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pernetting

Internet/TCP/IP 2015. 9. 19. 18:00

1. Overview

2. supernetting의 예

3. Supernetting 과 Subnetting

 

 

 

1. Overview

 - 현재 고갈되지 않은 C class는 주소는 최대 254개의 호스트 주소를 갖지만 기관의 수요를 만족시키지는 못함

 - 이러한 요구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supernetting임

 - 주소 범위가 작은 네트워크 여러 개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통합하는 기술

 - 보통 여러 개의  연속된 C class 주소를 결합하여 B calss처럼 사용

 - supernetting을 함으로써 기관은 하나의 클래스 대신에 C class 주소의 블록을 사용할 수 있으며, 라우터에서는 관리해야 할 라우팅 테이블의 엔트리가 줄어들게 됨

 

2. supernetting의 예

  - 한 회사가 X.Y.32.0 부터 X.Y.35.0 까지 4개의 네트워크 ID를 사용하고 있다고 가정

  - 인터넷상에서 네트워크가 동작하기 위해서는 이 하나의 회사를 위해서 라우팅 테이블이 4개가 추가되어야 함

  - Supernetting을 이용하면 C Class network ID가 4개라 할지라도 라우팅 테이블에서는 4개가 아닌 1개의 라우팅 경로만으로 네트워크 지원 가능

  - xxxxxxxx.yyyyyyyy.00100000.00000000   X.Y.32.0

    xxxxxxxx.yyyyyyyy.00100001.00000000   X.Y.33.0

    xxxxxxxx.yyyyyyyy.00100010.00000000   X.Y.34.0

    xxxxxxxx.yyyyyyyy.00100011.00000000   X.Y.35.0

   

 

  3. Supernetting 과 Subnetting

    - Supernetting은 Subnetting의 반대 개념

 

출처

http://donjobani.blog.me/30106820572

http://blog.naver.com/diviva?Redirect=Log&logNo=70022655853

http://cafe.naver.com/mgagamel/40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2. ICMP 구조

3. ICMP를 이용한 명령

  가. PING

  나. Tracert

4. 특징

5. 결론

 

 

 

 

1. 개요

   - IP protocol은 신뢰성이 없는 비연결형

   - IP protocol은 네트워크 진단이나 접속 불가에 대한 원인을 찾는 등의 기능은 포함하고 있지 않음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message를 이용 network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가지 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프로토콜이 필요

   - 접속 불가에 대한 이유나 여러가지 진단기능을 수행할 제어프로토콜이 ICMP

   - ICMP는 IP계층의 일부이며 이 메시지는 IP 데이터그램에 encapsulation 되어서 전송됨

 

2. ICMP 구조

 

    - ICMP는 Ethernet과 IP에 capsule화 되어 전달됨

    - IP Header의 Protocol type 값이 1이면 ICMP message(6:TCP, 17:UDP, 2:IGMP)

    - IP payload 내의 메시지가 순수한 ICMP

  가. TYPE(유형):ICMP의 용도를 표현

      

 

  나. Code:  각 type별로 세부적인 값,  Type 3에 대한 code

 

 

  다. Checksum: ICMP Header의 손상여부 확인

  라. ICMP Data: ICMP type과 Code에 따른 내용

 

3. ICMP를 이용한 명령

  가. PING

     - PING은 Packet InterNet Groper의 약자임

     - ICMP echo request 메시지를 특정 호스트나 라우터에 보내어 이에 대한 ICMP echo reply를 수신함으로써 reachability를 검사해 보고, 요청과 응답에 대한 경과시간인 Round-Trip-Time(RTT)를 알아 볼 수 있음

     - 요청과 응답 모두 IP 데이터그램에 수납되어 전송되기 때문에 응답의 성공적 수신은 경로상의 라우터와 목적지 시스템의 망 계층부분이 동작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임

 

  나. Tracert

     - Tracert 명령은 경로상에 있는 라우터마다 ICMP echo 메시지를 보내어 이에 대한 응답을 확인함으로써, 경로상의 라우터의 존재 및 지연시간을 검사해 보는 것임

     - 모든 IP 라우터들은 수신된 IP Packet을 다음 라우터로 전달하기 전에 먼저 IP헤더의 TTL값을 1 감소시킴. 만약 감소된 TTL값이 0인 경우 이 패킷을 다른 라우터로 전달하지 않고 버리며, 이 IP패킷의 송신측에게  time exceeded error ICMP 패킷으로 이 사실을 알리는 라우터의 기본 원리를 이용.

     - 동작 algorithm

    

        ① Tracert를 실행하는 단말은 TTL값을 1로 설정한 첫 번째 ICMP echo 패킷을 목적지로 송신하면, 이것을 수신한 경로상의 첫 번째 라우터로부터 Time exceeded error ICMP 패킷을 수신할 수 있음

        ② 이후 다시 TTL-2로 설정한 ICMP echo 메시지를 목적지로 송신하면 경로상의 두 번째 라우터로부터 time exceeded error  ICMP 패킷을 수신할 수 있게 됨

        ③ 이러한 절차를 반복하면 목적지까지의  경로상에 있는 모든 라우터에 대한 정보 및 지연시간을 알 수 있음.

        ④ 하지만 어떤 라우터들은 TTL 값이 0이 될 때 단순히 버려버리는 것도 있으므로 이 라우터에 대한 정보를 tracert 기능으로 확인하지 못할 수도 있음

 

4. 특징

  - ICMP 도달 불가 에러:존재하지 않은 응용계층에 접근을 시도하는 경우 수신측에서 에러메시지를 응답함

  - ICMP 에러 메시지가 응답되는 않는 경우: ICMP 에러 메시지에 에러가 난 경우나 IP 브로드캐스트 주소나 멀티캐스트 주소로 가는 경우

 

5. 결 론

  - ICMP는 상위계층이 아니므로,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보이지는 않지만, Ping과 Tracert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경로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ICMP는 신뢰성이 없는 비연결형 서비스인 IP를 보완하기 위한, 최소한의 에러제어 솔루션이라고 할 수 있다.

