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의 상호 비교

3. 증강현실 시스템 구성

4. 전망

 

 

 

 

 

1. 개요

  - 증강현실이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서 가상의 사물을 합성하여 현실세계만으로는 얻기 어려운 부가적인 정보를 보강해주는 기술임

  - 즉, 현실을 기반으로 가상정보를 실시간으로 결합하여 보여주는 기술임

  - 현실세계에서 실시간으로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겹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혼합현실(Mixed Reality)임

  - 예를 들어 스마트폰 카메라로 주변을 비추면 인근에 있는 상점의 위치, 전화번호 등의 정보가 입체영상으로 표기됨

  - 축구 경기 중계 방송 중 프리킥 위치와 골대까지의 거리 표시

 

2.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의 상호 비교

  -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은 사용자를 현실 세계의 감각으로부터 완전히 차단하고, 컴퓨터가 만들어낸 가상의 공간을 체험하는, 즉 현실세계를 완전히 대체하는 형태의 미디어

  - 반면 증강현실은 사용자가 현실세계를 그대로 경험하는 가운데, 컴퓨터가 재현해 내는 가상의 정보공간을 현실 상황에 맞춰어 부가적으로 보고 체험할 수 있는 점이 다르다

 

 항목

가상현실 

증강현실 

 정보이 형태

 현실에 존재하지 않음

 현재의 환경+가상 정보

 현실감

 작다

 크다

 공간인식

 가상공간

 현실+가상현실

 

3. 증강현실 시스템 구성

  - 실제 환경에 가상의 물체를 정합하여 보여주는 AR 시스템은 영상 및 가상 물체의 처리를 위한 AR 브라우저와 관련장치들의 인터페이스로 구성됨

  -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어진 영상은 AR 브라우저에서 영상 처리를 통해 가상물체와 정합이 이루어짐

  - 정합된 영상 정보는 모니터 또는 HMD(Head Mounted Display)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전달

http://www.cadgraphics.co.kr/education/upload/156-160_AR_Technology.pdf

 - 획득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가상물체를 생성하기 위한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AR브라우저는 3가지 모듈로 구성됨

    가. 트래킹 모듈

        - 실제 영상에서 가상물체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가상물체와 실제 영상 사이의 매개체가 필요

        - AR 브라우저는 이러한 매개체를 지속적으로 추적하고 인식함으로써 가상물체의 생성을 위한 기준 좌표계를 설정

    나. 렌더링 모듈

        - 트래킹 모듈을 통해 생성된 좌표계를 기반으로 가상물체의 생성 및 제거   

    다. 측정 모듈

        - 생성된 가상물체들간의 거리 측정 및 가상 물체간의 간섭여부를 확인

 

http://www.cadgraphics.co.kr/education/upload/156-160_AR_Technology.pdf

4. 전망

  - 현재 증강현실이 활발히 적용되고 있는 분야는 대부분 정밀함이 비교적 덜 요구되는 분야임(스마트폰에서의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

  - 산업이나 의료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정밀도와 안정성이 개선되어야 함

  - 기존의 PC 플랫폼에서나 가능했던 인터랙티브 리치 미디어 형태의 증강현실서비스가 모바일 환경에서도 적용이 가능할 것임

 - 착용형 컴퓨터(Wearable Computer) 기술의 발달은 모바일 환경에서의 증강현실 서비스의 질을 높여줄 것으로 보임

 - 미국 시장 조사기관 주니퍼에 따르면 모바일 AR 시장은 엄청난 속도로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


 

<참조>

http://www.cadgraphics.co.kr/education/upload/156-160_AR_Technology.pdf

http://www.slideshare.net/firehj/2013-29547809

 

1-1.증강현실(AR__Augmented_Reality).hwp


 

'Multimedia > 차세대방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ATSC 3.0 전송규격  (0) 2015.12.02
차세대 모바일 방송 구현(LDM)  (0) 2015.12.02
스마트 TV의 주요 특징과 서비스 기술, Smart TV 1.0과 2.0을 비교 설명  (0) 2015.09.19
3DTV  (1) 2015.09.19
MMS  (0) 2015.09.19
Posted by 둔탱이
,
USN의 개념도를 작성하고, 센서시스템을 구성하는 과정을 설명하시오

1. 개요

2. USN의 구조 및 요소기술    

3. USN 요구사항

4. USN 센서시스템을 구성하는 과정

5. USN 전망

 

 

 

 

 

1.개요

  -  USN(Ubiquitous Sensor Network)란 기존 인간과 컴퓨터 간의 커뮤니케이션에 일상생활에 산재된 사물과 물리적 대상을 추가시켜 협력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

  - RFID/USN은 모든 사물에 부착된 RFID 또는 센싱기술을 초소형 무선장치에 접목하여 이들 간의 네트워킹과 통신으로 실시간 정보를 획득, 처리, 활용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 필요로 하는 모든 곳에 수많은 센서 노드들을 부착해 자율적으로 정보를 수집, 관리, 제어하는 시스템, 즉 물리 공간에 센서 노드를 설치해 빛, 소리, 온도, 움직임 같은 환경 정보를 감지해 정보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구조를 가진 네트워크

  - USN을 우리 인체에 비교해 보면, 센서 노드는 인체의 신경세포로, 센서 네트워크는 신경망으로, USN 기반 정보시스템은 인체의 두뇌로 각각 비유할 수 있다

 

 

참조> USN과 WSN(Wireless Sensor Network)

  - 해외의 센서 네트워크 관련 연구를 보면, 일반적으로 USN 대신 WSN이라는 개념을 사용

  - 국내에서는 USN을 '전자태그(RFID)와 U-센서를  BcN과 연계해 사물의 정보를 인식, 관리하는 네트워크이며, 기존 사람 중심의 정보화를 사물에까지 확대해 유비쿼터스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기본 인프라로 정의하고 있다.

  - 반면 WSN은 기존 유선 기반의 센서 노드에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와 같은 무선 RF 기술과 Ad-Hoc, Mesh 네트워크 기술을 접목해 무선기반의 센서 네트워크를 구현하는 것으로 정의

  - USN은 WSN을 포함하는 보다 광범위한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음

 

 

2. USN의 구조 및 요소기술

  가. USN의 구조

http://cafe.daum.net/_c21_/bbs_search_read?grpid=1LjCM&fldid=nH98&datanum=18&docid=1LjCMnH981820120114110924

 

나. USN의 구성요소

 

 1) 센서 노드

      - 센서를 이용해 주위 환경 정보를 획득(센싱)하는 일반적인 센서노드와 외부 네트워크 특히 인터넷과 연동을 위한 연동노드인 싱크 노드(Sink Node)또는 게이트 웨이로 구성된 다.

