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XC

Optical_Network/전송/교환 2015. 9. 20. 10:53

1. 개요

2. OXC의 구조

 1) 광스위치

 2) 파장변환기

 3) MUX/DEMUX

 4) OA(Optical Amp)

 5) 제어평면

3. OXC의 종류

 1) Opaque OXC

 2) Transparent OXC

4. OXC의 주요 요소기술

 1) 광스위칭 Fabric

 2) 파장변환기

 3) 제어평면기술

5. 결론

 

1. 개요

 - 최근 서비스 제공자 백본망에서 요구되는 대역폭 용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SONET/SDH 장비가 코어에서 에지 또는 국간 전송 수준으로 밀려나고, 그 자리를 대용량 DWDM 장비가 대신하고 있음

 - 이에 따라 DWDM 장비를 통해 전송되는 수십, 수백 개의 광 파장들을 관리할 수 잇는 새로운 광교환기술이 필요하게 됨, 이것이 바로 'OXC'임

 - 일반적으로 수십 Gbps의 처리 용량을 가지는 DSC와 비교하여 OXC는 테라비트 이상의 데이터 처리 능력을 가짐

 

2. OXC의 구조

 

 1) 광스위치: OXC의 핵심, 광신호를 교환해주는 교환기

 2) 파장변환기: 출력포트에서 동일파장으로 충돌을 피하기 위한 파장 변환기

 3) MUX/DEMUX: WDM 신호 또는 TDM 신호를 다중화/역다중화하는 기능

 4) OA(Optical Amp): 광증폭기, 약해진 신호를 증폭시키는 기능

 5) 제어평면: 시스템/선로 감시제어, 광신호 연결설정을 위한 시그널링 기능 수행

 - OXC는 크게 광학적인 경로를 설정해 주는 하드웨어 부분과 주로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지는 제어계층으로 구분할 수 있음.

 - 입력되는 파장 다중화된 광신호는 역다중화되어 광스위치로 입력됨.

 - 회선 경합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광스위치는 입력되는 광신호를 투명하게 출력 포트로 연결해 줌. 한편 회선경합이 발생하는 경우 파장변환기 모듈로 광신호를 연결하여 파장변환을 수행한 후 지정된 출력 포트로 연결해 줌.

 - 만약 입력 및 출력 광신호의 세기가 약할 경우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광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음. 손실이 적은 경로이거나 OXC에서의 손실이 적은 경우 광증폭기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으며 입출력 중의 한 쪽만 사용할 수 있음.

 - 광 스위치는 OXC의 핵심 요소로서 다수의 입력 및 출력 포트를 가지는 공간스위치로서 임의의 입력 포트로 입력된 광신호를 출력 포트로 연결해 줄 수 있는 기능을 가짐.

 - 파장변환기는 전광통신망에서 회선 경합을 피하게 해줌으로써 회선 이용 효율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는 모듈임. 파장변환기는 크게 광전변환(O/E/O, opto-electronic conversion)을 이용한 파장변환기와 전광(all-optical) 파장변환기로 분류됨. 광전변환기는 현재 상용화 기술에 가장 가까운 기술이며, 전광 파장변환기는 초고속 데이터를 처리하는 차세대 광 통신망을 위한 기술로 각광을 받고 있음.

 

3. OXC의 종류와 특성 

 - OXC는 분기/결합 기능의 유무, 파장 변환 기능의 유무, 스우치의 형태 등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

 - 특히, 전기스위치를 이용한 것과 광스위치 소자를 이용한 것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음

  1)Opaque OXC

    - 전기스위치를 이용한 OXC

    - 전-광, 광-전 변환 필요

    - EXC(Electronic Cross-Connect), OEO(Optical Electrical Optical) OXC, BDXC(Brodband Digital Cross-Connect). Ultra-Dxc 모두 동일한 용어임

    - W-DCS에서 용량 Upgrade 된 장비, Grooming 기능 가능한 장점

    - TDM 기반의 OXC, 시장에 출시된 대부분의 OXC는 Opaque OXC임

  2) Transparent OXC

    - 광스위치 소자 사용

    - OOO(Optical Optical Optical) OXC, PXC(Photonic Cross-Connect)와 동일한 용어

    - Transparent OXC의 분류


        가. FXC(Fiber Cross-Connect): 광섬유단위 스위칭, 자동 광분배기의 기능을 가진 장비로 상용화됨

        나. WSXC(Wavelength Selective Cross Connect): 파장단위 분기/결합 가능, WDM의 WSS(Wavelength Selective Switching)로 상용화됨

        다. WIXC(Wavelength Interchanging Cross-Connect): 파장변환기능을 추가한 OXC, 아직 미개발되었으나, 가까운 장래에 개발될 것으로 판단 


4. OXC의 주요 요소기술

 1)광스위칭 패브릭

   가. MEMS(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 스위치: 공간적으로 움직임이 가능한 SI 기판을 이용하며, 미소거울의 각도를 조절한 스위치

  나. 열광학스위치: 광도파로의 온도변환를 통해 굴절률을 변화시켜 광신호를 스위칭

   다. 버블스위치: 광도파로 교차점에 오일을 채운 구멍을 이용하여 스위칭

 2) 파장변환기

   가. 회선경합을 피하여, 회선이용 효율을 높이는 역할

   나. OEO 파장변환: 상용화 완료

   다. OOO 파장변환: 차세대 기술임, WIXC OXC로 진화하기 위한 필수 기술

   라. 종류로는 레이져, 코히어런트, 광게이트, XPM 파장 변환기가 있음

 3) 제어평면기술

   가. GMPLS기술: 시스템/선로 감시제어, 광신호 연결 설정을 위한 signalling 기능 수행

   나. 기타 라우팅 기술: GMPLS 기반의 라우팅기술을 적용하여, 최적의 경로 선택가능


5. 결론

 1) OXC는 all optic network 장비의 핵심임

 2) OXC는 TDM(SONET/SDH) 계열과 WDM 계열로 크게 구분할 수 있는데, WDM 기반 스위치가 WSS라는 용어로 특화되면서, 시장에서는 TDM 계열인 Opaque방식의 OXC만을 OXC로 칭하고 있음

 3) WSS기반 기술을 통해 WDM 장비는 ROADM(Reconfigurable Optical Add Drop Multiplexer)로 발전함

 4) 고성능 프로세서의 발달에 따라 Coherent 광전송 기술이 개발 중에 있으며, 이를 통해 OOO기반의 파장변환 기능과 Tunable Receiver 기술이 가능할 전망임

 5) 이러한 기술 발전은 WDM 영역에서도 TDM과 같이 Optic level에서의 자유로운 광교환과 광라우팅을 가능케 할 것으로 판단함 

 

 <참고>

Optical network

출처: http://kunet.korea.ac.kr/english/sub1_1.php

 

Network model

출처: http://cordis.europa.eu/infowin/acts/analysys/general/acts97/guide/chap5.htm

 

출처: http://cordis.europa.eu/infowin/acts/rus/projects/ac073.htm

 

출처: http://spie.org/x25330.xml

출처: http://dec3.jlu.edu.cn/webcourse/T000410/files/bjjx/bjjx5.3.html

 

 

<참조>

http://i-bada.blogspot.kr/2012/05/blog-post_30.html#!/2012/05/blog-post_30.html

http://blog.naver.com/lemonaroma98?Redirect=Log&logNo=60016107301

http://blog.naver.com/hts8376?Redirect=Log&logNo=100007077102

http://blog.naver.com/hjo0075?Redirect=Log&logNo=140015471993

http://cafe.naver.com/ipte4

http://www.sdsolution.co.kr/board_sd/download.asp?filename=7d2128b7_oxc.hwp.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2. 광전달망에서의 OADM의 위치 및 그 기능

3. OADM의 종류

 3.1 파장 고정형 OADM

 3.2 Reconfigurable OADM(R-OADM)

   3.2.1 Broadcast and Select 구조

   3.2.2 스위치 기반 구조 

4. 결론



1. 개요

 - 통신망은 초기 장거리 전송기반의 점대점 방식에서 도시간 통신을 주축으로 하는 메트로망에는 링구조가 도입되었고, 향후 보다 효율적인 망운용을 위해 메쉬(mesh)형태의 네트워크 구조로 발전이 진행 중

 - 메트로망에서는 전송 대역폭을 늘리기 위해 다채널의 신호를 하나의 광섬유를 통해 전달하는 DWDM(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각 노드에서 필요한 신호를 추출(Drop)해 내고 노드에서 생산된 신호를 삽입(Add)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er)이라 한다. 