 

 

 

 

 


 

'Internet > TCP/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기반 통신서비스의 QoS 보장 방안  (0) 2015.09.20
Supernetting  (0) 2015.09.19
IPv6 transition technique  (0) 2015.09.19
IPv4와 IPv6  (0) 2015.09.19
IPv4 설명하고 현 주소체계의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  (0) 2015.09.19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2. IPv4와 IPv6의 비교

3. IPv6 연동 기술 on IPv4

   1) Dual stack

   2) Tunneling

   3) Translation

4. IPv6 전환

 

 

1. Outline

   - IPv4는 Address 부족, 보안성 취약, QoS/Multimedia 제공을 위한 성능 부족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음 

   - IPv6는 IPv4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Internet Protocol

 

2. IPv4와 IPv6의 비교

  - IP 주소의 길이가 32 bit에서 128bit로 증가,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

  - IPv4는 보안기능을 첨가하는 IPsec이라는 패치 형태의 Protocol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나 IPv6는 IPsec을 Protocol내에 탑재해 보안 기능을 수행함

  - 주소 유형은 IPv4는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가 있으며 IPv6는 브로드캐스트 대신에 anycast로 도입하였으며, 구성방법도 자동으로 실현됨

  - 40byte로 제한되어 있는 IPv4 헤더옵션과 달리 IPv6 확장헤더 크기는 IPv6 페이로드 크기만큼 확장할 수 있어 다양한 기능이 구현 가능함

  - IPv6는 Flow label 필드를 통하여 응용서비스에 따라 차별화된 QoS가 제공됨

 

 구분  IPv4 IPv6 
 주소 길이  32bit  128bit
 주소 개수  약 43억개  거의 무한대
 품질 제어  품질 보장 곤란(QoS 일부 지원)  등급별, 서비스별로 패킷을 구분할 수 있어 품질 보장이 용이
 보안  IPsec Protocol 별도 설치  확장 기능에서 기본으로 제공
 Auto configuration  곤란

 있음

 이동성 지원 곤란(비효율적)  용이(효율적) 
 Header checksum  있음  없음
 Fragmentation information  모든 데이터그램에  Flow label이 선택적으로
 주소 유형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

 

 

 

 

 

 

 

 

 

 

 

 

 

 

 

 

3. IPv6 연동 기술 on IPv4

  -현재의 IPv4 노드들을 한 번에 IPv6로 대치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IPv6 네트워크 환경으로 넘어가기 위한 과도기적인 방안으로서 상호 연동기술이 필요

  1) Dual stack

    - 기기, 운영체제, 응용프로그램에서 IPv4와 IPv6를 모두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

    - IPv4 네트워크 환경하에서 IPv4와 IPv6를 함께 dual stack 구조로 노드를 구현하는 것

    - 이와 같은 Dual stack 기술은 정식 IPv4 주소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주소 고갈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

  2) Tunneling

    - IPv6 망에서 IPv4 망을 거쳐서 IPv6 망으로 이동할 시 IPv4망에 터널을 만들어 IPv6 packet이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개념

 

 

  3) Translation

    - IPv4 망과 IPv6 망 사이에서 주소변환기를 사용하여 상호 연동시키는 기술

    - IPv4 클라이언트가 IPv6 서버에 접속하거나 반대로 IPv6 클라이언트가 IPv4 서버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 기술

    - Network layer에 header 변환 방식, 전송계층에 relay 방식,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방식

 

 

4. IPv6 전환

  - 차세대 인터넷이 요구하는 보안, 서비스 품질 보장, 멀티캐스트, 이동성 지원 등 새로운 요구사항들에 대한 지원이 용이하며, 앞으로의 인터넷을 한 단계 발전시키는 데 많은 공헌을 할 것으로 예상됨

  - 이동통신 망에서의 무선인터넷 서비스, 홈 네트워킹을 이용한 정보가전 분야, 케이블 망 인터넷 접속 서비스, 군사 및 기타 분야에 조기 적용 가능


 

Posted by 둔탱이
,

IPv4와 IPv6

Internet/TCP/IP 2015. 9. 19. 17:54

1. 개요

2. IPv4

  1) 특징

  2) Header의 구조

3. IPv6

  1) 특징

  2) Header의 구조

  3) IPv6의 주소 체계

  4) IPv6의 주소 종류

4. IPv4와 IPv6의 비교

5. Conclusion

 

 

 

 

1. 개요

  - IP는 네트워크 계층의 핵심적인 프로토콜로서 상위계층의 TCP와 UDP는 모두 IP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함

  - IP의 주된 기능은 패킷을 전송할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데이터그램 방식을 사용함

  - IPv6는 version 6를 의미하며 IPv4가 업그레이드 된 것임

  - IPv6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Internet Address를 수용할 수 있고, Multimedia data 처리가 가능하며 보안성까지 갖추고 있어 IPv4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됨


2. IPv4

 1) 특징

   - 주소체계는 8bit씩 4개 필드로 구성되어 32bit의 숫자로 표현함

   -  IP address=Network ID + Host ID

                 Network ID: 인터넷에서 모든 host를 개별적으로 관리하기 힘들기 때문에 Network ID를 이용하여 하나의 네트워크 범위를 

                                지정, 관리

                 Host ID: 하나의 Network안에서 개별적인 호스트를 구분할 때 사용

   - Class 기반 주소체계(A~E)

   - IP datagram은 가변길이의 패킷으로 헤더와 데이터 부분으로 구성됨

 

 2) Header의 구조

   - Header는 기본적으로 20바이트를 차지하고 최대 60바이트까지 확장 가능

 