      - 지그비, 블루투스, 와이파이, UWB(Ultra Wide Band)등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 맞게 무선네트워크 기술을 지원

      - 가격이 저렴하고 크기가 작아야 함

      - 한 번 배치되면 유지 보수가 어렵기 때문에 강인한 구조에 저전력으로 설계

      - 초기의 센서는 단순히 센싱을 하여 Reader장치에서 정보를 획득해가는 형태에서, 최근에는 임베디드 프로그램 과 H/W로 구성된 SOC 형태의 소형장치로 향상되고 있음

  2) 센서 네트워크

      - 다수의 U-센서 노드간 애드 혹(Ad Hoc), 멀티 홉(Multi Hop) 통신으로 구성

      - 무선(RF) 및 통신기술: 센서노드간 통신을 위한 무선 기술(지그비, 블루투스, 와이파이, UWB(Ultra Wide Band)) 및 라우팅 기술

  3) USN 미들웨어

      - 이기종 센서 네트워크로부터 수집한 센싱 데이터를 필터링, 통합, 분석해 의미 있는 상황정보를 추출, 저장, 관리, 검색하고 그 정보를 응용서비스로 전달해, USN 서비스간 연계, 통합을 용이하게 하는 기술

  4) USN 응용서비스 계층

     - 수많은 센서 노드에서 수집된 정보를 활용하는 애플리케이션

 

3. USN 요구사항

  - 센서의 초저전력, 저가격, 신뢰성 확보

  - 센서의 위치정보 파악 및 실시간 정보획득 가능에 따른 보안/개인정보 문제 해결

  - 표준화된 프로토콜 사용으로 데이터의 획득, 가공, 배포가 간편해야 함

  - USN 미들웨어 발전으로 이종망간 데이터 공유 가능

  - 고정형 센서>능동형 센서> 지능형 센서로 진화 필요

 

 

4. USN 센서시스템을 구성하는 과정

 - 고정형 센서>능동형 센서> 지능형 센서로 진화

 - 초기 USN 시스템 구성은 무선네트워킹 기술과 초소형 센서 노드 기술을 이용해 기존의 유선 센서 네트워크를 대체하는 형태(이는 설치 비용을 절감하고 원하는 위치에 손쉽게 센서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

 - 초소형, 저전력, 멀티홉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무선 센서 노드 상용화됨에 따라 애드 혹, 멀티 홉 메시 네트워크를 구성

 - 애드 혹, 메시 네트워크는 고정된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지 않고 이동 단말 사이에 임의로 구성되는 형태(새로운 센서 노드가 추가되거나 제거되는 경우 자동으로 네트워크 재구성)

 

5. USN 전망

  - IEEE1451 센서네트워크 표준화 담당

  - -대표적인 센서네트워크로는 RFID, IEEE802.15계열이 있음

  -  USN은 초기에 RFID를 통해 개체를 식별하는 단계에서 센싱 기능을 부과하여 환경 정보를 동시에 취득하는 단계를 거쳐 태그 상호간 통신으로 Ad-hoc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기능이 적은 다른 태그를 제어하는 것으로 발전할 것이다

  - USN의 궁극적인 목표는 IPv6를 기반으로 하는 BcN과 연동되어 모든 사물이 지능적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통신하는 것이다

  - 사물의 정보화를 위한 첫걸음이며 USN을 기반으로 다양한 Application의 개발과 기능의 고도화가 가능

  - 신성장 동력 산업의 많은 부분이 사물 정보 인식, 센싱 및 통신 기능 등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중요

 

<출처>

http://cafe.daum.net/_c21_/bbs_search_read?grpid=1LjCM&fldid=nH98&datanum=18&docid=1LjCMnH981820120114110924

http://www.karus.or.kr/pds/data_files/(13)%20USN기술개념%20및%20분류,용어.pdf 

http://www.karus.or.kr/pds/data_files/(13)%20USN%EA%B8%B0%EC%88%A0%EA%B0%9C%EB%85%90%20%EB%B0%8

F%20%EB%B6%84%EB%A5%98,%EC%9A%A9%EC%96%B4.pdf


 

1-8._USN(Ubiquitous_Sensor_Network).hwp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2. NFC 기술 특징

3. 유사기술과 비교

4. NFC 통신 동작 유형

5. 맺음말

 

 

1. 개요

  -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2002년 소니와 네덜란드 NXP 반도체가 개발한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임

  - 13.56MHz 주파수를 사용하여 10cm 이내 거리에서 낮은 전력으로 전자기기간의 무선통신을 가능하게하는 비접촉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

  - 신분증과 신용카드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모바일 기술

 

 

2. NFC 기술 특징

  - 초당 전송 속도 424kbps

  - 근접 특성과 암호화 기술로 보안성이 우수

  - 편리한 연결(단말기간 복잡한 페어링 절차가 필요없어서 0.1초 이내에 인식 가능)

  - RFID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카드식 비접촉 무선통신 기술 

  - 스마트 카드에 비해 양방향성, 저장 메모리 크기, 서비스 다양성 등이 우수

 

3. 유사기술과 비교

 가. 블루투스와 비교

    - 블루투스가 버전 별로 속도 차이가 있지만, 가장 많이 쓰이는 블루투스 2.0이 2.1Mbit/s의 속도를 보이는 것에 반해, NFC는 424kbit/s로 블루투스에 비해 느린 속도로 작동

    -  NFC가 블루투스와 비교했을 때 작동범위와 속도가 훨씬 떨어지는데도 최근들어 주목받는 이유는 아이러니하게도 작동범위와 속도 때문

    - 결제시스템의 경우 10cm의 짧은 작동범위는 해킹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장점, 또한 NFC의 셋업타임은 0.1초 정도로 매우 짧음

 

 나. RFID와 비교

    - RFID는 바코드입니다. 즉, 일방적인 ‘읽기’의 기능만 지원

    - 하지만, NFC는 양방향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더욱 많은 정보를 손쉽고 빠르게 교환 가능

