?q=%C1%A4%BA%B8%C5%EB%BD%C5%B1%E2%BC%FA%BB%E7&re=1

 

3. 주요기술

1) MSPP

  - Multi-Service Provisioning Platform

  - 모든 서비스를 통합하는 하나의 기술이 아니라, 여러 기술 또는 계층을 단지 하나의 장비에서 통합 구현하는 방식

  - 다양한 인터페이스 지원: 기존의 동기식 뿐만 아니라, IP 트래픽까지도 처리 가능

                                         SDH Interface: STM-1/4/16/64 등 STM-n 또는 OC-n

                                         PDH Interface: DS-1/3 등 DS-n

                                         기가비트 이더넷 인터페이스:GbE

                                         SAN(Storage Area Network) 인터페이스

                                         ATM 및 DWDM 인터페이스 등

  - 다양한 형태의 망구성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이고 단순한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

  - 고용량 SDH 신호 스위칭 기술

  - Layer-2 스위칭 기능을 제공하여 Ethernet 서비스의 통합수용이 가능하다

 

2) 마이크로웨이브의 주요기술

- LOS(Line Of Site) 가시거리가 확보된 네트워크 구성이 되어야 함

- 방송망에서 많이 사용

- 마이크로웨이브 주요기술 

 신호처리 기술 

 - STM(TDM Frame)신호를 마이크로웨이브 신호로 변환하는 기술이 요구됨

 - 변조 방식으로 128QAM 방식 등 사용

 - 고성능 증폭기 기술 과 고속 신호처리 기술을 요함

 안테나 기술

 - 고지향성 확보를 위한 안테나 사용

 다이버시티 기술

 - 페이딩 극복

 - 전송 신뢰성 향상

 

 

3. 네트워크 구성시 요구사항

- 전송용량 보다 네트워크 채널용량이 더 크게 설계되어야 함

- 네트워크 구성이 유선(고가격, 고신뢰성) 또는 무선(저가격, 중신뢰성)이 유리한지를 판단 해야 함

- 네트워크 구성시 OPEX(유지보수비용), CAPEX(설비비용)를 고려해 설계해야 함

- 향후 확장성 및 처리속도 증가 등을 고려해 미래 지향적인 네트워크 구성을 해야 함

 

 

- 끝 -

 

Posted by 둔탱이
,

1. 개 요

- CCTV(Closed Circuit TV)는 폐쇄회로TV

-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1:1배선 또는 IP를 이용한 LAN네트워크 구성이 있음

- CCTV의 주목적은 보안, 방범, 화재감시 등에 주로 사용됨  

- IP카메라 구성도

     카메라, NVR(Network Video Recorder), 저장장치, View화면으로 구성됨

http://www.viewrunip.co.kr/board/board.php?board=newsletter&command=body&no=24

2. 옥외 CCTV 구성도

가. 옥외 CCTV구성 

- 옥외 Pole, 옥외함체, 옥외용 CCTV, 옥외용 전원, 옥외용 통신회선, 옥외용 접지, 옥외용 SPD, 피뢰침 등으로 구성됨


http://it.news.danawa.com/News_List_View.php?nSeq=2883157&nBoardSeq=64

3. 옥외 CCTV 낙뢰 유형 및 대책

가. 낙뢰 피해 유형 

 -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뇌해는 감시 카메라나 감시장치 등의 기기에 접속하는 금속 케이블에 뇌서지가 침입해 발생

 - 이 뇌서지는 건물 등에 직접 낙뢰가 있었을 경우(직격뢰)뿐만 아니라 시스템 부근에 낙뢰가 있었을 경우에도 그

영향으로 인한 전자유도로 인해 금속 케이블에 뇌서지가 침입한다(유도뢰)

 낙뢰 유형

특 징 

 직접뢰 

 . 건물이나 외부 Pole에 직접적으로 낙뢰피해가 가해짐

 . 화재나 폭발이 가능해 건물이나 외관에 문제가 발생됨

 . 직접뢰에 의해 유도뢰 또는 간접뢰 문제가 발생됨

유도뢰

 . 전력선에 낙뢰가 발생되어 통신장비 , CCTV장비에 영향을 미침

 . 통신선에 낙뢰가 발생되어 통신장비, CTV장비에 영향을 미침

 . 주 원인은 직접뢰에 의한 유도현상 과 접지 전위차에 의한 유도가 있음

 