   - version : IP version (IPv4, IPv6)

   - Header length : 헤더의 크기

   - Type of service : QoS 구현시 IP 데이터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 Total packet length : IP 헤더와 데이터의 바이트 수

   - Fragmentation Identifier : 식별자. 분할된 IP 데이터그램을 재조립할 때 사용

   - Flag(3bit) : 패킷 분활과 관련된 정보

   - Flagmentation offset(3bit) : 분할된 데이터 순서

   - Time to live(8bit) : 통과할 수 있는 라우터의 수

   - Protocol identifier(8bit) : 상위 프로토콜, ICMP:1, IGMP:2, TCP:6, UDP:17

   - Header checksum(16bit) : IP 헤더가 손상되었는지 판단하는 값

   - Source IP address(16bit)

   - Destination IP address(16bit)

                         

3. IPv6

 1) 특징

   - IPv4 문제점인 Address 부족, 보안성 취약, QoS/Multimedia 제공을 위한 성능 부족등의 문제점 해결 모색

   - IPv6는 IPv4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Internet Protocol

   - IPv6의 주소 길이는 128bit, 가용 주소공간 무한

   - Header 형식의 단순화, 데이터 처리 속도 향상

   - 고품질의 QoS 제공(Header에 Traffic class와 Flow label 두 개의 필드를 사용, 서비스에 따라 네트워크 대역폭이나 처리율을 조절해 효율적으로 네트워크 자원을 사용하겠다는 것)

   - 보안 기능 강화(보안헤더 추가)

   - 비디오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광대역폭을 확보하고 각가 다른 대역폭에서도 무리 없는 동영상 처리가 가능토록 지원함

 

 2) Header의 구조

   - Version(4bits): IP version, IPv4이면4 IPv6이면 6

   - Traffic Class(8bits): IPv4의 TOS(Type of Service)와 유사, 패킷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field, 고품질의 QoS지원 가능

   - Flow Label(20bits): Flow 및 Flow process 정보

   - Payload length(16bits): 40byte header 다음에 오는 데이터 길이 표시

   - Next header(8bits): IPv4의 protocol filed와 유사, 기본 header 다음에 위치하는 확장 header의 종류를 표시(마지막 extension header 내의 next header가 상위 계층의 header에 대한 정보 표시)

      예> 0 hop by hop options header

          2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17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44 Fragment Header

   - Hop limit(8bits): IPv4의 Time to live와 같음, 네트워크 상에서 무한정 떠도는 것을 방 지

   - Source address: 송신측의 IPv6 주소

   - Destination address: 수신측의 IPv6 주소

   - Extension Header

     가. IPv6 header와 Transport header 사이에 위치

     나. End station에서만 사용되며 Router와 같은 장비들은 extension header를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뭉에 IPv6 데이터를 처리할 때 좋은 성능을 가진다. 


   3) IPv6의 주소 체계

      - 128bit=Network ID(64bits)+ Host ID(64bits)=16bit*8

  

    4) IPv6의 주소 종류

      - IPv6는 Unicast, Anycast, Multicast 패킷 전송 지원(Broadcast는 Multicast로 대체)

      가. Unicast


         - 단일 인터페이스를 지정하고, 유니캐스트로 보내진 패킷은 해당 패킷으로만 전달

      나. Multicast

      

         - 인터페이스의 집합을 지정하며, 이 주소로 보내진 패킷은 해당되는 모든 인터페이스에 전달

       다. Anycast

       

         - 복수의 인터페이스에 배정되며, 서로 다른 링크에 속한 인터페이스에 집합을 지정

         - 멀티캐스트 라우팅방식으로 해당 인터페이스 중 가장 가까운 인터페이스(라우터)로만 전달

         - 호스트에서 DNS 질의가 있을 때 가장 가까운 DNS를 문의함으로써 처리


4. IPv4와 IPv6의 비교

  - IP 주소의 길이가 32 bit에서 128bit로 증가,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

  - IPv4는 보안기능을 첨가하는 IPsec이라는 패치 형태의 Protocol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나 IPv6는 IPsec을 Protocol내에 탑재해 보안 기능을 수행함

  - 주소 유형은 IPv4는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가 있으며 IPv6는 브로드캐스트 대신에 anycast로 도입하였으며, 구성방법도 자동으로 실현됨

  - 40byte로 제한되어 있는 IPv4 헤더옵션과 달리 IPv6 확장헤더 크기는 IPv6 페이로드 크기만큼 확장할 수 있어 다양한 기능이 구현 가능함

  - IPv6는 Flow label 필드를 통하여 응용서비스에 따라 차별화된 QoS가 제공됨

 

 구분  IPv4 IPv6 
 주소 길이  32bit  128bit
 주소 개수  약 43억개  거의 무한대
 품질 제어  품질 보장 곤란(QoS 일부 지원)  등급별, 서비스별로 패킷을 구분할 수 있어 품질 보장이 용이
 보안  IPsec Protocol 별도 설치  확장 기능에서 기본으로 제공
 Auto configuration  곤란

 있음

 이동성 지원 곤란(비효율적)  용이(효율적) 
 Header checksum  있음  없음
 Fragmentation information  모든 데이터그램에  Flow label이 선택적으로
 주소 유형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

 

 


       


 

 

 

 

 

 

 




 

5. Conclusion

 - IPv6의 등장 배경은 IPv4의 문제점인 주소 부족, 보안성 취약, 이동성, 대역폭 부족, 고품질의 QoS 부족 등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함

 - 향후 모바일 인터넷과 정보 가전에 대한 수요 증가와 함께 기존 IPv4 체계의 주소가 곧 고갈될 것으로 전망되어 IPv6주소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음