    - RFID는 보다 넓은 거리를 수용하지만, NFC는 아주 근접한 거리만을 인식함

    - NFC는 기존의 RFID에서 확장된 개념

 

이름 

 NFC

 블루투스

 RFID

 통신속도

 424kbps

 2.1Mbps(V2.0 기준)

 양방향 통신 불가

 (단방향만 지원)

 통신거리

 10cm

 약 10m

 규격과 방식에 따라 다름

 (수십 cm)

 실샐활에 사용되는 기기

 스마트폰

 노트북, 스마트폰

 T-money, 교통카드

 셋업타임

(처음 사용하는데 걸리는 시간)

 0.1초

 약 6초

 0.1초

 기존 RFID와의 호환

 가능

 불가능

 가능

 

 

4. NFC 통신 동작 유형

  가. P2P 모드

     - 능동형 NFC 기기가 상호 통신하는 형태

     - 통신 속도가 빠르지 않아서 소량의 데이터 송수신에 활용

     - 명함, 연락처, 사진 등의 전자적 형태의 데이터 교환에 활용

  나.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 전통적인 비접촉 IC 카드처럼 일종의 수동형 태그 역할

     - 기기 내 저장하고 있는 정보를 외부의 능동형 리더기에 전달

     - 비접촉 결제, 교통카드, 출입통제 등의 분야에 활용

  다. Reader/Writer 모드

     - 외부의 수동형 태그 정보를 읽어 들이는 형태

     - 스마트폰이 리더기로 작동

     - 쇼핑할 때 필요한 모바일 쿠폰을 NFC를 통해 저장하고 물건을 구입할 때 저장된 쿠폰을 이용할 수 있음

 

 

5. 맺음말

 - 스마트폰 사용이 확산되면서 NFC가 스마트폰의 대표적인 기능이 될 것으로 예상됨

 - NFC 단말기와 리더기 비용이 저렴해야 보급 가능

 - 향후 신용카드와 경쟁하기 위해서 이동통신사 및 중소 기업의 협력, 국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

 

<참조>

 

 

 

'홈/센서 네트워크 > 센서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답형>센서네트워크의 전력효율향상 방안_작성  (0) 2015.09.22
USN  (0) 2015.09.20
RFID  (0) 2015.09.20
O2O(Oline to Offline)  (0) 2015.08.18
비콘  (0) 2015.08.18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2. RFID 기본 구성요소

3. RFID 동작 원리

4. RFID Tag의 분류

5. 바코드 기술과의 상호 비교

6. RFID에서 USN으로 진화





1. 개요

  -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사물, 사람등을 식별하는 인식 기술

  - 소형전자칩과 안테나로 구성된 전자 태그를 사물에 부착하여 전자 태그의 고유주파수를 통해 사물을 인식하거나 사물이 주위 사항을 인지할 수 있게 하고, 기존 IT 시스템과 실시간으로 정보 교환/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 RFID는 기존의 바코드나 자기인식장치의 결함을 제거하고 사용의 편리성, 생산방식의 변화, 소비자의 의식변화, 문화 및 기술의 진보에 따라 활용범위가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차세대 핵심 기술


<참고>

   바코드(Barcode)와 RFID의 차이점

   - 바코드와 RFID 태그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정보의 판독방법이다.

   - 바코드는 코드패턴을 적외선이나 가시광선의 빔으로 스캔할 때 반사되는 광 신호를 스캐너로 읽어 들이는 광반응 방식의 식별 방식


2. RFID 기본 구성요소

  가. 태그(tag)

    - 데이터가 입력된 IC칩과 안테나로 구성되어 사물에 부착됨

    -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주파수를 이용하여 리더기로 전달함

    - 전원의 유무에 따라 능동형(Active)과 수동형(Passive)으로 구분됨

  나. 안테나(antenna)

    - 태그로부터 무선주파수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RFID리더로 전달함

    - 다양한 형태의 크기로 제작이 가능하며, 태그의 모양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임

  다. 리더(reader)

    - 무선주파수 발신을 제어하고 태그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해독함

    - 용도에 따라 고정형, 이동형, 휴대형으로 구분

  라. 서버(server)

    - 한 개 또는 다수의 태그로부터 읽어들인 데이터를 처리하는 서버 및 PC

<출처> http://www.3alogics.com/pro_data2.asp?mode=view&pidx=69000&schk=&skey=&nP=1

3. RFID 동작 원리

  - 태그로 전파 발산

  - 태그 활성화, 수신전파로 에너지 공급

  - 리더기로 전파 반사, 반사파에 태그 정보 포함

  - 안테나는 전송받은 데이터를 리더기로 전달

  - 리더기는 데이터를 판독하여 서버 컴퓨터로 전송

<출처> http://gomu09.tistory.com/category/업무일지

4. RFID Tag의 분류

 4.1 전원 내장 상태에 의한 분류


특징

Passive type(No battery)

- 태그의 가격이 저렴

- 태그 수명 반영구적

- 인식거리 짧고 주변환경의 영향을 받음

Active type(Battery in tag)

- 태그 수명이 제한적

- 태그 가격이 비싸고 태그의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음


  4.2 태그의 읽기/쓰기 능력에 의한 분류


특징

적용분야

Read only

- 제조 시 프로그래밍, 정보내용 변경불가

- 가격저렴, 바코드와 같이 단순인식분야

- 단순 ID만 인증

WORM(Write once, Read Many times)

- 사용자가 한 번 변경한 후에는 변경 불가

- 최초 생산 및 입고시점의 정보관리

Read/Write

- 몇 번이고 프로그래밍 및 데이터 변경가능

- 고가, 다양한 분야 활용 가능

- 물류, A/S와 같이 단계별 정보가 달라지는경우

 

  4.3 주파수의 범위에 따른 분류

 


참조>RFID 국제 표준화 기구 현황

5. 바코드 기술과의 상호 비교

 

구분 

 RFID/리더

 바코드/스캐너

 인식거리

 근거리/중거리/장거리

 근거리

 메모리

 소형 메모리

 없음

 에러율

 거의 없음

 높음

 통신 방식

 RF

 광인식

 가격

 고가/중가

 저가/고가

 특징

 - Read and Write 가능(재활용)

 - 동시 인식 가능

 - 인식거리 다양

 - 다량의 정보 저장 가능

 - 다양한 응용에 적용 가능

 - 가격 저렴

 - 다양한 제품군

 - 적용 과정이 비교적 단순

 

 