- OADM은 O-E-O(Optical-Electrical-Optical) 변환 없이 특정 파장을 Add/Drop하고 일부는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


2. 광전달망에서의 OADM의 위치 및 그 기능




3. OADM 종류

 3.1 파장 고정형 OADM(Fixed OADM, F-OADM)

     - 정해진 파장만 Add/Drop 가능, Add/Drop하는 파장과 파장의 수가 정해져 있음

     - 새로운 파장이 추가되거나 삭제될 때 기존 서비스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숙련된 기술자가 직접 국사를 방문해 수작업으로 파장을 추가 또는 삭제해야 하므로 시간과 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음

 

 3.2 Reconfigurable OADM(R-OADM)

     - F-OADM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도입

     - 동적으로 광 파장 신호를 분기결합할 수 있음

     - 원격지에서 망을 재구성할 수 있어 망의 효율성 제고 및 운용 비용 절감 

     - ROADM은 전달망의 발전에 따라 유연성 향상을 휘해 여러 세대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음

 

   3.2.1 Broadcast and Select 구조

         - 분기파장 및 통과파장을 모두 파장 다중화된 상태로 broadcast한 후 수신부에서 적절한 방법으로 필요한 파장을 선택

         - Wavelength Blocker(WB)라고 불리는 DCE(Dynamic Channel Equaliser)는 통과 파장들의 광세기를 파장 별로 조절할 수 있고 특정 파장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 2 degree 노드에서만 사용가능

   3.2.2 스위치 기반의 구조

         - 필요에 따라 스위치를 이용하여 추출 또는 삽입하는 기능을 수행

         - 메쉬 형태의 네트워크 구조로 발전이 되면서 효율적인 신호처리와 비용절감을 위해 파장선택스위치(WSS:Wavelength Selective Switch)와 파장가변 트랜스폰더가 도입

         - WSS란 하나의 포트로 다채널 광원의 입력 시 여러 개의 출력포트로 자유로이 파장(Colorless)와 경로(Directionless)를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는 장치

         - 이러한 파장 선택스위치의 도입으로 운영자는 메쉬 네트워크상에서 필요에 따라 마음대로 파장별 경로 선택이 가능

         - 다수의 입력 WDM 신호에 대해 원하는 출력 포트로 원하는 파장을 내보낼 수 있어 유연한 망 구성이 가능


4. 결론

 - 네트워크의 대역폭 및 복잡도 증가에 따라 ROADM은 지속적으로 발전 중

 - 현재 미국, 일본을 시작으로 ROADM이 활발하게 도입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보급이 진행 중

 -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성능 대비 비용이 최적화된 여러 세대 ROADM이 동시에 사용되고 있으며 그 적용 범위는 더 넓어질 것으로 전망


[참고]

광트랜시버/광송수신기

 - 광송신기 및 광수신기를 하나로 모듈화시킨 것

광트랜스폰더/광파장변환기

 - 파장 또는 주파수 변환(수신주파수를 또 다른 반송주파수로 변환)하여 재전송(전달)하는 광모듈


http://blog.naver.com/unwired/20059985960

http://www.ktword.co.kr/abbr_view.php?m_temp1=1986&m_search=oadm

http://ettrends.etri.re.kr, SDN 구현을 위한 광통신 핵심 요소 기술 

http://ettrends.etri.re.kr/PDFData/19-6_001_012.pdf


 

'Optical_Network > 전송/교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에서 런던까지 장거리 통신 구성 방법  (0) 2015.09.20
OXC  (0) 2015.09.20
MSPP  (0) 2015.09.20
ATM 교환기  (0) 2015.09.20
디지털회선 분배장치(DCS: Digital Cross-Connect System)  (0) 2015.09.20
Posted by 둔탱이
,

MSPP

Optical_Network/전송/교환 2015. 9. 20. 10:51

1. 개요

2. MSPP 필요성

3. 기술적 특징

4. MSPP의 장점

5. MSPP 구성도

6. 기존망과의 비교

 

 

 

 

1. 개요

  - Multi-Service Provisioning Platform

  - 모든 서비스를 통합하는 하나의 기술이 아니라, 여러 기술 또는 계층을 단지 하나의 장비에서 통합 구현하는 방식

  - SDH 광전송 기술을 기반으로 단일 장치상에서 기존 TDM 전용서비스(DS1, DS3) 및 NG-SDH 기반의 이더넷 서비스를 함께 수용할 수 있는 장치

  - 단일 장치를 통한 음성/데이터 통합 멀티 서비스 제공으로 고객 액세스망 고도화 구현

 

2. MSPP 필요성

  가. 망의 진화에 따라 일반 서비스 사용자의 접속환경의 변화

     - 기존 음성 서비스 위주에서 이더넷서비스로 전환됨

     - 동일 장치내에서 다양한 서비스가 요구됨

  나. 기존 SDH 망의 효율적인 이용방안이 필요

     - 기존 SDH 망을 활용한 이더넷 서비스 방법이 필요

     - 이더넷, IP 등 패킷 기반의 데이터 트래픽을 SDH 기반 전송망을 통해 효과적 전달 필요

  다. 가입자의 투자비용 절감 및 QoS 보장 필요

     - 음성, 데이터, 이더넷등의 다양한 서비스에 따른, 가입자의 중복투자 비용 발생됨

     - 고객 서비스의 충분한 대역폭 확보와 인터넷 서비스의 QoS 보장 필요 

 

3. 기술적 특징

   가. 다양한 종류의 인터페이스를 통합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서비스 욕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서비스 형태의 변경이 용이

     - 다양한 인터페이스 지원: 기존의 동기식 뿐만 아니라, IP 트래픽까지도 처리 가능

                                         SDH Interface: STM-1/4/16/64 등 STM-n 또는 OC-n

                                         PDH Interface: DS-1/3 등 DS-n

                                         기가비트 이더넷 인터페이스:GbE

                                         SAN(Storage Area Network) 인터페이스

                                         ATM 및 DWDM 인터페이스 등

   나. 다양한 형태의 망구성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이고 단순한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

      - PTP(Point To Point), Ring 구성 지원

      - Multi-Ring, Dual Node Interface 구성 지원

 

  다. 고용량 SDH 신호 스위칭 기술

   - 기본적으로 SONET/SDH에 의한 Add/Drop Multiplexing 기능에 기초하여 하나의 단일 섀시 공간 안에 OC-3/OC-12/OC-48/OC-192 등 다양한 신호계위의 SONET/SDH ADM(분기결합)과 디지털 크로스커넥트(교차연결) 기능을 통합

  라. RPR(Resilient  Packet Ring)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인 데이터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 RPR 기능을 이용한 Paket Ring 구성 가능

  마. Layer-2 스위칭 기능을 제공하여 Ethernet 서비스의 통합수용이 가능하다

 

4. MSPP의 장점

  - 기존 SDH 망 및 인프라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다양한 서비스 제공(기존의 동기식 뿐만 아니라, 이더넷, SAN, 기업 데이터/음성 전용회선 등)

  - EoS(Ethernet over SDH) 기술 및 RPR 기능을 적용하여 안정적인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

  - 대역폭을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씩 세분화 가능->세밀한 트래픽 제어관리가 가능

  - 가입자가 원하는 속도 및 서비스를 중단없이 재빨리 구성하여 제공 가능

  - 다양한 형태의 망구성이 가능

  - 각 네트워크 구조상 여러 계층 즉 IP로 시작해서 ATM을 지나 SDH를 거쳐 DWDM으로 전송된 후 역과정을 거쳐 IP로 마지막 목적지에 전달이 되는 복잡한 계층을 IP에서 출발하여 DWDM으로 전송되도록 간소화시킴

 

5. MSPP 구성도

http://www.bin-net.co.kr/html/business/mspp.php?top=t02&left=l02&sub=s01

 

https://www.kdn.com/home3/wm/sp/WMPC_0102.jsp?toMenuNum=35&m_flag=Y

 

 6. 기존망과의 비교

 

MSPP_kt.ppt

 

 

 

 


 

Posted by 둔탱이
,

<기출문제>

1. 개요

2. 기술적 특성

3. ATM 교환기원리, 회선교환기 및 패킷교환기 비교

 

<Background>

 ISDN

1. 배경

  - 전화는 단순히 음성전달만으로도 그 역할은 충분했지만 이제는 영상과 음향, 데이터, 문자까지 멀티적인 모습을 요구한다.

  - 이러한 정보들은 PSTN(공중전화통신망), CSDN(고속회선 교환망), PSDN(공중DATA통신망), TELEX망, FAX전용망으로 해결이 가능하다.

  - 하지만 이러한 서로 다른 형태의 서비를 이용을 하려면 각기 다른 회선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일 수 밖에 없다.
  - 이러한 개별망을 이용한 정보전송을 하나의 네트웍을 통하여 끝에서 끝까지 모두 디지탈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자는 생각이 바로 ISDN(종합정보통신망, Inter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이다. 즉, 교환기와 전송로 모두를 끝에서 끝까지 디지털화하여 종합서비스를 제공하는 셈이다

  - 다른 매체는 물론, 평범한 구리전화선 위에서도 디지털 전송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일련의 CCITT/ITU 표준

http://blog.daum.net/jamesan2020/15698984

 

http://rabbit3000.tistory.com/m/post/1141

 

 

 

2. ISDN의 물리적 구성

  - ISDN의 장치 구성을 보면, 크게 LE(Local Exchange), NT(Network Terminal), TA(Terminal Adapter), TE(Terminal Equipment)의 4가지의 기능장치로 구성됨

  - R point는 TE2/TA사이, S point는 TE1/NT2 사이, T point는 NT2/NT1사이, U point는 NT1/LE사이의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 물리적 채널 속의 논리적 채널: 물리적으로는 한 선로이지만, 논리적으로는 내부에 여러 갈래의 선로로 다시 나누어져 있음

        B: 음성 및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 채널로서 64kbps의 기본 속도를 가지고 있다

        H: 고속데이터 전송을 목적으로 하는 채널로서 384kbps 이상의 속도를 가짐

        D: B/H 채널의 제어 및 전체적인 제어신호를 가진 논리적 채널

   - 이러한 논리적 채널은 하나의 물리적 회선속에 존재하며, 물리적으로 프레임속의 일정한 공간을 차지함으로써 구분되어짐(TDM 방식) 

 

 

3. ISDN 서비스

  - ISDN에는 두 종류의 서비스가 있는데, 가정이나 소규모회사에는 BRI (Basic Rate Interface)가, 많은 사용자를 위해서는 PRI (Primary Rate Interface) 서비스가 적합하다.