 - 향후 IPv4에서 IPv6로 전환 방법이 이슈일 것임, 전환 1단계는 Dual stack 시스템 사용, 2단계는 터널링 단계, 3단계는 네트워크에서 IPv4를 제거하는 단계임

 - IPv4에서 IPv6로의 이전은 현재 사용 중인 IPv4가 광범위가 퍼져있기 때문에 한꺼번에 교체하기는 힘들고IPv6로 교체가 완료될 때까지 IPv4와 IPv6가 함께 공존하면서 통신하는 방안을 강구해야할 것임


 

Posted by 둔탱이
,

1. IP address 개요

2. IP Class

3. IPv4의 한계

4. 논리적 확장 방안

   가. Subnetting

   나.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다.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5. 물리적 확장 방안

 

 

 

 

 

1. IP address 개요

  -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들이 논리적으로 갖게 되는 주소

  - IPv4=32bit 사용, IPv6= 128bit 사용

  - IPv4는 총 4개의 octet으로 나눠져 있으며, 각각을 dot으로 구분하여 표현한다

  


  - IP address=Network ID + Host ID

                 Network ID: 인터넷에서 모든 host를 개별적으로 관리하기 힘들기 때문에 Network ID를 이용하여 하나의 네트워크 범위를 

                                지정, 관리

                 Host ID: 하나의 Network안에서 개별적인 호스트를 구분할 때 사용

 2. IP Class

  - A class: User용(대규모), network 수(128-2=126), host 수(2^24-2=16777124)

              A class에서 Network 주소 0과 127은 사용하지 않는 예약된 주소이다

  - B class: User용(중규모), network 수(64*256=16384), host 수(2^16-2=65534)

  - C class: User용(소규모), network 수(2^21=2097152), host 수(2^8-2=254)

  - D class: Multicast 용도

  - E class: Reserved for future use

 Class 기본 마스크  네트워크 주소  호스트 주소 
 A class 255.0.0.0  1~126  0.0.1~255.255.254 
 B class  255.255.0.0  128.0~191.255 0.1~255.254 
 C class  255.255.255.0 192.0.0~223.255.255  1~254

 

  - 특별한 IP 주소(host에서 all zeroes는 this network, all ones는 broadcast를 의미)

 

3. IPv4의 한계

  - IPv4의 클래스 기반 주소체계는 네트워크와 호스트 ID 길이가 고정적이므로 비효율적, 주소 부족

  - 주소부족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가. Subnetting

    다. DHCP

    라. NAT

  - 실제 물리적인 IP 확장을 위해서는 IPv6 주소를 사용하여야 함

4. 논리적 확장 방안

  가. Subnetting

     - subnet mask: network ID와 host ID를 구분해 주는 역할

                      bit가 1인 부분은 IP 주소에서 network ID로 인식, bit가 0인 부분은 IP 주소에서 Host ID로 인식

     - Subnet mask를 이용하여 IP 주소 중 host 주소 일부분을 필요한 만큼의 서브 network로 분할하여 사용하는 방법 

     - 한 네트워크의 브로드캐스팅이 다른 네트워크로 전송되지 않으므로 네트워크 상의 불필요한 트래픽을 줄일 수 있음

 

        ex> C class network 198.1.1.0

             subnet mask 255.255.255.192로 subnetting하면

             11000110    00000001    00000001    00000000

             11111111    11111111    11111111    11000000


             4개의 network가 나옴

                            198.1.1.0

                            198.1.1.64

                            198.1.1.128

                            198.1.1.192

  

   나.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 공인 IP와 사설 IP를 서로 변환시켜줌

      - 사설 IP는 공인 IP와는 달리 동일 네트워크 내부에서만 인식이 되고 타 네트워크에서는 접속할 수 없는 IP를 말한다. 즉, 내부에서 외부로는 접근이 가능하나, 외부에서는 내부로 접근이 불가능, 방화벽의 일부로 사용

      - 각 통신사업자들이 개인에게 대부분 한 개의 유동 IP만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한 개의 IP로 여러 단말들이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사용됨, 즉 소수의 공인 IP를 통해 수 많은 사설 IP가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NAT 기술이라 한다. 

   

    다.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 IP 주소를 관리하고 할당하며 컴퓨터가 네트워크의 다른 장소에 접속되었을 때 자동으로 새로운 IP 주소를 할당한다. 

      - DHCP는 사용 가능한 IP 주소의 개수보다 더 많은 컴퓨터가 있는 경우에도 IP 주소의 임대시간을 짧게 함으로써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컴퓨터는 DHCP 서버에게 지속적으로 IP 임대시간 요청하여 IP 사용

      - BOOTP(Bootstrap Protocol)의 대안, DHCP는 BOOTP와 달리 할당된 IP 주소에 임대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 장점: 네트워크 관리 용이, 네트워크 flexibility 증가, IP 충돌 예방


 구 분 DHCP NAT 
 IP 구분 공인 IP  사설 IP 
응용제한  공인 IP이므로 응용 이용의 제한이 없음  인스턴트메시징 서비스 및 게임에 제한인 많음 
 해킹추적 가능  불가능 
 개인사설망 보호 불가능  가능 
 지연요소 상대적 유리  상대적 불리
(모든 패킷은 NAT를 통해야 하므로) 

 


5. 물리적 확장 방안

 - IPv6 적용

 - 32bit 주소공간체계를 쓰던 IPv4에 비하여 128bit로 이를 확장하여 이론적으로 무한대의 주소공간을 확보하게 됨

 - IPv4와 달리 비클래스 주소체계를 적용하여 효율성을 높임

   



     


 

'Internet > TCP/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기반 통신서비스의 QoS 보장 방안  (0) 2015.09.20
Supernetting  (0) 2015.09.19
IP protocol의 문제점 및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0) 2015.09.19
IPv6 transition technique  (0) 2015.09.19
IPv4와 IPv6  (0) 2015.09.19
Posted by 둔탱이
,