6. RFID에서 USN으로 진화

  - 금속체, 액체, 사람 등의 장애물이 있을 경우 전파 장애 발생

  - 보안 및 위,변조에 취약

  - 차세대 RFID 기술은 사물의 존재를 인식하여 구별하는 자동식별기술로 발전 

  - 여러가지 기술과 연계 및 융합하여 다양한 RFID 응용 서비스로 발전 가능

  - 결국 RFID 태그와 리더가 진화하면서 주변환경을 감지하는 센서기능이 추가되고, 인식 정보를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실시간 관리를 하는 USN(Ubiquitous Sensor Network)로 진화할 것임



<참고>

  - 표준이란 기술적인 규격 또는 기준 등을 포함하는 문서화된 합의사항

  - 국제표준은 국제적으로 합의된 표준으로 ISO(International Organisation for Standardisation),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등이 있음

  - 국가표준은 각 국가에서 제정한 표준으로 KS(Korean Standards, JIS(Japanese Industrial Standards), ANSI(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등이 있음



<출처>

http://www.3alogics.com/pro_data2.asp?mode=view&pidx=69000&schk=&skey=&nP=1

www.tta.or.kr, 차세대 RFID 기술.pdf

한국RFID/USN협회, RFID 시스템 개요


 

'홈/센서 네트워크 > 센서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답형>센서네트워크의 전력효율향상 방안_작성  (0) 2015.09.22
USN  (0) 2015.09.20
NFC(Near Field Communication)  (0) 2015.09.20
O2O(Oline to Offline)  (0) 2015.08.18
비콘  (0) 2015.08.18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 감리란 공사에 대하여 발주자의 위탁을 받은 용역업자가 설계도서 및 관련규정의 내용대로 시공되는지 여부를 발주자를 대행하여 감독하는 것(품질 관리, 시공관리, 안전관리 및 환경관리에 대한 지도등을 포함)

  - 감리의 여러 업무 중 품질관리는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서 요구에 맞는 품질을 경제적으로 만들어내기 위한 모든 수단과 체계를 말함

  - 따라서 감리원은 시공자가 작성한 품질관리 계획서에 따라 품질관리 업무를 적정하게 수행하는지의 여부를 검사하여야 하며, 검사결과 시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시공자에게 시정을 요구할 수 있으며, 시공자는 이를 지체 없이 시정하여야 함

 

2. 공사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관리 방법

 가. 시공자가 작성한 품질관리계획서의 검토

    - 감리원은 시공자가 품질관리계획 요건의 이행을 위해 제출하는 문서를 검토, 확인 후 발주자에게 승인을 요청하여야 함

    - 감리원이 품질관리계획과 관련하여 검토, 확인하여야 할 문서는 품질관리계획서 및 각종 절차서 및 지침서 등을 말함

 

 나. 품질관리계획의 이행확인

    - 감리원은 시공자가 작성한 품질관리계획서에 따라 품질 관리 업무를 적정학 수행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사하여야 하며 검사결과 시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시공자에게 시정을 요구하여야 함

 

 다. 품질상태의 수시 검사, 확인

    - 감리원은 부실 시공으로 인하여 재시공 또는 보완 시공되지 않도록 가급적 품질상태를 수시로 검사, 확인하여 부실공사를 사전에 방지토록 하여야 함

 

 라. 중점 품질관리 방안 수립 및 시행

    - 감리원은 당해 공사의 설계도서, 시방서, 공정계획 등을 검토하여 품질관리가 소홀해지기 쉽거나 하자 발생빈도가 높은 부위를 중점 품질관리 대상으로 선정하여 타 공종(공사종류)에 비하여 우선적으로 품질관리 상태를 입회, 확인하여야 함

    - 이때 수립하는 중점품질관리방안은

            중점품질관리 공종의 선정

            중점품질관리 공종별로 시공 중 및 시공 후 발생 예상 문제점

            각 문제점에 대한 대책 방안 및 시공 지침

            중점 품질관리대장을 작성, 기록 관리하고 확인하는 절차

       등을 포함하여 수립하도록 함

     - 선정된 공종에 대한 관리 방안을 수립하여 시행 전 발주처에 보고하고 시공자에게도 통보

     - 해당공종 및 시공부위는 상황판이나 도면 등에 표기하여 발주처, 감리원, 시공자 모두가 이를 항상 숙지토록 함

     - 대상공종이 동시에 여러 개소 시공되거나 공휴일, 야간 등 관리가 소홀해질 수 있는 시기에 시공되지 않도록 조정

 

 마. 각종 기준 적합 여부 확인

     - 감리원은 품질 시험과 검사를 산업표준화법에 의한 한국 산업규격,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품질관리기준에 의하여 실시되는 지 확인

     - 정보통신설비는 전기통신기본법에 의거한 기술기주네 적합한 지 확인

     - 형식검정이 요구되는 정보통신 기자재는 그 형식에 관하여 관련 승인을 받아야 하며 지정된 시험기관으로 하여금 성능시험을 하게 할 수 있음

 

 바. 시험, 검사성과의 확인 철저

     - 감리원은 시공자로부터 매월 품질시험, 검사실적을 종합한 시험, 검사실적 보고서를 제출받아 철저히 확인하여야 함

     - 시공자로부터 기성부분 검사또는 예비준공검사 신청서를 체출받은 때에 품질 시험, 검사성과 총괄표를 제출받아 검토, 확인하여야 함

 

3. 맺음말

 - 감리원은 품질관리계획의 검토 및 이행 확인, 중점 품질관리 대상공종선정 및 관리, 각종 품질관리기준에의 적합여부 수시 확인, 시험 및 검사성과 등의 철저 확인 등을 통해 대상 공사의 품질향상에 최선의 노력을 다 하여야 함

 

<참조>

김기남 공학원 2012년 1회 정보통신기술사 해설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2. 접지의 목적

3. 접지의 분류

  3.1 접지의 목적에 따른 분류

    3.1.1 보안용 접지

    3.1.2 기능용 접지

  3.2 접지 상호간의 접속 형태에 의한 분류

    3.2.1 공통 접지(common grounding)

    3.2.2 독립 접지

    3.2.3 공통 접지와 독립 접지 비교

4. 접지 설계의 방법

5. 접지 자재 선정 시 고려사항

6. 정보통신설비가 있는 건물의 접지시공방법

 

 

 