  - 두 종류 모두 여러 개의 B 채널과 한 개의 D 채널을 포함한다.

  - B 채널에는 데이터, 음성 및 기타 다른 서비스를 전송할 수 있으며, D 채널은 제어 및 신호정보를 전송한다.

 

 가. BRI(Basic Rate Interface) 

    - BRI는 64 Kbps 속도를 내는 2개의 B 채널과, 16 Kbps 속도를 내는 1개의 D 채널로 구성된다.

    - 그러므로, BRI 사용자는 최고 속도 128 Kbps까지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 가정에 공급하기 위한 서비스  

 

  나. PRI(Primary Rate Interface)

     - 사용자에게 n개의 64 kbps B 채널과 1개의 64kbps D 채널을 제공하는 interface

     - 미국의 경우에는 23개의 B 채널과 64 Kbps 속도를 내는 한 개의 D 채널로 구성

     - 유럽의 경우에는 30개의 B 채널과 1 개의 D 채널로 구성된다

     - LE 사이의 전송방식 또는 대규모 데이터 전송을 필요로 하는 곳

 

 

   ADSL과 ISDN의 스펙트럼 충돌

http://www.pcwize.com/tech/telecommunications/adslxdsl.shtml

 

 

4.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Broadband ISDN)

  - ISDN은 기존의 전화선을 그대로 이용하는 N-ISDN과 광 통신망을 이용하는 B-ISDN으로 구분

  -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으로 현재의 종합정보통신망(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s)보다 훨씬 고도의 광범위 서비스가 가능하다.

  - 기존의 ISDN은 동선을 사용한 64kbps를 기본으로 한 통신망으로서, 광섬유에서도 최대 1.5M~2Mbps까지의 정보밖에 전송할 수 없다.

  - 그러나 TV 화상을 전송하는 데에는 수 10Mbps 정도가 필요하다.또한 구내의 LAN에서 사용되는 10Mbps의 이더넷(Ethernet) 또는 100bps의 FDDI(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의 LAN간 상호 접속을 위해서는 100Mbps 이상의 전송속도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ISDN이 필요하다.

  - 이와 같은 TV 전송이나 LAN간 상호접속, 영상을 포함한 멀티미디어 통신 등에는 현재의 ISDN보다 10배 이상의 고속 전송이 가능한 ISDN이 필요하다. 이것이 바로 Broadband ISDN이다.

  -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의 정보 전달방식은 회선전달방식과 패킷전달방식을 통합한 비동기식 전달방식(ATM:Asynchronous Transfer Mode)으로써 150Mbps부터 600Mbps의 초고속 대용량 데이터의 디지털전송이 가능해 영상통신, 멀티미디어 통신 등을 할 수 있게 한다

 

5. ADSL의 등장

  - 98년 ADSL이 나오기 전까지 ISDN은 21세기 정보강국을 향한 계획중 가장 중요한 핵심

  - 그렇지만, ADSL의 등장과 함께 가속화된 인터넷 열풍으로 ISDN은 그만 피기도 전에 사그라 들고 맘

  -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서비스를 짚고 넘어가는 이유는 그 중간 단계에서 남긴 파생 기술(ATM같은)과 개념들이 여전히 인터넷이라는 것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기 때문

 

    

 

 

1. 지금까지의 교환 방식의 단점

2. ATM이란?

3. ATM Packet 또는 Cell 구조

4. ATM 계층 구조

  4.1 ATM Adaption Layer

  4.2 ATM Layer

  4.3 물리계층

5. ATM 통신방식의 특징

6. ATM 교환방식과 타 교환방식과의 비교

  6.1 회선 교환과 ATM의 차이

  6.2 패킷 교환과 ATM 의 차이

  6.3 Frame-Relay 와 ATM 의 차이

  6.4 ATM과 STM 방식과의 비교

 

1. 지금까지의 교환 방식의 단점

  가. 회선 교환 방식의 특징 (예: 전화망)

     - 가장 고전적인 회선 교환 방식은 회선 접속 후 정보량이 많든 적든 간에 고정적인 속도에 의해 전송 하므로 연속성이나 실시간이 요구 되는 음성통신에 알맞은 방식이나 한번 점유된 노드의 전송이 끝나기 전에는 다른 노드의 접속이 불가능한 단점 즉, 회선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제기된다.

  나. 패킷 교환 방식의 특징 (예 : X.25 )

     - 패킷 교환 방식은 회선의 효율성을 강조 하기 위해 회선이 비기를 기다리지 않고 정보를 적당한 데이터 크기로 잘라 헤더에 수신처 주소,제어정보를 추가해서 전송 한다.

     - 각 PACKET마다 Destination을 지정해서 송신 하기 때문에 다중 전송이 가능해 졌지만 이경우 각 Packet은 교환기의 Software에 의해 처리 되기 때문에 상당량이 Buffer에 머물러야 하는 Delay Time문제 또한 데이터 폭주시 전송 시간의 변동이 커지는 것들이 문제로 제기 된다.

     - 패킷의 크기는 128~4096 Byte 범위의 유연성을 가져 정보의 속성에 따라 임의로 설정 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telecommunications companies are investigating fiber optic cross country and cross oceanic links with Gigabit/sec speeds, and would like to carry in an integrated way, both real time traffic such as voice and hi-res video which can tolerate some loss but not delay, as well as non real time traffic such as computer data and file transfer which may tolerate some delay but not loss. The problem with carrying thes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raffic on the same medium in an integrated fashion is that the peak bandwidth requirement of these traffic sources may be quite high as in high-res full motion video, but the duration for which the data is actually transmitted may be quite small. In other words, the data comes in bursts and must be transmitted at the peak rate of the burst, but the average arrival time between bursts may be quite large and randomly distributed. For such bursty connections, it would be a considerable waste of bandwidth to reserve them a bucket at their peak bandwidth rate for all times, when on the average only 1 in 10 bucket may actually carry the data. It would be nice if that bucket could be reused for another pending connection. And thus using STM mode of transfer becomes inefficient as the peak bandwidth of the link, peak transfer rate of the traffic, and overall burstiness of the traffic expressed as a ratio of peak/average, all go up. In the judgement of the industry pundits, this is definitely the indicated trend for multimedia integrated telecommunications and data communications demands of global economies in the late 90's and early 21st century

 

2. ATM이란?

  - 회선교환의 실시간성 및 패킷교환의 유연성을 통합시킨 연결지향적 패킷교환 복합기술

  - ATM 은 패켓교환 방식 처럼 패킷(셀)을 사용 하지만 그 길이가 53 Byte (48byte 테이터 + 5 byte 헤더)로 고정 되어 있다

  - 또한 회선 교환 방식 처럼 통신 경로,타임 슬롯 (VC,VP)의 원리를 이용하여 하드웨어에 의존한 Routing을 수행 한다.

  - 즉, ATM은 회선 교환과 패킷교환의 장점만을 흡수한 방식 이라고 할수 있다.

 

ATM is a packet switching technology where fixed size small packets are switched efficiently.

ATM uses virtual circuits - provides a reliable dedicated path during the whole session of transmission, offering the advantage of circuit switching, i.e. reliable connection, and can guarantee a specific QoS.

ATDM - how ATM does multiplexing.

<참조>

ATM의 역사적 의의

  -  1990년대 네트워킹 방식으로 가장 활발히 연구 발전된 역사적인 기술: ITU-T에서는 ATM 기술을 BISDN의 전송, 교환, 다중화 기술로 채택한 바 있음

  - 현재로는 IP 관련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그 활용 및 역할이 많이 축소되었으나 ATM 관련 기술은 많은 분야(MPLS 등)에서 기반 기술로 채택 적용되었음 

 

3. ATM Packet 또는 Cell 구조

      - 데이터를 53byte의 고정된 크기의 작은 Cell 단위로 전송(Cell 기반 스위칭 기술)

      - GFC(Generic Flow Control): UNI(User to Network Interface) Header에만 사용, Network 트래픽 조절, 4bits

      - PTI(Payload Type Identifier): 정보의 종류 표시, 3bits

      - VPI(Virtual Path Identifier): 경로 식별, 12bits

      - CLP(Cell Loss Prioriy): Cell 폐기 우선순위, 1bit

      - VCI(Virtual Channel Identifier): 채널 식별, 16bits

      - HEC(Header Error Control): 헤더 부분의 오류 검출 정정, 8bits

 

4. ATM 계층 구조

 

 

     - PC로부터 송신된 데이터가 ATM 네트워크에서 어떻게 전송 되는지 대략적 흐름은 다음과 같다 

            송신측 PC → 페킷 데이터 →AAL (ATM Adaptation Layer) → ATM층 → 물리층 →  ATM 교환기 → 수신측 PC

     - 먼저 PC에서 전송된 일반 패킷 데이터는 AAL층을 통과 하며 48 byte씩 으로 분할되고 ATM층에서 5 byte의 헤더가 추가되어 53 byte의 ATM 셀을 형성 하게 된다.또한 물리층 에서는 비어 있는 곳에 이 셀들을 실어  SDH 프레임을 형성한다.