Internetworking

Internet/OSI 2015. 9. 19. 17:48

1. 개요

2. Inter-networking 장비 개념도

3. Inter-networking 장비 구성 요소

 1) Repeater/Hub

 2) Bridge/Switch

 3) Router

 4) Gateway

 

 

 

 

 

 

 

1. 개요

  -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개개의 network간의 접속을 의미

  - 둘 이상의 network 상호간을 연결하여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기법

  - 어느 계층에서 연결되는가에 따라서 사용되는 장비, 기대효과가 다름


2. Inter-networking 장비 개념도


3. Inter-networking 장비 구성 요소

 1) Repeater/Hub

   가 Repeater

     - Network의 길이가 길어지면 cable의 임피던스가 커지고 그에 따라 신호의 전압이 내려가서 정확한 정보를 전송할 수 없어짐

     - 이를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의 중계점에 리피터를 설치하여 전압을 올림

     - 1계층 연동 장비

     - 입출력 단자 규격이 같은 종류이어야 하고, cable의 속도가 서로 다른 경우는 버퍼를 내장한 리피터 사용

     - 신호에 섞인 잡음을 걸러내서 증폭

   

   나 Hub

     - A repeater with multiple ports

     - LAN에서 여러 전송케이블을 한 곳에 모아 접속하기 위한 집선 장치

     - 컴퓨터의 연결뿐만 아니라 또 다른 허브와도 연결할 수 있어 근거리의 다른 Network와 연결 가능

     - 전송대역폭을 서로 동일하게 분할해서 사용, host수가 많을 수록 속도가 느려짐

     - 허브에 연결되는 모든 장비들은 하나의 collision domain을 갖는다. 즉 각각의 PC들은 동시 통신이 불가하다.

     - 연결된 장비의 수가 많을수록 Collision domain 영역이 커진다. 


    

   다 1계층 장비인 Hub와 Repeater의 주요 특징

     - 리피터는 물리적인 LAN segment 연장, 장거리 전송 시 신호를 재생 및 재전송 가능

     - 허브는 매체 배선을 위한 중앙집중장치로 사용되며, 스타 topology 구성, 리피터 기능 포함


 2) Bridge/Switch

   가 Bridge

      - 2계층 연동 장비

      - Link계층에서 연결되므로 상위계층에서 보면 하나의 네트워크처럼 보임

      - 허브와 달리 collision domain을 나눠주어 F가 통신을 하는 동안 E도 통신이 가능하다.

      - software방식으로 Frame을 처리(속도가 느리다)

      - 같은 속도만 연결해 줄 수 있다.

      - 지원하는 포트수가 적다

      - 프레임 처리방식으로 Store and Forward 방식 사용

      - Bridge 5대 기능

          Learning: Mac address learning

          Forwarding: 자신이 알고 있는 해당 포트에 Frame을 Forwarding

          Flooding: 자신이 알고 있는 Mac address를 제외 모든 포트에 Frame을 Flooding

          Filtering: 출발지와 도착지가 같 Segment상에 있는 경우 filtering

          Aging:Bridge table에서 Source Mac address를 기억하는 시간


 나 Switch

    - 각각의 포트가 서로 다른 collision domain을 갖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 어느 PC나 동시에 통신이 가능

    - Hardward방식으로 프레임을 처리(속도가 빠르다)

    - 서로 다른 속도를 연결해 줄 수 있다

    - 지원하는 포트수가 많다

    - 프레임 처리 방식으로 Store and Forward 방식과 Cut Through 방식을 사용한다

3) Router

  - 3계층 연동 장비

  - 라우터는 두 네트워크를 네트워크 계층으로 서로 연결해주는 역할

  - 라우터도 하나의 컴퓨터로 볼 수 있으며 고유의 IP 주소를 갖고 있음

  - 라우터는 3계층인 Network 주소를 기반으로 경로 선택을 하여 목적지까지 Packet을 전달

  - 네트워크에 대한 모든 정보를 Routing 테이블이란 곳에 저장을 한다

  - Router를 통해서는 Broadcast Packet은 통과할 수 없다


4) Gateway

  - 4계층 이상의 연동 장비

  - 네트워크 상의 서로 다른 프로토콜이나 서로 다른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노드가 있을 경우 상호 연결을 시켜주는 장비

  - 전 계층의 프로토콜을 상호 변환하므로 복잡하고 가격이 상승하나 네트워크 상호접속 시 융통성은 가장 큼


구분  Repeater  Bridge  Router  Gateway 
계층  1계층 2계층 3계층 4계층 
 망의 인식 물리적 신호  Mac address  IP address  Protocol 
 전달 단위 bit 신호  Frame  Packet  Message 

 



 

'Internet > OSI'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I 7 Layer  (0) 2015.09.19
Posted by 둔탱이
,

OSI 7 Layer

Internet/OSI 2015. 9. 19. 17:47

1. 개요

2. OSI 7 layer

 1) OSI 전송 계층

  2) OSI 계층을 이용한 전송

3. OSI 7 layer의 특징

  1) 장점

  2) 단점

4. OSI 7 layer 각 계층의 기능

  1) Physical Layer(1계층)

  2) Data link Layer(2계층

  3) Network Layer(3계층)

  4) Transport Layer(4계층)

  5) Session Layer(5계층)

  6) Presentation Layer(6계층)

  7) Application Layer(7계층)

5. OSI 7 layer를 기반으로 간단한 프로토콜을 설계

6. 결론

 

 

 

 

1. 개요

 -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 서로 다른 system간에 compatability를 유지하기 위한 하나의 표준

 - 개방(Open)이란 어떤 특정 시스템의 구현 기술이나 연결의 수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적용 가능한 광범위한 표준을 제시함으로써 이 권고안을 따른 각각의 프로토콜들이 상호 접속 가능하도록 구현하게끔 한다는 것