1. 개요

- 접지란 학문적인 정의에 의하면 전기설비를 전기적으로 대지와 결합하는 것을 의미함

- 초기의 접지는 낙뢰와 정전기 등으로부터 인명과 장치를 보호하는 역할이었

- 오늘날의 접지는 낙뢰는 물론 원하지 아니하는 과전류 및 과전압 유입, 전기적 잡음으로부터 전원, 통신 제어시스템 등의 복잡한 전기, 전자적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동작하게 하는 기능용 접지에 많은 관심을 가짐

- 접지는 그 사용분야 및 목적에 따라 분류되며 인명이나 설비의 안전을 목적으로 한 경우에는 보안용 접지라 하며, 장비나 시스템의 안정적 가동이나 운용을 목적으로 한 경우에는 기능용 접지라 함


2. 통신접지의 목적

  - 전기적 피해로부터 시설물을 보호하기 위함

  - 전기적인 충격으로 부터 인명을 보호하기 위함

  - 전기기기 원활한 기능을 확보하기 위함.

  - 전력계통내부에서 야기되는 사고 또는 낙뢰와 같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고장전류 혹은 써지를 효과적으로 대지로 분산시킴으로서 기기의 절연파괴를 방지

  - 양호한 접지를 통한 기준전위의 제공은 모든 전기전자 장비를 하나의 대규모 시스템이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함.


3. 접지의 분류

  3.1 접지의 용도에 따른 분류

      1) 통신용 접지

      2) 낙뢰방지용 피뢰 접지

 

      3) 수배전 시설용 보안접지

 

 

  3.2 접지의 목적에 따른 분류

     1) 보안용 접지

         - 누전에 의한 감전및기기의손상,화재,폭발방지등 전기설비의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접지임.

         - 계통 접지 : 고압전로와 저압전로가 혼촉되었을 때 감전이나 재해를 방지.

         - 기기접지 : 누전되고 있는 기기에 접촉되었을 때 감전을 방지.(외함접지, 프레임 접지)

         - 뇌방지용 접지 : 낙뢰로부터 인명, 화재, 기기의 손상을 방지.(피뢰침, 피뢰기)

         - 정전기 방지용 접지 : 정전기의 축척에 의한 폭발 재해방지.(가공지선, 보안기 등)

         - 등전위 접지 : 병원에서 의료기기 사용시 안전확보.

         - 잡음대책 접지 : 노이즈에 의한 전자기기의 오동작이나 손상을 방지.

     2) 기능용 접지

         - 전기, 전자, 통신 설비기기의 안정적 동작 및 운용을 목적으로 하는 접지임. 

 

 

  3.3 접지 상호간의 접속 형태에 의한 분류

      1) 공통 접지(common grounding)

         - 전기, 통신장비, 피뢰침과 같이 여타 다른 접지와 같이 접속하는 방식으로 주로 건물프레임에 연결을 하고 있다.

         - 경제적인 방식이긴 하나 낙뢰와 같은 고전압이 유입되었을 때 같이 접속되어 있는 모든 장비에 피해를 줄 수 있다

         - 직렬, 병렬, 직병렬 접지

         - 직렬 접지: 접지점으로부터 각각의 기기로 접지선을 직렬로 접속하는 것으로 시공이 간편하고 경제적이지만 각 장비 사이에 접지 전위차가 발생할 수 있음

         - 병렬 접지: 주접지점으로부터 접지선을 병렬로 각각의 기기에 접속하는 것으로 각 장비간 등전위를 형성할 수 잇으며 장비 상호간 영향을 받지 않아 양호한 접지를 구성할 수 있으나 시공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듬

         - 직, 병렬 접지: 분전반 단위로 병렬접지를 하고 전체를 직렬접지하는 것으로 경비, 성능면에서 권장할 만한 방법임


     2) 독립 접지

         - 장비별로 각각 접지를 접속하는 방식

         - 장비의 보호측면에는 좋은 방식이나 경제적 측면으로는 공통접지보다 불리하며, 각각의 장비간 전위차가 생길 수 있다

         - 독립 접지를 할 때는 접지간의 상호 간섭을 줄일 수 있도록 접지 사이를 최대한 멀리 떼어 놓는 것이 필요함

     3) 공통 접지와 독립 접지 비교

 

 4. 접지 설계의 방법

  - 소요 접지저항 기준에 필요한 접지저항 기본계획을 수립
  - 대지도전율 측정 및 분석을 실시하여 위치를 선정하고 접지극 종류를 결정 

  - 접지저항은 접지선 및 접지전극의 도체저항, 접지전극과 대지간 접촉저항 및 접지 전극 주위의 대지저항으로 구분되며, 대지저항이 가장 중요

  - 접지공사 장소, 접지분야별 기준 접지저항, 접지구성 방식(공통,독립), 접지공법, 접지시스템의 구성도(접지전극, 접지저항 계산, 접지선 등)를 설계 

  - 접지저항의 측정이 용이한 장소에 접지시험 단자함 설치 


5. 접지 자재 선정 시 고려사항

  - 영구적일 것
  - 과도 전류를 충분히 흘려 보낼 수 있는 용량일 것

  - 낮은임피던스특성을가질것

  - 외부에노출된자재는물리적인강도가충분할것  
  - 사용자재(접지선, 동판, 동봉, 접속류 등)는 KS규격품일 것

  - 매설되는 접지극 및 접지선등은 특히 내부식성이 강한 규격품일 것 


6. 정보통신설비가 있는 건물의 접지시공방법

  - 보안용 접지와 기능용 접지를 적절히 혼합 설계하여 시공
  - 구내환경과 구성장비와의 배열 등에 따라 설계 및 시공
  - 기본적으로 전원용 접지설비는 별도로 분리하여 시설
  - 피뢰접지는 통신용설비와 일정거리를 이격 설치
  - 피뢰 접지선이 부득이 실내에 노출 시공시 반드시 절연관을 사용하며, 가스관 등
의 폭발 및 화재 위험성이 있는 곳을 피하여 포설 

 

 

 

 


 <참고1> 전원 콘센트까지의 전원접지 구성도

 

<참고2> 랙 통신접지 구성도

 

 

[Reference]

http://www.hanmacartplan.com/Package/program_basic/default/ex_default.php?type=read&bbscode=bbs4_menu401&num=32&key=&page=1&list_num=8&search_key=&search_info=

http://blog.daum.net/kic032/15211037

http://choijdgo.blog.me/27778966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 접지란 전기기기나 장비 등을 기준 전위를 갖는 대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공사임.
- 전기사용 시설물에서의 접지는 가장 기본적인 안전장치이며, 접지시설이 부적합하면 인명의 감전사고나 전자장비의 파손 및 오동작의 주원인이 됨.