 4.1 ATM Adaption Layer

     - 상위 계층의 사용자 data를 ATM 네트워크게 맞게 변환

     - 데이터를 분리하여 ATM 사용자의 Cell로 분할하고 다시 재조립

     - ATM 네트워크에서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를 클래스별로 분류, 각 class에 따라 최적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제안

     - 4개의 Adaption Layer가 정의되어 있음

       가. AAL1

           - CBR(Constant Bit Rate) 제공

           - 연결 지향형 서비스 제공

           - 비압축 영상 또는 음성

       나. AAL2

           - VBR(Variable Bit Rate) 제공

           - 연결 지향형 서비스 제공

           - 압축된 영상 또는 음성

       다. AAL3/4

            - Connection oriented service와 Connectionless service를 제공

            - AAL5에 의해 대체

       라. AAL5

            - 데이터 서비스 제공

 

  4.2 ATM Layer

      - ATM Header 생성 및 추출

      - 주소 지정 기능(Establishment and Release VC)

           ● ATM 네트워크 구조

          NNI: Network-to-network interface (between two switches, inside an ATM network).

          UNI: User-to-network interface (between a user access device and a switch, on the edge of an ATM network).

         ● 전송 경로(Transmission Path, TP): 물리적 연경, 광케이블

         ● 가상 경로(Virtual Path, VP): 2개의 ATM 스위치 사이의 연결, VPI(Virtual Path Identifier, 가상 경로 식별자)는 셀의 다음 목적지인 VP를 표시함  

         ● 가상회선/채널(Virtual Channel/Circuit, VC): 데이터 전송 전에 반드시 VC가 먼저 연결이 되어야 함, VCI(Virtual Circuit Indentifier, 가상 연결 식별자) 셀의 다음 목적지인 VC를 표시함

 

      - ATM Switching(가상 채널(VPI, VCI)을 이용한 스위칭 기술)

http://ironbark.xtelco.com.au/subjects/DC/lectures/21

 

      - 혼합 제어(Congestion control)

  4.3 물리계층

      - 전송 매체의 특성에 맞게 bit를 발생   

 

5. ATM 통신방식의 특징

  가. 셀의 크기가 고정됨으로써 교환이나 다중화 처리가 용이

     - 셀의 크기가 고정되어 있기때문에 하드웨어적으로 빠른 교환이 가능

  나. 기본 전송 모드: STDM(Statistical TDM)

  다. 모든 데이터 전송은 접속 지향형(Connection Oriented)

  라. 트래픽 관리 및 혼잡제어 가능

       - ATM 네트워크에서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를 클래스별로 분류, 각 class에 따라 최적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제안

  라. 가상 채널(VPI, VCI)을 이용한 스위칭 기술

  마. ATM을 Cell들을 STM-1/4/16 등으로 다중화시켜서 전송

  바. IP datagram이 작은 cell로 나누어질 때 overhead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음

  사. ATM 장비 자체가 고가임

 

 

 

6. ATM 교환방식과 타 교환방식과의 비교

  6.1 회선 교환과 ATM의 차이

      - 회선 교환의 경우 프레임을 미리 설정해 두며 사용되는 타임슬롯 (8 bit)의 위치가 고정적이며 정보량이 적은 경우 빈 타임슬롯을 만드는 경우가 생긴다

      - 또한 프레임 내에서 1,2,3과 같은 정수배의 타임 슬롯은 전송이 가능 하지만0.5,1.5등의 미세한 속도의 가변성을 얻을수 없다.

      - 반면, ATM의 경우 셀을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 보낼수 있다. 즉,셀 간의 순서가 바뀌더라도 셀 헤더 내의 정보에 의해 자유 자재로 전송이 가능하다.

      - 또한, 전송 속도 에서도 64Kbps,128Kbps등의 정수배의 타임슬롯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64Kbps,70Kbps등 임의의 속도가 가능할뿐 아니라 송신중에도 그것을 변화 시킬수 있다.

 

  6.2 패킷 교환과 ATM 의 차이

       - ATM은 53byte의 고정 셀을 사용하는 반면 페켓 교환은 패켓 크기가 128~4096 의 가변성을 가지며 ATM은 하드웨어에 의한 Routing을 하지만 패킷 교환은 소프트웨어에 의존 한다.

       - 이 경우 패킷교환은 교환기의 CPU능력에만 의존 하므로 고속 전송에는 적합하지 않다.

       - ATM은 53byte의 셀로 제어를 단순화 하고, HCV(Header Converter)를 통과한 VCI(Virtual Channel Identifier)에 의한 간단한 Routing을 수행 하므로 고속전송이 가능해 진다.

 

http://www.tibs.co.kr/network/5/atm.htm

  6.3 Frame-Relay 와 ATM 의 차이

     - 패킷 교환의 대표적인 프로토콜 X.25 에서는, 각 Switch간의 데이터 전송일 경우 매번 패킷의 순서와 FLOW를 제어한다.

     - Frame-Relay 는 이런 기능들을 END단말에 맡기고 Switch간의 전송오류등 기능의 간략화를 통한 고속전송을 행한다.

     - ATM의 경우 이런 기능들 조차 단말에 맡기고 단지 셀 베이스 에서의 다중,분리등 만을 처리한다.

     - 가능한 한 전송구간 에서의 처리를 생략 함으로써 초고속전송을 실현 하는 것이 목적이다.

  6.4 ATM과 STM 방식과의 비교

      가.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 의미있는 정보인지를 인식할 수 있는 셀(Cell)의 단위로 정보를 전송

         - STM과 달리 정보를 비동기적으로 보낸다.

         - 보낼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빈 셀을 보내어 다중화기에서 이를 폐기하고 정보 셀을 삽입통록 한다.

         - 통계적 다중화(STDM)의 결과로 채널 사용 효율이 높다

     나. STM(Synchronous Transfer Mode)

         - 채널들을 묶어 프레임화하며, 프레임은 주기적으로 계속 반복된다

         - 각 채널은 프레임 내에서 같은 위치에서 반복된다.

         - 정보 발생 유무에 관계없이 계속 타임 슬롯이 나타나므로 채널의 사용효율이 저하되고 타입 슬롯에 낭비를 가져온다

http://lily.mmu.ac.kr/lecture/03it/report/ATM/ATM.htm

https://archive.icann.org/en/tlds/biz5/03_D13_1/03_D131.HTML

 

 

http://www.inrialpes.fr/planete/people/elsayed/msc/ch2.pdf

 

 

 

 

 

 

 

 

 

 

 

 

 

http://www.tibs.co.kr/network/5/atm.htm

http://telem.openu.ac.il/students/courses/c20398/atmproj/home.htm#What is ATM

http://www.inrialpes.fr/planete/people/elsayed/msc/ch2.pdf

http://ironbark.xtelco.com.au/subjects/DC/lectures/21/

http://rabbit3000.tistory.com/m/post/1141


 

'Optical_Network > 전송/교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에서 런던까지 장거리 통신 구성 방법  (0) 2015.09.20
OXC  (0) 2015.09.20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er)  (0) 2015.09.20
MSPP  (0) 2015.09.20
디지털회선 분배장치(DCS: Digital Cross-Connect System)  (0) 2015.09.20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 Digital Cross connect System(DXC라고도 함)의 약칭으로 디지털 회선분배장치라 함

  - 디지털 신호와 음성급 채널을 신호변환없이 전자적으로 회선을 분배/접속하는 장치

  - 장거리 전송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TDM과 같은 시분할 다중화방식이 사용되었고, 이러한 시분할 다중화된 신호를 분배하기 위해선 역다중화하여 QDF(Quick Connect Distribution Frame)와 같은 물리적인 점퍼케이블을 통해 분배하거나, 고속신호를 전자적으로 상호분배하는 기능이 필요함

  - DCS는 이러한 디지털 상호접속/분배 기능을 고속인터페이스상에서 전자적으로 수행함


2. DCS 등장 배경

  - 수작업에 의한 Jumper 작업을 S/W로 처리 → 신속 간편한 회선분배

  - 부대설비 및 장치 최소화  → 설비 및 운용 유지보수 비용 감소

  - 장애 요소 감소  → 고품질 서비스 제공 


3. DCS 개념도

 1) QDF를 이용한 회선 분배

  - 물리적인 점퍼케이블을 이용하여 회선분배

※FLC(Fiber Loop Carrier): 광가입자 전송 장치, 국간 전송용 광전송 장치와는 달리, 전화국과 가입자 간의 전송채널을 제공한다

 2) DCS를 이용한 회선 분배

   

   - E1단위 교환 맵을 전자적으로 구성하여 회선 분배


4. DCS의 기능

 - 디지털 신호의 통합 및 분리 기능(Grooming 기능)