 

2. OSI 7 layer

 1) OSI 전송 계층

   - 7개의 Layer로 구성

   - 모델의 각 계층은 바로 아래와 위의 계층에 대해 각각 client와 server의 역할을 한다


https://technet.microsoft.com/en-us/library/bb726993.aspx#mainSection



  2) OSI 계층을 이용한 전송

     - 응용프로그램에서부터 물리적인 매체를 거쳐서 다음 system으로 정보가 흐르는 과정

     - 각 층에서 Header를 부가(capsulation)하여 전송하는 개념


http://www.billslater.com/internet/how_tcp-ip_works_.jpg



3. OSI 7 layer의 특징

 1) 장점

   - 다른 계층에 영향을 주지 않고 수정하거나 기능 향상 용이

   - 각 계층의 표준화 및 업무 분담 용이

   - module화로 설계 용이

   - Interface의 표준화

  2) 단점

   - 불필요한 기능을 이용해야 할 경우 발생

   - overhead 증가 

 

4. OSI 7 layer 각 계층의 기능

 

 1) Physical Layer(1계층)

    - 전송 매체에 관한 표준을 결정

    - 단말과 전송 매체 사이의 interface 정의(통신속도, 커넥터의 형태, 전압등을 규정하는 기능)

    - 정보 교환 단위: Bit

    - 프로토콜의 종류: RS-232C, X.21, V.24

    - 해당 장비: Hub, Repeater

  2) Data link Layer(2계층)

    - 교환기와 단말, 단말과 단말등 인접 node간에 error 없는 전송 담당

    - 네트워크 계층에서 온 Packet을 frame이라는 형태로 만든 후, 이 frame이 물리적인 Network를 지나 오류없이 상대편 디바이스로 정확인 전달될 수 있도록 함

    - data link 상에서 사용하는 주소: MAC(Media Access Control)

    - 정보 교환 단위: Frame

    - 프로토콜의 종류

       가. LAN

           LLC(Logical link control, IEEE802.2)

           MAC(Media Access Control)

       나. WAN

           HDLC, SDLC, PPP, ISDN, Frame Relay

    - 장비: Bridge, Switch

 3) Network Layer(3계층)

   - DCE와 DCE간의 접속 규약

   - 네트워크 routing 기능

   - 정보교환 단위: packet or datagram

   - Protocol의 종류

     IP(Internet Protocol)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장비: Router

※DCE와 DTE

  - DTE(Data Terminal Equipment): WAN Link 상에서 User Device 끝단에 위치, Router 및 PC   

  - DCE(Data Circuit Equipment): WAN link 상에서 Service Provider의 끝단에 위치, Clocking 제공, CSU/DSU, Modem

  - CSU(Channel Service Unit), DSU(Digital Service Unit)

     가. 전용선 혹은 WAN(Wide Area Network) 회선을 라우터와 같은 사설망의 장비에 연결하는 종단 장비

     나. LAN의 디지털 데이터 프레임을 WAN에 적합 디지털 데이터 프레임으로 또는 그 역으로 변환하는 기능 수행

     다. CSU: 전송할 데이터를 T1, E1과 같은 채널에 연결 시켜주는 장비 

     라. DSU: 디지털 데이터(이진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전송하기위해 변환을 거친 신호)로 변환해주는 역할

  - Modem: 아날로그 회선에서 사용,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기능을 한다.

 4) Transport Layer(4계층)

   - 전송계층은 서로 다른 호스트에서 실행 중인 응용프로그램 사이에 논리적인 연결을 제공하여, 두 응용프로그램 사이에서의 전송을 담당

   - 종단 시스템간의(End to End)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담당

   - DTE와 DTE 사이의 접속 규약

   - 정보교환단위:Segment, Message

   - Protocol의 종류: 컴퓨터 응용프로그램에 따라 전송특성이 다름, 두 프로토콜을 택배회사에 비유하면, TCP는 매우 신뢰성 있는 고급 택배, UDP는 화물 분실에 대해서는 전혀 책임을 지지 않고 최대한 빠르게 배송만 하고자 하는 택배)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 전송 계층에서의 Service 종류

     가. Connection oriented service(접속 지향형 서비스)

         -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 송신측과 수신측 간에 연결을 해놓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형태이다 

         - 데이터에는 연결에만 관련된 정보만 삽입하면 되기 때문에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 TCP, WAN에서 사용

     나. Connectionless oriented service(비접속 지향형 서비스)

         - 데이터를 전송할 때 연결 설정 없이 바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 UDP, LAN에서 많이 사용

  5) Session Layer(5계층)

   - 응용 프로그램간의 연결 설정/관리, 해제하는 기능 수행

   - 메시지 동기화(Message synchronisation)

   - Protocol의 종류

     NFS(Network File System), RPC(Remote Procedure Call) 등등

  6) Presentation Layer(6계층)

   -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 될 수 있도록 데이터를 변환해주는 역할

   - 정보표현방식에 관한 처리 담당

   - Protocol의 종류

     JPEG, MPEG, PNG 등등

  7) Application Layer(7계층)

   - 사용자에게 다양한 응용프로그램 제공

   - Protocol의 종류

     virtual terminal: Telnet

     Electronic Messaging:SMTP, POP3

     Remote File Access: FTP, TFTP

     Network Management: SNMP


5. OSI 7 layer를 기반으로 간단한 프로토콜을 설계

 - 홈오토메이션 서비스

 - 외부에서 홈오토메이션이 가능하도록 인터넷의 연결과 웹카메라를 이용하여 집 또는 외부에서 놀이터, 주차장, 유치원, 주변 교통 상황등을 수시로 모니터할 수 있는 기반 구조를 가짐

