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 방송용 메타데이터 표준

3. 맺음말

 

 

1. 개요

  - data about data

  - 콘텐츠는 에센스와 메타데이터의 합성

  - 메타데이터(metadata)는 데이터(비디오, 오디오, 텍스트 등)에 대한 모든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부가 데이터

  - 메타데이터의 가장 쉬운 예를 들자면, 도서관의 카드 인덱스 카탈로그를 들 수 있음

 - 최근 정보의 홍수 시대를 맞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그 사용 필요성이 더욱 많이 제기되고 있음

 

 

2. 방송용 메타데이터 표준

 가. MPEG-7

    -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표현하기 위한 형식적 표준

              - 제목, 재생시간과 같은 미디어 단위의 메타데이터 표현

              - 화면 안에 있는 각 오브젝트의 정보와 화면 배경 색 정보, 오브젝트의 위치 등 멀티미디어의 내용을 기술

    - 인터넷에서 키워드로 동영상 검색하는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 검색에 주로 사용

    - XML을 이용한 텍스트 위주의 표기방식

    -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어떤 메타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음

    - 내용이 너무 방대하여 많은 저장 용량을 차지한다는 단점이 있음

 

 나. EBU/SMPTE

    - EBU(European Broadcasing Union)/SMPTE(Society of Motion Picture and Television Engineers)에서 제정

    - 비트스트림으로 전송하기에 적합한 메타데이터 표준안을 만드는 것

    - 비트열로 모든 데이터 항목을 쉽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저장이나 전송에 용이

    - 모든 메타데이터가 코드북의 형태로 숫자로 일대일 대응

 다. P/META

    - 방송 프로그램 프로덕션과 배급사가 서로 거래를 할 때에 사용되는 메타데이터 표준

    - 프로그램 미디어 계약을 할 때 필요한 정보를 기술

 라. TV-Anytime

- TV Anytime Forum이 제안하고 있는 차세대 디지털 방송용 메타데이터

- 사용자(시청자)가 직접 방송프로그램을 저장, 검색, 선택하는 과정을 지원하도록 하는 표준

- MPEG-7에서 정한 메타데이터 요소 중 TV-Anytime의 목적에 맞는 것들을 취사 선택

    마. MPEG-21

        -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전자상거래를 주요 응용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 표준

 

  3. 방송영상 메타데이타에 대한 관심사의 변화

  -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 제작에서 유통, 서비스로

  - 공급자중심에서 사용자(수용자) 중심으로

  - 단방향에서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으로

  - TV에서 다양한 Device로

  - 방송플랫폼에서 다양한방송, 통신융합미디어플랫폼으로

 

  4. 한계점들

  - 기술적한계

  - 복잡하고방대한구성요소

  - 적용사례부족

  - 방송영상 메타데이터 표준 및 관리기관의 부재

  - 관련된 요소들에 대한 산발적 연구

 

5. 맺음말

 - 수많은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하기 위해서 콘텐츠에 적합한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고, 콘텐츠와 메타데이터가 밀접하게 연결되어 관리되도록 할 필요가 있음

 - 향후 콘텐츠 생산자뿐만 아니라, 관련 분야에서 동일한 메타데이터 집합과 표기 방식을 사용하면, 서로의 메타데이터를 해석해야 하는 부담을 없애고, 효율적으로 모든 작업을 할 수 있을 것임

 

방송영상메타데이터.pdf

 

Posted by 둔탱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