    ○ 디지털 신호의 통합 및 분리 기능으로, 전송선로의 분리 구성없이 동일망에서 서로 다른 서비스 제공 가능

 - Hubbing 기능

    ○ Hubbing 기능 활용으로 망 구성 단순화(Full mesh형 망구조, Star형 망구조)

 - SDH to PDH Gateway 기능

    ○ SDH 계위 광신호(STM-1, STM-16)와 PDH 계위 신호(DS1, DS3)간 Gateway 기능 제공

 - 유지보수기능

    ○ 신속하고 효율적인 회선 구성 및 해제/설정 및 재설정

    ○ 경보감시 및 제어용이

    ○ 다양한 회선 시험 기능: Local Loopback, Remote Loopback


5. DCS 분류

 - 회선분배 접속단위의 신호 계위에 따라 분류

 

6. 결론

 - 통신시장 기술 발전에 따라 DCS 장비 개발은 마무리됨

 - 트래픽 사용량의 증가에 따라 155M 이상급의 회선을 교환 분배가 가능한 장비가 필요해졌는데, 이것이 바로 OXC임

 - 특히, OXC는 Opaque방식과 Transparent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W-DCS에서 용량이 증가하여 발전된 것이 Opaque방식의 OXC임

 - Transparent 방식의 WDM 기반 스위치가 WSS라는 용어로 특화되면서, 시장에서는 Opaque 방식만을 OXC로 칭하고 있음

 - 1990년대 중반 이후 개발되어 한 시대를 풍미했던 W-DCS와 N-DCS등의 디지털 회선 분배장치는 10년 이상의 사용기간을 거친 후, OXC와 MSPP장비로 거의 모든 통신사업자에서 대체되었음

 

 

<참고>

SDH Network layer

 

 

SDH_Network.pdf

 

 

 

출처

http://cafe.naver.com/ipte4

http://telecomseva.com/sdh-network-topologies-tutroial/


 

'Optical_Network > 전송/교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에서 런던까지 장거리 통신 구성 방법  (0) 2015.09.20
OXC  (0) 2015.09.20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er)  (0) 2015.09.20
MSPP  (0) 2015.09.20
ATM 교환기  (0) 2015.09.20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2. 광가입자망 종류

 1) PTP(Point to Point) 방식

 2) AON(Active Optical Network) 방식

 3) PON(Passive Optical Network) 방식

 3. 대형 건물에서의 구간별 구성도

  3.1 AON

      가. AON 구성도

      나. 특징

    3.2 PON

       가. PON 구성도

       나. 특징

4. 국내 주요 광 가입자망 기술 비교

 

 

 

1. 개요

 - 최근 인터넷 이용자의 급증과 광대역을 요구하는 응용서비스가 늘어나면서 데이터 트래픽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되어 기간망은 광기반의 테라비트급으로 확장되는 변화를 가져왔음

 - 하지만 아직 가입자망쪽은 기간망의 처리속도 확장에 비해 병목현상 심화되고 있어 FTTH망으로 변화가 시급함

 - FTTH(Fiber To The Home)은 초고속 대용량 멀티미디어를 가정까지 고품질로 전송하기 위한 광가입자 기술임

 - FTTH 기술은 구성 형태에 따라 P2P(Point to Point), P2MP(Point to Multi-point)로 구분함

 - P2MP 방식은 사용 소자형태에 따라 능동형(AON:Active Optical Network)과 수동형(PON:Passive Optical Network) 방식으로 구분함

 - PON 방식에는 시분할 방식(TDMA)인 BPON(ATM), GPON(GPON Encapsulation Method), EPON(Ethernet) 방식이 있으며, 파장분할 방식에 WDMA-PON이 있음

 - 통신 사업자는 통신망 환경에 따라, 설비투자 및 운용비용을 줄이기 위한 FTTH을 전략적으로 도입하고 있음

 

2. 광가입자망 종류

 1) PTP(Point to Point) 방식

   - PTP(직접 연결) 방식은 전화 국사의 OLT(Optical Line Terminal)에서 각 가정에 위치한 onT(Optical Network Terminal)에 직접 광케이블로 연결하는 단순한 구조

   - 광케이블이 많이 소요되어 통신사업자의 비용이 증가됨

 

 2) AON(Active Optical Network) 방식

    - OLT와 onU 사이에 스위치(RN: Remote Node)를 설치하여 onU쪽으로 분배

    - 즉 OLT와 RN사이는 광케이블로 구성되고, RN에서 가입자 측의 Modem까지는 UTP 케이블이 사용되는 구조

    - IEEE 802.3 Ethernet 통신기술 적용 

   - 외부환경에 장비가 설치되므로 유지보수의 어려움이 존재하며, 전원이 공급되어야 함

   - ODN(Optical Distribution Network)에 Ethernet Switch와 같은 능동형(전력공급필요) 장비를 이용한 광네트워크

   - DATA 전송품질이 우수한 광섬유 기술과 LAN-Switch의 Routing기술을 결합하여 고객측에게 안정적인 회선품질 제공하고 ISP사업자에게는 Network 장치에 대한 투자요소를 최소화하는 인터넷 접속 solution 

   - 운용관리문제, 설치위치 및 장애 관리에 취약


 3) PON(Passive Optical Network) 방식

   - 수동형 광분기소자(Optical Splitter)를 이용하여 하나의 OLT가 다수의 onU 또는 onT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

   - CO와 광가입자 구간에 전기적 혹은 광전장치가 없는 P2MP 형태의 광네트워크

   - OLT는 MPCP(Multi Point Control Protocol)를 이용하여 다수의 onU를 관리하는 Master역할을 하며, onU는 가입자측의 인터페이스로서 Slave역할을 담당함

   - 현재 기술적으로 OLT와 onU 사이의 거리는 10~20km 까지 이며, 분기는 최대 16~128채널까지 가능함

 

3. 대형 건물에서의 구간별 구성도

  3.1 AON

      가. AON 구성도

 

        -  CO(Central Office)에서 건물의 MDF(Main Distribution Frame)의 L3 스위치까지는 SMF 4core(2core:주, 2core:예비)로 구성

        - MDF L3 스위치에서 각 동단자함의 L2 스위치까지는 SMF 또는 MMF 2Core로 구성

        - 각 동단자함의 L2 스위치로부터 각 세대단자함(G/W)으로는 SMF 또는 MMF 2 Core로 구성

        - 세대 단자함에서 각 가정 및 사무실의 Outlet까지는 UTP Cat5e 급 이상으로 구성

 

      나. 특징

        - 현재 가장 경제적이고 일반적인 구축방안

        - 전송속도는 1Gbps, 100Mbps 속도

        - 각 동단자함 및 G/W 또는 모뎀에 전원이 공급되어야 함

        - 각 장비의 유지보수 및 장애에 대처가 어려움

 

    3.2 PON

       가. PON 구성도

 

 

<출처 http://www.netmanias.com/en/?m=view&id=reports&no=7074&vm=pdf>

          - OLT에서 건물의 MDF까지 SMF 2Core로 구성(1 core 예비)

          - MDF의 FDF(Fiber Distribution Frame)에서 동단자함의 Splitter(1*32)까지 SMF 2 core로 구성(1 core 예비)

          - 동 단자함의 MDF에서 세대단자함(GW 또는 onU)까지 SMF 1 core로 구성

          - 세대 단자함(G/W 또는 onU)에서 Outlet까지 UTP Cat5e급 이상으로 구성

 

       나. 특징

          - 한 개의 OLT에서 다수의 onU가 스플리터를 통하여 접속됨

          - TDM-PON의 경우 하향은 Broadcasting하고 상향은 TDMA 방식으로 접속됨

          - WDM-PON의 경우 상, 하향 모두 WDM 방식을 적용하여 고유의 파장으로 네트워크 구성(논리적 1:1 Topology)

          - 수동 소자인 스플리터를 사용하므로 전원구성이 필요 없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함

          - WDM-PON의 경우 100Mbps 이상의 전송속도 보장

          - 현재는 G-PON 방식으로 많이 구축되어 있음

 

 

4. 국내 주요 광 가입자망 기술 비교


항목  AON   PON
 ATM기반 Ethernet 기반 

WDM 기반 

BPON  GPON  EPON/GE-PON  W-PON 
표준화  IEEE  ITU-T G.983 ITU-T G.984  IEEE 802.3ah  FSAN, ITU-T 
공유방식  TDMA  TDMA  TDMA  TDMA  WDM 
기본 프레임  Ethernet Frame ATM cell
(53byte 고정) 

ATM/Ethernet

동시 수용

GEM(GPON Encapsulation Method) 프레임

Ethernet  프로토콜 의존 
서비스 속도  하향 1Gbps
상향 100Mbps
상, 하향 최대 622Mbps 

하향 2.5Gbps
상향 1.25Gbps 

하향 1.25Gbps
상향 1.25Gbps 

상, 하향
1~10Gbps 

QoS 제공  IEEE 802.1p 

ATM 트래픽 관리

ATM 트래픽 관리

IEEE 802.1p 트래픽 의존  
유지 보수  많음  적음  적음  중간  적음 

 

