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 국외 재난안전통신 표준기술

3. LTE 기반 재난안전통신망 구축

4. PS-LTE 관련 기술

5. 국내 재난안전무선통신망

6. 결론





1. 개요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재난 및 재해 상황에 대하여 국가적 대응 및 국민의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음

  - 재난 재해로부터 안전을 확보하고 재해 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재난안전무선통신망의 구축과 표준화가 필수적임

  - 해외 주요국 및 국내에서는 차세대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한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2. 국외 재난안전통신 표준기술

  - 국가 차원의 재난안전통신망으로 주로 협대역 디지털 TRS 방식인 유럽의 TETRA 기술 표준과 북미 기술표준인 APCO-P25 방식이 있음

  - 대부분의 유럽국가가 유럽의 TRS 표준기술인 TETRA 기반으로 자가망을 구축했거나, 구축하고 있는 상황

  - 미국은 북미의 TRS 표준기술인 APCO-P25 기반 자가망을 구축하여 운영 중, 상용망인 iDEN(모토로라사의 비개방형 TRS)을 일부 활용하였으나 기능적 제약 등으로 2013년 이후 활용을 중단한 상태

 

3. LTE 기반 재난안전통신망 구축

  - 기존 재난안전통신망은 주로 유럽을 중심으로 하는 TETRA와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APCO-P25를 통해 구축되었다.

  - 그러나 최근 재난상황의 규모가 커지고 이에 여러 기관이 입체적인 대응을 위해 음성통신 이외에 영상 등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
신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다.

  - 특히 미국이 LTE 기반 재난안전통신망 구축 계획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멀티미디어를 수용하는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상황이다.

  - 이를 구현하기 위한 대표적인 기술로는 LTE, 특히 PS(Publice Safety)-LTE 기술을 활용한 통신망 구축이 향후 멀티미디어 기반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의 큰 방향으로 자리 잡고 있다

   - 2012년 11월 연방통신위원회(FCC)는 LTE 기반 공공안전망 구축을 위해 700MHz 대역 주파수 20MHz(758~768MHz, 788~798MHz)에 대한 라이센스를 발급


4. PS-LTE 관련 기술

  - 3GPP에서 표준화 진행 중인 PS-LTE 관련 기술

- PS-LTE 주요 항목별 표준화 내용

               ProSe(Proximity based Service)

               GCSE(Group Communication System Enabler)

               MCPTT(Mission Critical Push To Talk)

               IOPS(Isolated eUTRAN Operation Public Safety)


 

5. 국내 재난안전무선통신망

  가. 국내 재난안전무선통신망의 문제점

     - 재난대응 기관들이 VHF, UHF, TRS 등 주파수 대역과 통신방식이 달라 상호 통신이 어려우며, 신속하고 체계적인 협력 대응이 어렵다

http://www.tta.or.kr/data/reportlist.jsp?kind_num=1

 

     - VHF/UHF 무전기용으로 할당된 2.8MHz 대역폭을 1,700여 개 공공기관이 사용 중으로 충분한 채널 확보가 곤란하여 운영이 

     - 통합지휘무선통신망 구축사업 추진 이후, 통신망 투자가 보류되어 장비 및 시스템이 노후화되어 교체 시기가 도래하고 있다

 

   나. 국가 재난안전통신망 구축계획

      -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지난 2011년 안전행정부가 재난안전망 후보기술로 결정한 와이브로와 테트라에 대해 경제적 타당성이 낮다고 판단했다

      - 정부는 국가재난안전통신망 기술방식으로 700㎒ 주파수 대역(20MHz 대역폭)을 활용해 공공안전용(PS, Public Safety)-LTE로 구축하기로 확정

      - 철도망과 e-Navigation망 등 타 통신망과의 통합 연계 방안, 기존망(TETRA, iDEN, UHF, VHF 등)과 연동방안 필요

      - 또한, 음영지역 및 통신망 파괴시 비상통신을 위한 다양한 이동기지국 구축방안도 마련되어야 함

      - 안전망은 관제운용센터, 코어망(LTE Core), 접속망(LTE Access)과 단말기로 4개 부문으로 구분할 수 있다.

 

http://www.tta.or.kr/data/reportlist.jsp?kind_num=1

 

6. 결론

  - 국가재난통신망의 성공적인 구축과 운용을 위해서는 국제표준화 동향을 주시하고 빠른 시일 내 표준이 완료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대응이 이루어져야 한다.

  - 기술적 이슈와 경제적 이슈 측면에서 PS-LTE망 구축에 많은 어려움이 산적해 있으므로 이를 체계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정부와 업체, 이용기관의 협력이 절실히 필요할 것으로 판단

 

 

 

 

<References>

http://www.tta.or.kr/

                   해외 재난안전통신망 구축 및 운영 현황

                   광대역 재난안전통신망(PS-LTE) 기술 표준화 현황

                   국가재난안전통신망 현황과 구축방안


ps_lte_표준화1.pdf

ps_lte_표준화2.pdf




 

Posted by 둔탱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