 - 홈오토메이션 계층 구조

 서비스 미들웨어 계층     Application Software(제어 및 관리 기능)
 통신 미들웨어 계층 분산된 데이터를 네트워크 하드웨어에 독립적으로 연결    
 하위통신 소프트웨어 계층 PLC  Bluetooth IEEE1394  Ethernet 
 전송미디어 계층 전력선  Wireless  Serial Bus  Twisted Pair 

 


6. 결론

 - 통신시스템과 같이 복잡한 대형 시스템을 다루려면 기능이 같거나 비슷한 것을 하나의 모듈로 묶어 모듈간의 상호작용을 적게하는 것이 바람직

 - 서로 다른 모듈사이에 적용되는 규칙이나 절차를 최소화하는데 바람직한 구조가 계층적 구조임

 - OSI 모델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기반의 논리적인 변화에 대한 요구에 관계없이 서로 다른 시스템 간에 통신을 가능하게 해줌

 - OSI 모델은 유연하고 안전하게 상호연동이 가능하도록 네트워크를 설계하기 위한 것임



 

'Internet > OSI'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rnetworking  (0) 2015.09.19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2. 위치기반서비스 패러다임 변화

3.LBS 기술

  3.1 무선 측위 기술(PDT: Position Determine Technology)

      3.1.1 망 기반(Network-Sensor Based) 방식

             가. Cell-ID 

             나. Enhanced Cell-ID

             다. AOA(Angle of Arrival)

             라. TOA(Time of Arrival)

             마.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3.1.2 단말기 기반(Handset Based) 방식

             가. GPS

             나. E-OTD(Enhanced-Observed Time Difference)

      3.1.3 혼합 방식(A-GPS, Assisted-GPS)

 3.2 LBS 서버 기술(LBS Middleware)

       3.2.1 위치 서버(Location Server)

       3.2.2 위치 데이터 서버(Location Data Server)

       3.2.3 위치 응용 서버(Location Application Server)

       3.2.4 콘텐츠 서버

4. LBS 응용기술 및 서비스 동향

5. LBS 사업의 성공요인

6. 향후 전망



1. 개요

  - 위치기반 서비스(LBS, Location-Based Services) 는 이동통신망이나 위성신호 등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한 위치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

  - 향후 정보화 기술을 예측한 시나리오, 'Pizza Story(차를 타고 이동 중인 정보 이용자가 피자를 구입하기 위하여 주변의 피자 상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시나리오)'로부터 출발

 

2. 위치기반서비스 패러다임 변화

                                                                  <출처> 2012년 1회 정보통신기술사 해설 김기남 공학원

3.LBS 기술

-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기술체계는 휴대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무선측위 기술과 서비스를 위한 핵심 기반기술을 제공하는 LBS 서버기술, 그리고 다양한 LBS 응용기술들을 들 수 있다. 

출처:LBS 기술/시장보고서, ETRI, 2002

 3.1 무선 측위 기술(PDT: Position Determine Technology)

     -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기술로 망 기반/단말기 기반/혼합 방식으로 분류됨

     3.1.1 망 기반(Network-Sensor Based) 방식

            - 이동통신망의 기지국 수신신호를 이용

            - 단말에 추가장치 없음

            - 측정오차 줄이기 위해 2개 이상의 기지국 전파 도달 시간 및 각도 이용

           가. Cell-ID

              - 단말기의 Registration에 따른 Cell ID 파악

              - 네트워크의 수정 없이도 휴대폰 위치를 알아낼 수 있는 장점

              - 셀 반경에 따라 측위 결과의 정확도가 달라지므로 오차가 발



           나. Enhanced Cell-ID

              - Cell ID방식에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거리정보를 추가하여 정확도를 높인 방식이다.



           다. AOA(Angle of Arrival)

              - 이용자의 단말기로부터 들어오는 전파의 도래각을 기지국에서 측정하여 측위하는 방식

              - 기지국마다 다각도의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가 필요하여 시스템 구축에 따른 비용이 큼

              - 도심 지역에서는 다중경로의 영햐응로 LoS확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위치 결정 시 상당히 큰 오차가 발생할 수 있음



           라. TOA(Time of Arrival)

              -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1개의 기지국을 중심으로 다른 두개의 기지국에서 수신한 신호와의 신호도달 시간을

     이용하여 측위하는 방식

              - 4개 이상의 기지국일 경우 정밀도가 매우 높음
              - 단말기와 기지국 모두 절대적인 시각정보가 필요하고 동기화 되어야 함
              - 3개의 원이 만나는 점이 존재함



           마.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 이용자가 속한 기지국의 신호와 인접 기지국들로부터의 신호 도달 시간 차이를 이용하는 기술
              - 원거리 측정이 가능하며 실외나 장애물이 없는 경우에는 보다 정확한 측위가 가능
              - 2개의 곡선(BS1과 BS3 사이의 곡선, BS1과 BS2사이의 곡선)이 만나는 점이 존재함
     

        

     3.1.2 단말기 기반(Handset Based) 방식

            가. GPS

                - 단말기에 장착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 이용

                - 최근 GPS 정보에 의해 오차를 보정하는 Differential GPS(DGPS) 방식 보급(약 5m의 정밀도 높은 위치 검출이 가능)

                - 장점: 사용하기 쉽고 정확도가 높아 이동통신을 위한 무선 측위에 적합

                - 단점: 높은 빌딩이 많은 도심지역, 나무가 많은 산란지역이나 실내에서 신호의 수신이 간섭을 받아 위치를 결정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음

                     전력 소모량과 워밍업 시간이 많이 걸림

            나.E-OTD(Enhanced Observed Time Difference)

                - TDOA와 유사하지만 E-OTD 단말기 기반 방식임

                - 단말기가 3개 이상의 기지국에서 버스트 신호를 수신 시간 기록

                - 기지국 좌표, 기지국으로부터 신호 도착시간 그리고 도착 시간의 차이를 가지고 측위 

 


     3.1.3 혼합 방식

            - 망기반 방식과 단말기 기반 방식 혼합 사용

            - A-GPS(Assisted GPS): GPS의 단점을 보완해서 Start-up performance를 향상시킨 것

            - GPS 수신기의 역할을 보조 서버가 대신하여 위치 계산을 한 후 이를 수신기에 이동통신망이나 Wifi를 이용하여 보내주는 방식

            - A-GPS는 가까운 거리의 GPS 위성 정보를 담고 있는 보조서버에서 위성 정보를 관리하기 때문에 직접 위성에서 신호를 받는 것보다 빠른 시간 안에 위치정보를 받을 수 있다.