<참고>

OLT, onU, onT 비교

 

http://www.ktword.co.kr/abbr_view.php?m_temp1=3502

  1. OLT(Optical Line Terminal)

    - 국사 내에 설치되어 백본망과 가입자망을 서로 연결하는 광가입자망 구성 장치(가입자 광 신호를 국사측에서 종단하는 역할)

    - onT 상호 간에는 직접적인 통신을 하지 않으며, OLT 제어를 통해서만 통신이 가능

  2. onU(Optical Network Unit)

    - 주거용 가입자 밀집 지역의 중심부에 설치하는 소규모 옥외/옥내용 광통신장치

    - 주로 통신시설용 캐비넷 등에 의해 수용됨

  3. onT(Optical Network Terminal)

    -  최종 종단 장치, PC와 연결할 수 있는 일명 광모뎀이라고도 말함

 

<참조>

http://www.ktword.co.kr/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2. 기존 케이블 네트워크와 HFC 네트워크

3. HFC 주파수 대역

4. HFC 네트워크 특징

5.  HFC 망구성
6. 차세대 HFC 망 발전 방향(기술 동향)

 

1. 개요

 - 기존의 동축 케이블로 구성된 네트워크에서 FTTH로 진화하기 위한 중간 단계

 - 경제적인 망 설계를 위하여 광-동축 하이브리드망(HFC)이 탄생하게 됨

 - 전통적인 광전송로 분류체계와 비교하면 FTTC(Fiber to the Curb)와 유사한 형태임

 - 최근 인터넷 이용자의 급증과 광대역을 요구하는 응용서비스가 늘어나면서 데이터 트래픽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되어 기간망은 광기반의 테라비트급으로 확장되는 변화를 가져왔음

 - 하지만 아직 가입자망쪽은 기간망의 처리속도 확장에 비해 병목현상 심화되고 있어 FTTH망으로 변화가 시급함


2. 기존 케이블 네트워크와 HFC 네트워크

 가. 기존 케이블 네트워크

 

 - 케이블 방송국으로부터 헤드앤드 장비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동축케이블을 통해 신호를 전송함

 - 신호는 거리에 따라 감소하기때문에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가 설치됨 

 - 전통적인 케이블 네트워크는 단방향으로서 가정으로 향하는 하향 전송만이 가능하였음

 

 나. HFC Network

 

 - HFC 망은 광케이블과 동축케이블로 구성

 - 간선부분은 광케이블을 사용하고 노드에서 끝의 가입자 부분에는 동축케이블을 활용

 - HFC망의 구조는 SO 지역에서 광케이블로 주거지 밀집지역으로 들어오고, onU를 통해 전기신호로 전환된 후 동축케이블을 타고 댁내로 신호가 들어가는 형태임

 - HFC망은 방송국에서 가입자 중심에 위치한 onU까지의 광케이블 구간은 star형으로, onU에서 가입자 댁내까지의 동축케이블 구간은 Tree & Branch형으로 구성

 - 광케이블 구간은 광송/수신장치, 광케이블을 이용해 상/하향 광전송선로를 별도로 구성하고 동축케이블 구간은 동축증폭기, 수동소자(Splitter, Tap-off 등), 동축케이블을 이용해 동일 동축케이블에 주파수대를 분리해 상/하향 전송로를 구성

 - 전통적인 케이블 네트워크를 HFC로 바꾼 이유는 속도뿐 아니라 양방향성을 갖는 네트워크의 기능을 지원하는 것이기도 함


3. HFC 주파수 대역 

http://blog.naver.com/thorong/70148752263

    가. 상향: 5MHz~42MHz, 상향 데이터 신호전송을 위해 할당, 42MHz~54MHz는 보호대역

    나. 하향: 54MHz~750MHz

        - 54MHz~500MHz: 아날로그방송

        - 500MHz~552MHz: 인터넷 서비스

        - 552MHz~750MHz: 디지털 방송과 부가서비스

 - 양방향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864MHz~2GHz는 확장가능 대역으로 신규개발 중임

 

4. HFC 네트워크의 특징

   - 기존 가설된 CATV 망을 사용하므로 투자비 저렴

   - CATV 망을 통해 데이터, 음성, 영상서비스 동시 제공

   - 750MHz의 광대역 네트워크

   - 광대역, 다채널, 양방향 기능 수용

   - 케이블 TV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 방송과 통신의 융합 실현

   - 하향채널 27~36Mbps, 상향채널 0.5~10Mbps 속도 제공

   - Tree, Branch 구조로 가입자 수 증가에 따라 속도 저하

   - 상향채널 잡음, 가입자 댁내잡음, CATV 망잡음, 접지/차폐 불량에 의한 망잡음 등으로 전체 서비스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5. HFC 망구성


 

 

 - DOCSIS(Data Over Cable System Interface Specification): HFC 망을 통해 방송국 장비와 가입자 단말간 IP 트래픽을 전송하기 위한 기술규격, DOCSIS는 CMTS와 CM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프로토콜을 정의

   가. Cable Modem: 가입자 건물 내에 설치, ADSL 모뎀과 유사

   나. Cable Modem Transmission System(CMTS): 케이블회사의 Distribution Hub내에 설치

 - Packet Cable: HFC 망에서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규격, 주로 VoIP 서비스에 중점 이용

 - Open Cable: Digital 유선방송 서비스를 위해 보안모듈이 분리된 셋톱박스를 소비자가 구입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규격, Settop-Box와 CAS(Conditional Access System)가 내장된 케이블 카드를 분리하여 STB를 시장에서 구입하고, 케이블 카드는 SO가 공급하도록 하는 정책임

 - Cable home: 케이블 기반 광대역 서비스를 가정 내 네트워크 장비로 확장한 규격 

6. 차세대 HFC 망 발전 방향(기술 동향) 

 - 속도향상(4배): 27Mbps->100Mbps

 - 대역폭 확장: 846MHz->1.5GHz

 - Cell 규모 축소

 - 고신뢰, 이중화 케이블 구성

 - 상향 노이즈 대책, 망 감시 시스템 추진


출처

http://krlai.com/210 

http://www.vicomsoft.com/learning-center/cable-modems-part-2/

http://blog.naver.com/thorong?Redirect=Log&logNo=70148752263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2. 광가입자망 장치

  1) OLT

  2) onU

  3) onT

3. 광가입자망 기술

  1) PTP 방식

  2) AON

  3) PON

4. PON의 구성

5. PON의 구분

  1)TDM-PON

    가. A/B-PON

    나. G-PON

    다. E/GE-PON

  2)WDM-PON

6. 광가입자망 기술비교

7. 광가입자망 진화 방향


1. 개요

 - 최근 인터넷 이용자의 급증과 광대역을 요구하는 응용서비스가 늘어나면서 데이터 트래픽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되어 기간망은 광기반의 테라비트급으로 확장되는 변화를 가져왔음

 - 하지만 아직 가입자망쪽은 기간망의 처리속도 확장에 비해 병목현상 심화되고 있어 FTTH망으로 변화가 시급함

 - FTTH(Fiber To The Home)은 초고속 대용량 멀티미디어를 가정까지 고품질로 전송하기 위한 광가입자 기술임

 - FTTH 기술은 구성 형태에 따라 P2P(Point to Point), P2MP(Point to Multi-point)로 구분함

 - P2MP 방식은 사용 소자형태에 따라 능동형(AON:Active Optical Network)과 수동형(PON:Passive Optical Network) 방식으로 구분함

 - PON 방식에는 시분할 방식(TDMA)인 BPON(ATM), GPON(GPON Encapsulation Method), EPON(Ethernet) 방식이 있으며, 파장분할 방식에 WDMA-PON이 있음

 - 통신 사업자는 통신망 환경에 따라, 설비투자 및 운용비용을 줄이기 위한 FTTH을 전략적으로 도입하고 있음


2. 광가입자망 장치

 1) OLT(Optical Line Terminal, 광선로종단 장치)

  - 국사내에 설치되어 백본망과 가입자망을 서로 연결하는 광가입자망 구성 장치로써, 가입자 광 신호를 국사측에서 종단하는 역할

  - 국사내 OLT와 대응되어 가입자 구내/댁내에는 onU가 설치된다

 2) onU(Optical Network Unit, 광통신망 유니트)

  - 주거용 가입자 밀집 지역의 중심부에 설치하는 소규모 옥외/옥내용 광통신 장치

  - 사용자(이용자)와 망과의 분계점, 사용자 망 인터페이스(User Network Interface) 역할을 담당

  - 연결방식: 통상적으로 onU는 국사 측의 OLT와 점대점으로 연결됨, 과거에는 점대점(1:1) 연결로 되어 있었으나, PON 방식에서는 가입자와 점대다(1대다) 형태로도 연결이 가능

 

                                                                                                                          

 3) onT(Optical Network Terminal, 옥내광종단장치)

   - 전화국사로부터 광케이블이 가입자 댁내까지 확장 포설되어 최종적으로 종단하는 장치

 

 ※ 광가입자망 장치의 비교

    가. OLT(Optical Line Terminal): onT 상호 간에는 직접적인 통신을 하지 않으며, OLT 제어를 통해서만 통신이 가능

    나. onU(Optical Network Unit): 가입자 또는 사업자 밀집지역/지점까지 광케이블이 포설 종단하는 장치(주로 통신시설요 캐비넷 등에 의해 수용됨),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바꾸어주는 장치