- 초기의 접지는 낙뢰와 정전기 등으로부터 인명과 장치를 보호하는 역할이었

- 오늘날의 접지는 낙뢰는 물론 원하지 아니하는 과전류 및 과전압 유입, 전기적 잡음으로부터 전원, 통신 제어시스템 등의 복잡한 전기, 전자적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동작하게 하는 기능용 접지에 많은 관심을 가짐

 - 접지방식 및 접지저항에 대해서는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내선규정과 방송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정에서 명시하고 있음

 - 전기설비기술기준에서는 개별접지 방식인 제1종, 제2종, 제3종, 특별 제3종 접지공사를 규정하고 있으며 방송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서는 방송통신설비에 대한 접지 저항값을 규정하고 있음

 

2. 접지공사의 종류

  2.1 접지의 용도에 따른 분류

      1) 통신용 접지

      2) 낙뢰방지용 피뢰 접지

 

      3) 수배전 시설용 보안접지

 

  2.2 접지의 목적에 따른 분류

     1) 보안용 접지

         - 누전에 의한 감전및기기의손상,화재,폭발방지등 전기설비의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접지임.

     2) 기능용 접지

 

         - 전기, 전자, 통신 설비기기의 안정적 동작 및 운용을 목적으로 하는 접지임. 

 

 

  2.3 접지 상호간의 접속 형태에 의한 분류

      1) 공통 접지(common grounding)

         - 전기, 통신장비, 피뢰침과 같이 여타 다른 접지와 같이 접속하는 방식으로 주로 건물프레임에 연결을 하고 있다.

         - 경제적인 방식이긴 하나 낙뢰와 같은 고전압이 유입되었을 때 같이 접속되어 있는 모든 장비에 피해를 줄 수 있다

     2) 독립 접지

 

         - 장비별로 각각 접지를 접속하는 방식

         - 장비의 보호측면에는 좋은 방식이나 경제적 측면으로는 공통접지보다 불리하며, 각각의 장비간 전위차가 생길 수 있다

         - 독립 접지를 할 때는 접지간의 상호 간섭을 줄일 수 있도록 접지 사이를 최대한 멀리 떼어 놓는 것이 필요함

 

3. 전기설비기술기준에 의한 접지저항

 

  4. 방송통시설비의 기술기준에 의한 접지저항

     - 교환설비, 전송설비 및 통신케이블과 금속으로 된 단자함, 장치함 및 지지물 등이 사람이나 방송통신설비에 피해를 줄 우려가 있을 때에는 접지단자를 설치하여 접지하여야 함

     - 통신관련 시설의 접지저항은 10ohm 이하를 기준으로 함, 다음 각 호의 경우는 100ohm 이하로 할 수 있음

        가. 선로 설비 중 케이블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시설하는 접지(차폐 케이블은 제외)

        나. 국선 수용 회선이 100회선 이하인 주배선반

        다. 보호기를 설치하지 않는 구내통신 단자함

        라. 철탑이외 전주 등에 시설하는 이동통신용 중계기

        마. 구내통신선로설비에 있어서 전송 또는 제어신호용 케이블의 쉴드 접지

        바. 암반지역 등의 특수한 지형에서 기준 저항값 10ohm을 얻기 어려운 경우

 

 


 

Posted by 둔탱이
,

1. 통신접지 개요

2. 통신접지의 목적

3. 안테나 접지

  3.1 안테나 접지 목적

  3.2 안테나 접지 종류

      가. 심굴 접지

      나. 방사성 접지

      다. 다중접지

      라. 카운터포이즈

      마. 어스 스크린(Earth screen)

 

 

 

1. 통신접지 개요

- 접지란 전기기기나 장비 등을 기준 전위를 갖는 대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공사임.
- 전기사용 시설물에서의 접지는 가장 기본적인 안전장치이며, 접지시설이 부적합하면 인명의 감전사고나 전자장비의 파손 및 오동작의 주원인이 됨.

- 초기의 접지는 낙뢰와 정전기 등으로부터 인명과 장치를 보호하는 역할이었

- 오늘날의 접지는 낙뢰는 물론 원하지 아니하는 과전류 및 과전압 유입, 전기적 잡음으로부터 전원, 통신 제어시스템 등의 복잡한 전기, 전자적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동작하게 하는 기능용 접지에 많은 관심을 가짐

 

 

2. 통신접지의 목적

  - 전기적 피해로부터 시설물을 보호하기 위함

  - 전기적인 충격으로 부터 인명을 보호하기 위함

  - 전기기기 원활한 기능을 확보하기 위함.

  - 전력계통내부에서 야기되는 사고 또는 낙뢰와 같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고장전류 혹은 써지를 효과적으로 대지로 분산시킴으로서 기기의 절연파괴를 방지

  - 양호한 접지를 통한 기준전위의 제공은 모든 전기전자 장비를 하나의 대규모 시스템이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함.

 

 

3. 안테나 접지

 

  3.1 안테나 접지 목적

      - 통신 접지와 목적이 다름

      - 안테나 전파 방사 시 공중선의 복사능률을 좋게 하기 위해 접지저항을 작게 해야 함

      - 또한 전파 방사 시 고주파 성분이 많기 때문에 접지를 통해 대지로 흘려보내야 함

      - 수평계 안테나 접지는 낙뢰 보호용도로 사용

 

  3.2 안테나 접지 종류

      가. 심굴 접지

         - 공중선에서 가까운 지점에 지하수가 나올 정도의 깊이에 동판을 매설하여 그 주위에 수분을 잘 흡수하는 목탄을 넣어서 접
촉저항을 적게 함.
        - 접지 저항은 10[Ω] 전후로서 소전력 송신기에 사용함

 

      나. 방사성 접지

        -  지선망 방식이라고도 하며 지하 50~100m 정도에 2.9mm 동선을 최소한 공중선의 높이와 같은 정보의 길이로 수십줄(보
통 120줄) 방사상으로 매설하는 접지방식.
         - 접지 저항은 5[Ω] 정도로 중파방송용에 많음.