 

  1) 접지선 상승으로 인한 피해

   - 피뢰침에 낙뢰가 있었을 경우 뇌전류가 피뢰침에서 접지로 방류됨으로써 피뢰침용 접지의 접지전위가 상승하고 각

기기의 케이블과 접지 사이에 큰 전위차가 발생



http://www.hellot.net/new_hellot/search/search_magazine_read.html?idx=11267&page=1


   2)바닥 상하간의 전위차로 인한 뇌

     - 건물에 낙뢰가 있었을 경우에는 뇌전류가 접지로 흐를 때 뇌전류의 일부가 철근·철골로 흐르고 그 임피던스로

인해 바닥 상하간에 전위차가 생기는 일

http://www.hellot.net/new_hellot/search/search_magazine_read.html?idx=11267&page=1


  3) 유도뢰에 의한 낙뢰

    - 감시 카메라 시스템 부근에 낙뢰가 있었을 경우 전자유도로 인해 케이블에 뇌서지가 침입하는 일

http://www.hellot.net/new_hellot/search/search_magazine_read.html?idx=11267&page=1



나. 낙뢰 대책

대 책

특 징 

 접지 

 . CCTV 외부 Pole 과 외부함체에 대한 접지를 실시함

 . 건물내 Main Mash접지와 연결함

 . 기술기준에 의해 1종접지 (10옴이하)를 실시함  

SPD

 . SPD (서지보호장치)로 낙뢰가 인입되면 장비(CCTV)로 인입되지 않고, 접지로 빼주는 역할

 . 과전압에 의한 서지보호가 가능함 

피뢰침

 . CCTV Pole 이나 건물에 직접 낙뢰가 가지 않도록, 피뢰침을 이용함

 . 피뢰침은 접지와 1:1로 접속되어 낙뢰후에 바로 접지로 빠짐

 

4. CCTV기술 동향

- CCTV는 방범, 보안 등에 매우 유용한 장치이지만 사생활 침해라는 이슈가 제기되고 있음

- 최근의 CCTV는 IP 카메라를 사용해 간단한 네크워크 구성이 가능함

- CCTV는 방범, 보안에 매우 중요한 장치로 낙뢰피해, 전원잡음피해, 무중단 이 매우 중요함

- 최근 지능형 CCTV를 사용해 침입인식, 화재인식, 속도인식 등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음.

 

- 끝 - 

 


<참조>

http://www.hellot.net/new_hellot/search/search_magazine_read.html?idx=11267&page=1

http://cafe.daum.net/impeak

Posted by 둔탱이
,

1. 개 요

2. 적합성 평가 요구사항

 

 

1. 개 요

- 전파법 제58조의 2에 근거해 방송통신기자재를 제조 또는 판매/수입 하는 자는 해당

기자재에 대한 적합인증, 적합등록, 잠정인증을 받아야 함

 

2. 적합성 평가 요구사항

가. 평가항목 및 대상

① 적합인증 : 전파환경 및 방송통신망 등에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기자재와 중대한 전자파장해를 주거나 전자파로부터 정상적인

동작을 방해받을 정도의 영향을 받는 기자재를 제조 또는 판매하거나 수입하고자 하는 경우

 

② 적합등록 : 적합인증 대상이 아닌 방송통신기자재등을 제조 또는 판매하거나 수입하고자 하는 경우

 

③ 잠정인증 : 방송통신기자재등에 대한 적합성평가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아니하거나 그 밖의 사유로 적합성평가가 곤란한 경우

국내외 표준, 규격 및 기술기준 등에 따라 적합성평가를 한 후 지역, 유효기간, 인증조건을 붙여 해당 기자재를 제조·수입·판매 할수 있음

 

나. 대상기자재 

 적합인증

적합등록

잠정인증 

무선전화기, 모뎀 등 

컴퓨터, 방송수신기기 등 

평가 기준이 없는 신규개발기기 

 

다. 면제대상 기기

- 방송통신서비스의 시험,연구 또는 기술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기기

- 판매가 목적이 아닌 전시회등에 사용하는 기기

- 군용으로 사용할 기기

- 국외에서 사용할 기기

 

http://cafe.daum.net/impeak/Pthm/1?q=%C1%A4%BA%B8%C5%EB%BD%C5%B1%E2%BC%FA%BB%E7&re=1, 박종규 기술사님 자료

Posted by 둔탱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