    다. onT(Optical Network Terminal): 최종 종단장치, PC와 연결할 수 있는 일명 광 모뎀이라고도 말함


3. 광가입자망(FTTH) 기술

출처: http://kunet.korea.ac.kr/english/sub1_1.php

 1) PTP(Point to Point) 방식

   - PTP(직접 연결) 방식은 전화 국사의 OLT(Optical Line Terminal)에서 각 가정에 위치한 onT(Optical Network Terminal)에 직접 광케이블로 연결하는 단순한 구조

   - 광케이블이 많이 소요되어 통신사업자의 비용이 증가됨


 2) AON(Active Optical Network) 방식

    - OLT와 onU 사이에 스위치(RN: Remote Node)를 설치하여 onU쪽으로 분배

    - 즉 OLT와 RN사이는 광케이블로 구성되고, RN에서 가입자 측의 Modem까지는 UTP 케이블이 사용되는 구조

    - IEEE 802.3 Ethernet 통신기술 적용 

   - 외부환경에 장비가 설치되므로 유지보수의 어려움이 존재하며, 전원이 공급되어야 함

   - ODN(Optical Distribution Network)에 Ethernet Switch와 같은 능동형(전력공급필요) 장비를 이용한 광네트워크

   - DATA 전송품질이 우수한 광섬유 기술과 LAN-Switch의 Routing기술을 결합하여 고객측에게 안정적인 회선품질 제공하고 ISP사업자에게는 Network 장치에 대한 투자요소를 최소화하는 인터넷 접속 solution 

   - 운용관리문제, 설치위치 및 장애 관리에 취약


 3) PON(Passive Optical Network) 방식

   - 수동형 광분기소자(Optical Splitter)를 이용하여 하나의 OLT가 다수의 onU 또는 onT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

   - CO와 광가입자 구간에 전기적 혹은 광전장치가 없는 P2MP 형태의 광네트워크

   - OLT는 MPCP(Multi Point Control Protocol)를 이용하여 다수의 onU를 관리하는 Master역할을 하며, onU는 가입자측의 인터페이스로서 Slave역할을 담당함

   - 현재 기술적으로 OLT와 onU 사이의 거리는 10~20km 까지 이며, 분기는 최대 16~128채널까지 가능함

 

   

4. PON의 구성


 

 1) OLT(Optical Line Terminal)

    - 주로 전화국이나 헤드엔드에 위치

    - OLT는 가입자들에게 하향 트래픽 신호들을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함과 동시에 onT로부터 전송되는 상향 트래픽 신호들을 우선순위에 따라 제어하고 집선하여 인터넷이나 PSTN과 같은 전송망으로 넘겨줌

 2) ODN(Optical Distribution Network)

    - PON의 핵심은 오피스/빌딩 밀집지역 근처에 있는 수동형 광 스플리터임

    - OLT에서 송신된 광 신호는 스플리터에 연결된 광 케이블 수만큼 빛을 분기시킴

 3) onU(Optical Network Unit)/ONT(Optical Network Terminal)

    - 광신호를 전달받아 이더넷, ATM과 같은 사용자 데이터로 바꾸어 최종 사용자에게 전달하거나 송신할 데이터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OLT에 전송함


5. PON 구분

 1) TDM-PON: 단일파장 사용, Layer-2 protocol에 따라 구분(APON/BPON, GPON, EPON)

 

   가. APON/BPON

      - ATM/Broadband PON

      - 최초의 PON 방식으로 ATM 프로토콜 기반으로 하는 광가입자망 기술

      - 1300nm, 1550nm인 2개의 파장을 각각 상향 및 하향으로 이용(2개의 광코어)

      - 상/하향 최대 622Mbps의 비대칭적인 전송구조를 가지고 있음

      - 최대 64분기 기능을 갖고 있으며 onU와 onT 최대거리는 20km까지 수용함

      - 이더넷, 비디오 방송, 전용선 서비스 등 다양한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의도로 B-PON으로 명칭 변경

      - ITU-T G.983 표준

    나. GPON

      - Gigabit-capable PON

      - A/BPON의 속도 한계를 극복하고자 2001년 FSAN에서 표준화를 시작한 PON 표준

      - 기본 프레임: ATM/Ethernet 등 동시 수용

      - ATM 서비스 및 새롭게 정의한 GEM(GPON Encapsulation Method) 프레임을 이용하여 IP/Ethernet/TDM 지원

      - 125㎲(8kHz) 주기의 프레임 전송 지원

      - 상/하향 최대 2.5Gbps 전송대역 제공

      - 최대 64분기 가능하며 OLT와 onU 최대거리는 20Km까지 수용함

      - ITU-T G.984 표준

     다. EPON/GE-PON

      - Ethernet/Gigabit Ethernet PON           

      - 이더넷 기반의 수동광가입자망 기술

      - 기본 프레임: 이더넷 프레임, 가변 길이의 IP Packet 전달에 유리

      - 전송 속도: 상/하향 최대 1.25Gbps까지 가능한 대칭적 전송 구조

      - LAN 및 WAN에 많이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이더넷 시설과의 호환성이 높다 

      - 최대 64분기 가능하며 OLT와 onU 최대거리는 20Km까지 수용함

      - IEEE 802.3ah


 2) WDM-PON

    -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을 이용하여 전화국사의 광전송장치와 각 가입자의 광전송장치들이 통신하는 광가입자망 기술로 현재 기가급 이상의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한 상용품이 출시되고 있음

    - 다수파장, 사용파장대역 및 채널 간격에 따라 구분(DWDM-PON, CWDM-PON, Hybrid-PON 등등)

    - WDM-PON 방식은 아파트 동 장비실에 파장 다중화 장치를 사용하여 가입자에게 독립적인 파장을 할당하며, 가입자단에 광/전 변환기를 사용하는 방식임(최대 1024 이상의 분기율을 가지고 있음)

    - WDM-PON은 가입자에게 독립적으로 파장이 제공됨으로 보안성 우수하며, 가입자 별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함

    - 사용 파장 간격에 따라 CWDM 및 DWDM-PON으로 구분하며, 가격이 보다 저렴한 CWDM-PON이 가입자 망에 사용됨

    - OLT 시스템의 전송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전화국사와 원격노드까지는 파장분할 다중화방식을 사용하여 전송하고, 그 뒷단에는 광증폭기나 O-E-O 변환기를 사용하는 방식이 상용화(Hybrid PON 방식)

 

 

 

6. 국내 주요 광 가입자망 기술 비교


항목  AON   PON
 ATM기반 Ethernet 기반 

WDM 기반 

BPON  GPON  EPON/GE-PON  W-PON 
표준화  IEEE  ITU-T G.983 ITU-T G.984  IEEE 802.3ah  FSAN, ITU-T 
공유방식  TDMA  TDMA  TDMA  TDMA  WDM 
기본 프레임  Ethernet Frame ATM cell
(53byte 고정) 

ATM/Ethernet

동시 수용

GEM(GPON Encapsulation Method) 프레임

Ethernet  프로토콜 의존 
서비스 속도  하향 1Gbps
상향 100Mbps

상, 하향 최대

 622Mbps 

하향 2.5Gbps
상향 1.25Gbps 

하향 1.25Gbps
상향 1.25Gbps 

가입자별 파장

가입자별 1~10Gbps

QoS 제공  IEEE 802.1p 

ATM 트래픽 관리

ATM 트래픽 관리

IEEE 802.1p 트래픽 의존  
유지 보수  많음  적음  적음  중간  적음 

 


7. 국내 광 가입자 망 진화 방향

 - 최근의 통신사업자들은 설치비용 및 운용비용 절감을 위해 지역국사 축소와 동시에 서비스 가입자에게는 고품질 인터넷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차세대 광가입자망을 요구하고 있다

 - 따라서 광가입자망의 전송 용량 및 분기 수를 확장하기 위해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

 - TDM-PON 기술은 용량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연구 중이며 전송용량을 늘리기 위해 하이브리드 PON 상용화된 상태

 - WDM-PON은 장비의 저가화에 초점을 맞춰서 연구 중, 세계적인 추세는 그린네트워크를 구현하기 위해 전력소모가 적은 WDM-PON 시스템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 최근에서 기존의 TDM, WDM 기술뿐만 아니라 무선통신에서 사용되된 CDM, OFDM등의 신호변조 기법들을 광가입자망 기술에 접목하려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8. TWDM-PON과 OFDM-PON

  가. TWDM-PON

     - Primary solution for NG-PON2

  나. OFDM-PON

     - 더 넓은 대역폭의 요구에 따라 OFDM-PON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음

 

 

<출처:TTA Journal Vol.146>

 

 

 

 

 

 

 

 

 

 

 


 

출처

http://www.tfo.co.kr/kor/downFile.asp?folderName=research&fileName=PON_%EA%B8%B0%EC%88%A0.pdf 

http://www.3-edge.de/de/solutions/measure-anwendungen/fttx-pon-netzwerke/Uebersicht-FTTx-PON-Netzwerke/

http://www.ktword.co.kr/

http://glenkramer.com/ucdavis/papers/ofc_invited_slides.pdf

http://ettrends.etri.re.kr/PDFData/27-2_089-098.pdf

http://ettrends.etri.re.kr/PDFData/27-3_164-174.pdf

http://syaifulrohman.wordpress.com/2010/12/18/fttx-fiber-to-the-x-alternative-solution-broadband-access-in-indonesia/