 

      다. 다중접지

         - 공중선 전류를 지선망의 각 분구에 똑같게 흘려서 공중선 전류가 기저부에 밀집하는 것을 피하여 접지저항의 감소를 도
모하는 방식
        - 기저부에서 먼 곳은 가공선의 인덕턴스가 크기 때문에 코일의 위쪽에서 따냄.
        - 접지저항은 1~2[Ω]로서 대규모 방송국에 사용됨.


      라. 카운터포이즈
        - 대지의 도전율이 나쁜 경우 방사상의 지선망을 공중선 높이의 약 5%의 지상에 대지와 절연하여 설치하는 용량접지방식으로 중전력용임.

        - 다른 방식으로는 절연 도선을 지상에 깔아 놓기도 하며 지선의 끝부분에는 고압이 걸리므로 절연하여야 함.

        - 건조지, 암산, 수목이 많은 곳, 건물의 옥상 등에 사용

 

      마. 어스 스크린(Earth screen)

        - 동선을 방사상으로 치는 대신 공중선 투영 면적 아래 및 그 주위에 대략 실효높이와 같은 폭의 면적에 스크린을 물어 접지
하는 방식
        - 이때 눈금의 간격은 실효고의 1/10보다 작게 함.


 

 

 


 


 



 


 

Posted by 둔탱이
,
네트워크 인프라 측면에서의 가상화(Virtualisation) 기법을 설명하고, 실제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고려사항

 

1. 가상화 등장배경 

2. 가상화란?

3. 가상화 기술의 분류

4.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

5. 실제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고려사항




 

1. 가상화 등장배경

  - 기업이 최근 가상화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는 것은 하드웨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임

  - 일반적으로 IT 하드웨어는 성능과 용량, 효율성 등의 문제로 주어진 용량의 100%를 활용하지 못함, IT 자원을 100% 활용하도록 설정하지 않은 것은 시스템의 안정성 때문임

  - 이로 인해 기업의 IT 자산은 필요량에 비해 과투자되고 있는 상황 

  - 가상화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했으며 물리적인 하드웨어를 논리적으로 나눠 사용해 IT 자원의 활용도를 높임

 

 

2. 가상화란?

  - 가상화란 물리적인 자원들을 논리적으로 표현해 효율적으로 사용하거나 여러 개의 자원을 논리적으로 통합하여 관리해 주기 위한 기술

  - 가상화란 물리적 요소와 위치를 추상화하는 것을 말합니다.

  - 가상화 기술은 물리적 리소스와 논리적 리소스 간의 매핑을 생성하고 실행

  - 가상화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해 필요한 기본 기술 중의 하나

  -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해서는 사용량이 늘면 컴퓨팅 리소스를 무제한 확장할 수 있는 확장성과 사용량이 줄면 컴퓨팅 리소스를 줄일 수 있는 탄력성이 필요한데 가상화 기술은 이를 가능케 함

 

3. 가상화 기술의 분류

  - SOI(Service Oriented Infrastructure)는 IT 인프라를 서비스로서 설명하기 위한 체계임

  - 가상화의 시작은 서버였지만 현재 네트워크, 스토리지, 데스크탑 등으로 확산, 최근에는 어플리케이션이나 보안의 영역에까지 가상화의 이론을 적용한 기술이 등장

  - 가상화는 일반적으로 서버, 스토리지 및 네트워크와 같은 전통적인 단위 하드웨어 자원에 많이 적용되어 왔다.

  - 그러나 가상화의 적용 범위는 단순히 하드웨어 차원의 IT 리소스에만 한정되지 않고 애플리케이션, 미들웨어, 분산 시스템 및 가상화 자원들 자체를 포함하여 비실체적인 자원들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도 있다.

 


4.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

   - 네트워크 가상화는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가 마치 여러 개의 다른 기종 프로토콜이 운영되는 논리적 오버레이 네트워크와 같이 운용되는 것을 가리킨다

   - 이는 클라우드 컴퓨팅과 미래 인터넷에서 핵심기술로 대두되고 있으며, 인터넷에서 요구하는 가상화 기술에는 호스트 가상화, 링크 가상화, 라우터 가상화, 스위치 가상화 등이 있다

  - 서버와 스토리지는 가상화를 통해 효율성을 확보하고 있지만, 하드웨어가 중심이 되었던 네트워크는 이를 따라가지 못했다

  - 네트워크 가상화는 전용 네트워크 연결방식과 달리 가용한 전체 자원에 대해 대역폭 요구사항을 할당해 네트워크 성능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

 

   가. 호스트 가상화

      - 가상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호스트를 가상화하는 기술

   나. 링크 가상화

      - 하나의 물리적인 네트워크 디바이스(예:10G 이더넷 디바이스)에서 다수의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기능을 지원해주는 기술

     - VLAN 기술과 같이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여러 개의 링크로 보이도록 하는 기술

   다. 라우팅 가상화

      - 하나의 물리적인 라우터에서 자원을 엄격히 분리하여 다수의 가상 라우터를 구성하는 기술

   라. 스위치 가상화

      - 라우터 가상화의 데이터 plane 가상화와 유사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0041202011831738001

 

5. 실제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고려사항

  -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 도입으로 인해 네트워크 상에 병목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

  - 네트워크 가상화에 따른 보안 취약에 대한 대책이 필요

  - 가상화 도입시 단계적으로 실시하여 신기술 도입에 따른 위험 요소를 단계적으로 해결해나가야 함

  - 효과적인 도입을 위하여 경험이 많은 전문 인력과의 협업이 필수 

 

 

가상화 기술의 동향 및 주요 이슈(Ⅰ).pdf

 

http://www.itworld.co.kr/news/86025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0041202011831738001
 


'Internet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S, NAS, SAN  (4) 2015.11.16
인터넷 데이터 센터(Internet Data Center) 구축 시 주요 고려 사항  (0) 2015.09.29
HTML5  (0) 2015.09.20
빅데이터  (0) 2015.09.20
클라우드 컴퓨팅  (0) 2015.09.20
Posted by 둔탱이
,

기가코리아

Internet/WAN 2015. 9. 20. 10:11

기가코리아의 정의, 서비스 및 인프라 구현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개요

2. 기가코리아 목표

3. 서비스 구현 기술

4. 스마트 테라 인프라 기술

5. 테라 광통신 기술

6. 무선 기가급 액세스 기술

 

 

 

1. 개요

  - 오는 2020년까지 스마트 코리아를 실현하고 우리나라를 글로벌 IT선도국가로 발전시키기 위한 범부처 IT혁신사업

  - 기가코리아 사업은 네트워크, 단말, 플랫폼, 콘텐츠 등 4개 세부 분야로 나누어 추진되며, 모든 인간과 사물이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초연결 시대(Everything over internet)를 대비한 스마트 IT 기반 구축에 나서게 된다.