 

pon진화방향.pdf

 


 

Posted by 둔탱이
,

VLC

Wireless_Communication/기타 2015. 9. 20. 10:44

1. 개요

2. VLC(Visual Light Communication)

  가. 가시광무선통신 파장대역

  나. 원리

  다. 특징

3. 관련 기술 비교

4. 요소 기술

5. 결론

 

 

1. 개요

  - 가시광선은 사람의 눈에 보이는 범위의 파장을 가진 전자기파임

  - 가시광 무선 통신은 파장 380nm~780nm(400~800THz)의 가시광선을 이용하는 차세대 통신 기술

  - LED(Light Emitting Diode)는 고속으로 점멸하는 능력이 있으며, 이 가시광선 소자를 사람의 눈에는 느껴지지 않을 정도의 고속으로 점멸시켜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음

  - 가시광 무선통신은 조명과 통신을 융합한 기술임

 

2. VLC(Visual Light Communication)

  가. 가시광무선통신 파장대역

      - 전파는 저주파인 장파로부터 고주파인 밀리미터파까지 무선통신에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음

      - 좀더 고주파인 적외선이 광케이블 또는 자유공간에서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고, 좀더 고주파인 가시광선 영영에서 사용하고자 한 기술이 바로 무선 가시광통신임

      - 가시광보다 고주파인 자외선과 X선 구간은 아직 통신에 사용되지 못하고 있음

 

http://cafe.naver.com/ipte4

 

  나. 원리

     - LED는 반도체의 일종으로 발광다이오드라고 하는데, 전기를 빛으로 바꾸는 기능을 하며, PD(Photo Diode)는 빛을 전기로 바꿔준다.

     - 이런 원리를 통해 입력한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바꾸고, 전기 신호를 빛으로 바꾸고, 그 빛을 다시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전기 신호를 데이터로 변환함으로써, 빛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음

     - 보통 사람들은 빛이 초당 100번 이상 깜박이면, 깜박임을 인식하지 못하고 계속적으로 켜진 것으로 인식, 통신에 의한 깜박임이 있지만,
계속적으로 켜진 것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조명의 기능도 유지되는 것

  다. 특징

     - LED 조명이 있는 곳에서 쉽게 언제 어디서나 사용 가능

     - 인체에 무해하며 주파수 허가가 필요없음

     - RF와 간섭이 없어 의료기기, 비행장치 등에 사용 가능

     - 넓은 가시광대역을 이용하므로, 고속데이터가 가능함

     - 사용 여부를 눈으로 판단 가능하므로 물리적 보안성 강화 가능

     - 조명을 이용한 친환경, 녹색성장 저탄소 실현 통신 기술임

 

3. 관련 기술 비교

 

4. 요소 기술

  - 국내 가시광통신기술 표준은 VLC PHY(Physical layer) 기술, VLC MAC(Media Access Control) 기술 및 VLC 응용 프로토콜 기술의 세가지 분야를 중심으로 진행 중에 있음

  - VLC PHY 기술은 가시광 통신을 위한 송신 모듈레이션과 수신 디모듈레이션에 관한 기술

  - VLC MAC 기술은 가시광통신의 2계층 프로토콜 기술

  - VLC 응용 프로토콜 기술은 가시광통신에서 제공할 수 있는 여러가지 응용 서비스를 적용하기 위한 프로토콜 기술

     가. Communication: P2P, M-t-M, 홈네트워크 무선통신

     나. LBS: LED 조명을 이용한 위치기반 추적/측위 서비스

     다. ITS:  자동차 안전, 차량 이동통신

     라. 방송: 국부제한 방송서비스

 

5. 결론

  - 가시광통신 기술은 LED 조명의 폭발적인 성장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음

 -  조명통신 융합기술인 가시광통신은 아직 초기도입 기술로서 주변 광 간섭에의한 통신 장애, 표준 부재 등 여러가지 해결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음

 

 

 

<References>

http://cafe.naver.com/ipte4.

 

1-이동통신-05-VLC-종합.pdf

 

vlc.pdf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2. 국외 재난안전통신 표준기술

3. LTE 기반 재난안전통신망 구축

4. PS-LTE 관련 기술

5. 국내 재난안전무선통신망

6. 결론





1. 개요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재난 및 재해 상황에 대하여 국가적 대응 및 국민의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음

  - 재난 재해로부터 안전을 확보하고 재해 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재난안전무선통신망의 구축과 표준화가 필수적임

  - 해외 주요국 및 국내에서는 차세대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한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2. 국외 재난안전통신 표준기술

  - 국가 차원의 재난안전통신망으로 주로 협대역 디지털 TRS 방식인 유럽의 TETRA 기술 표준과 북미 기술표준인 APCO-P25 방식이 있음

  - 대부분의 유럽국가가 유럽의 TRS 표준기술인 TETRA 기반으로 자가망을 구축했거나, 구축하고 있는 상황

  - 미국은 북미의 TRS 표준기술인 APCO-P25 기반 자가망을 구축하여 운영 중, 상용망인 iDEN(모토로라사의 비개방형 TRS)을 일부 활용하였으나 기능적 제약 등으로 2013년 이후 활용을 중단한 상태

 

3. LTE 기반 재난안전통신망 구축

  - 기존 재난안전통신망은 주로 유럽을 중심으로 하는 TETRA와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APCO-P25를 통해 구축되었다.

  - 그러나 최근 재난상황의 규모가 커지고 이에 여러 기관이 입체적인 대응을 위해 음성통신 이외에 영상 등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
신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다.

  - 특히 미국이 LTE 기반 재난안전통신망 구축 계획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멀티미디어를 수용하는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상황이다.

  - 이를 구현하기 위한 대표적인 기술로는 LTE, 특히 PS(Publice Safety)-LTE 기술을 활용한 통신망 구축이 향후 멀티미디어 기반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의 큰 방향으로 자리 잡고 있다

   - 2012년 11월 연방통신위원회(FCC)는 LTE 기반 공공안전망 구축을 위해 700MHz 대역 주파수 20MHz(758~768MHz, 788~798MHz)에 대한 라이센스를 발급


4. PS-LTE 관련 기술

  - 3GPP에서 표준화 진행 중인 PS-LTE 관련 기술

- PS-LTE 주요 항목별 표준화 내용

               ProSe(Proximity based Service)

               GCSE(Group Communication System Enabler)

               MCPTT(Mission Critical Push To Talk)

               IOPS(Isolated eUTRAN Operation Public Safety)


 

5. 국내 재난안전무선통신망

  가. 국내 재난안전무선통신망의 문제점

     - 재난대응 기관들이 VHF, UHF, TRS 등 주파수 대역과 통신방식이 달라 상호 통신이 어려우며, 신속하고 체계적인 협력 대응이 어렵다

http://www.tta.or.kr/data/reportlist.jsp?kind_num=1

 

     - VHF/UHF 무전기용으로 할당된 2.8MHz 대역폭을 1,700여 개 공공기관이 사용 중으로 충분한 채널 확보가 곤란하여 운영이 

     - 통합지휘무선통신망 구축사업 추진 이후, 통신망 투자가 보류되어 장비 및 시스템이 노후화되어 교체 시기가 도래하고 있다

 

   나. 국가 재난안전통신망 구축계획

      -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지난 2011년 안전행정부가 재난안전망 후보기술로 결정한 와이브로와 테트라에 대해 경제적 타당성이 낮다고 판단했다

      - 정부는 국가재난안전통신망 기술방식으로 700㎒ 주파수 대역(20MHz 대역폭)을 활용해 공공안전용(PS, Public Safety)-LTE로 구축하기로 확정

      - 철도망과 e-Navigation망 등 타 통신망과의 통합 연계 방안, 기존망(TETRA, iDEN, UHF, VHF 등)과 연동방안 필요

      - 또한, 음영지역 및 통신망 파괴시 비상통신을 위한 다양한 이동기지국 구축방안도 마련되어야 함

      - 안전망은 관제운용센터, 코어망(LTE Core), 접속망(LTE Access)과 단말기로 4개 부문으로 구분할 수 있다.

 

http://www.tta.or.kr/data/reportlist.jsp?kind_num=1

 

6. 결론

  - 국가재난통신망의 성공적인 구축과 운용을 위해서는 국제표준화 동향을 주시하고 빠른 시일 내 표준이 완료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대응이 이루어져야 한다.

  - 기술적 이슈와 경제적 이슈 측면에서 PS-LTE망 구축에 많은 어려움이 산적해 있으므로 이를 체계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정부와 업체, 이용기관의 협력이 절실히 필요할 것으로 판단

 

 

 

 

<References>

http://www.tta.or.kr/

                   해외 재난안전통신망 구축 및 운영 현황

                   광대역 재난안전통신망(PS-LTE) 기술 표준화 현황

                   국가재난안전통신망 현황과 구축방안


ps_lte_표준화1.pdf

ps_lte_표준화2.pdf




 

Posted by 둔탱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