 

2. 기가코리아 목표

  - 기가코리아 사업의 최종 목표는 2020년 모든 사람들이 기가급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공간과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고품질 디지털 정보(3D 콘텐츠, 8K급 실감미디어, 홀로그램 등)를 자유롭게 유통하고 서비스할 수 있는 환경 건설

 - 즉 종단간의 홀로그램 콘텐츠를 비롯한 기가급의 초고품질 멀티미디어 트래픽의 실시간 전달을 지향

 - 구체적으로 현재의 개인당 평균 100Mbps급의 무선데이터 속도를 2020년까지 현재의 10배 이상인 개인 단말당 최대 1Gbps급의 무선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고, 3D 콘텐츠, 홀로그램 등의 대용량 실감미디어를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플랫폼과 콘텐츠도 함께 개발하는 것이 목표

 

- 네트워크 분야: 모바일 환경에서 끊김 없이 실감 형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기가급 네트워크 기술을 개발

- 단말·HW분야: 실감형 3D/홀로 그램 등 대용량 실감미디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 하는 고성능 원천기술개발

- 플랫 폼·SW 부문: 초대용량/고품질 미디어 처리에 요구되는 고성능 컴퓨팅 플랫폼을 개발

- 콘텐츠와 서비스: 극 사실감을 제공하는 오감형 가상현실 콘텐츠 등 양방 향 실감 서비스를 위한 미래 콘텐츠를 개발

 

 

3. 서비스 구현 기술

  - 개인별 기가급 유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무선 기가급 액세스 기술

                               테라급 광 액세스・코어 네트워크 기술

                               이러한 네트워크 인프라 자원을 지능형으로 제어관리 하는 스마트 테라 인프라 기술

    이 요구된다

 

 

<출처:TTA Jounal vol.146>

4. 스마트 테라 인프라 기술

    - ICT 환경의 급속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인프라의 유연화, 지능화, 개방화, 컴퓨팅과 네트워킹의 밀 결합화

    가. 스마트 제어 및 관리(Smart Control & Management)

        (1) SDN 기반의 인프라/네트워크 제어 및 관리

           - SDN은 기가코리아 네트워크 인프라 실현에 필수적인 지능형 인프라로의 패러다임 전환 기술

           - 기존의 스위치 라우터에서 제어기능을 분리하여 중앙집중화 시키고, 개방형 Open API를 통해 네트워크의 트래픽 제어

           - 망의 구성과 동작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하고자하는 개념

        (2) 스마트 유무선 통합 인프라 제어 관리

           - 미래 모바일 서비스 환경은 2G, 3G, LTE, WiFi, WiMAX 등 이종 무선환경의 통합적인 수용이 가능한 구조로 진화

           - 이를 위해서 이러한 유무선 인프라 자원에 대한 글로벌 뷰를 기반으로 수요에 따라 소프트웨어적으로 유연하게 대응

 

<출처:TTA Jounal vol.146>

    나. 테라급 지능형 통합 ICT 노드

        - 초고품질 콘텐츠 서비스를 동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테라급 지능형 통합 노드(Smart ICT 에지, Flex Tera Node)

 

5. 테라 광통신 기술

     가. 기가 액세스 기술

          1) NG-PON2

            - 다수개의 XG(10G)-PON 서브 네트워크가 WDM 기술을 이용해 스플리터 기반의 단일 ODN을 공유하는 단순 구조

            - 총 전송용량 40Gbps, 가입자당 유효 대역폭 최대 1Gbps, 수용 가입자 수는 64가입자 이상(가입자에게 제공 가능한 대역폭은 최대 10Gbps로 제한)

 

         2) 40Gbps급 광가입자 기술

           - 최대 40Gbps까지 유연하게 트래픽 제공 기술 필요

           - 최대 100Gbps급 대역폭이 가능한 OFDM-PON 기술과 소프트웨어적으로 트래픽을 유연하게 제어 가능한 광네트워크 기술 논의 중

 

         3) 유무선 융합 액세스 기술

          - OFDM-RoF(Radio over Fiber)는 유무선 융합 가입자망 구축 기술

          - LTE-A, 5G와 같은 대용량 무선 트래픽의 처리를 광가입자 단말 장비 등을 활용해 수용하는 기술

 

 

 

 

     나. 지능형 대용량 전송 기술

       1) 패킷-광 전달 장비(캐리어 이더넷/PTN)

          - 캐리어급 특성을 갖고 데이터 망에 적합한 새로운 패킷 전달 기술

          - 기존 LAN 영역에서 사용되던 이더넷을 SONET/SDH와 같은 고신뢰성 전송망의 수준으로 개선하고, 패킷 기반의 전송망을 위한 고품질의 QoS를 가지게 함으로써 그 적용 영역을 MAN/WAN 영역으로 확장할 수 있는 기술

       2) 초고속 광전송 장비(OTN)

          - 장거리 신호 전송을 위해서는 신호가 에러없이 전송되도록 해야하며 망의 효율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저속 신호들을 고속 신호로 묶어주거나 교환해주는 스위칭 기술이 필요

          - 이러한 기능을 구비한 대표적인 예가 SONET/SDH 장비인데, 최근 들어 WDM 기술이 보편화되면서 이를 대체하는 OTN(Optical Transport Network) 표준이 ITU-T에서 제정 

 

6. 무선 기가급 액세스 기술

  - 기가급 광역 무선기술

  - 수십 기가급 협역 무선기술

  - 초협대역 TeraHerz 기술

 

 

<References>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1053102011857731002

http://cafe.naver.com/ipte4/579

 

스마트테라인프라기술.pdf

 

테라광통신기술.pdf


 

'Internet > W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답형>P2P(Peer to Peer) Network  (0) 2015.11.25
GMPLS  (0) 2015.11.05
Future Network(미래통신망)  (0) 2015.09.20
서술형>SDN  (0) 2015.09.20
단답형>CCN  (0) 2015.09.20
Posted by 둔탱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