            - 또한 장애물이 있을 경우 수신이 어려운 Autonomous GPS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음  

     


※측위 기술 비교

구분   측위 기술 설명  정확도  기타 
네트워크 기반 방식    Cell ID  단말기의 Registration에 따른 Cell ID 파악  150m~30km  초기 LBS
 ToA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도착시간을 이용  150m 이하  
 AoA  단말기로부터 들어오는 전파의 도래각을 이용  150m 이하  
단말기 기반 방식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단말기에 장착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 이용  15~100m  
혼합 방식  A_GPS(Assisted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의 단점을 보완해서 Start-up performance를 향상시킨 것  10~30m  이통 3사 도입


 3.2 LBS 서버 기술(LBS Middleware)

     - 통신망의 위치정보 접속 게이트인 GMLC(Gateway Mobile Location Center)/MPC(Mobile Positioning Center)로부터 받은 위치정보를 관리하고 서비스에 필요한 부가적인 기능들을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미들웨어

     3.2.1 위치 서버(Location Server)

           -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기능 제공

     3.2.2 위치 데이터 서버(Location Data Server)

           - 이동하는 객체의 효율적인 위치 정보 처리를 담당

           - 이동하는 객체의 위치를 계속 추적하며 서비스하는 위치 정보는 대용량일 뿐만 아니라 통신망에 상당한 부하를 끼치는 문제가 있 음

     3.2.3 위치 응용 서버(Location Application Server)

           -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공통 기능들을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공하는 기능

           - 획득된 경,위도 정보를 건물이나 특정지명으로 매핑하는 Geocoding, 위치 정보를 지도상에 표시하기 위한 Mapping, 특정 지역 정보를 표시하는 POI(Point of Interest)/AOI(Area of interest) 등

     3.2.4 콘텐츠 서버

           - 한정적인 자원을 가지는 휴대 단말상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처리를 위한 콘텐츠 처리 기술 포 함

           - MAP, 교통 트래픽 정보

 

4. LBS 응용기술 및 서비스 동향

     - 위치 기반 정보서비스: 지도 서비스, 지도 전화번호부, 여행 가이드 등

     - L-commerce: Location based advertising, 사용자 위치를 기반으로 한 비교 쇼핑, 예약 등의 부가서비스

     - Community: 실시간 위치 정보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및 채팅

     - Mobile Security: 어린이/여성/환자/노인 보호 서비스

     - 긴급 구조, 재난재해 처리 등 공공 안전 서비스

     - 교통정보 제공하는 텔레매틱스


                                                                                                           자료: LBS 산업협의회

5. LBS 사업의 성공 요인

  - LBS는 단순히 하나의 사업 분야에 그치지 않고 국가 전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전략적 자산

  - 따라서 LBS 사업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전략이 요구

  5.1 전략적인 투자로 위치 정보의 임계규모를 확보

      - LBS 시장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임계규모를 넘는 위치 및 지리정보의 확보가 선결과제

      - 실제 EU, 중국 등 주요국들은 미국의 GPS로부터 탈피해서 독자적인 항법 위성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 중

  5.2 소비자의 저변확대 및 고착화가 LBS 사업 성패 좌우

      - 일반인들이 우려하는 '프라이버시 침해'를 최소화함으로써 소비자의 신뢰를 확보하는 것이 급선무

      - LBS 이용자의 저변을 확대하고 고착화시켜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마련해야함

  5.3 다양한 비지니스를 결합시킨 통합 solution 제공

      - LBS에 다양한 비지니스를 유기적으로 연계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핵심

  5.4 정부차원에서 LBS 사업 발전을 위한 지원이 필요



6. 향후 전망

 - 위치 기반 서비스는 이동통신사와 무선 인터넷 시장의 새로운 콘텐츠로 부각되고 있으며, 유선을 대체할 모바일 환경에서 위치정보를 활용한 다양하고 혁신적인 21세기 첨단 서비스로 향후 정보통신 산업의 핵심 기술로 예상됨  

  - 향후 LBS는 다양한 서비스와 융합하여 이동통신사업자들에게 가장 수익성 있는 사업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됨

  - 개인의 사생활 침해와 같은 문제가 대두되고 있음, 개인의 사생활 및 정보보호 측면과 LBS의 편리성이라는 상호 모순적인 문제를 풀어나갈 법적, 제도적 해법이 필요 




 

http://www.slidesharenet.org/ssuser790263/mobile-lbs-28261999

http://creator1022.tistory.com/entry/LBS-구현-기술

http://risorse.dei.polimi.it/dsp/tlc/position.htm

http://www.directionsmag.com/articles/mobility-profiles-and-future-location-based-services/123055

'Telecommunication > Applic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CBS(Cell Broadcasting Service)_In progress  (0) 2015.09.19
Posted by 둔탱이
,

CBS(Cell Broadcasting Service)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 개요         . 시스템 구성도      . 채널 구성 방식     . SMS 비교





1. 개요

  - 이동통신 기지국을 통해 동일 셀 내에 있는 모든 단말기에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

  - CBS(Cell Broadcasting Service)방식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뉴스, 증권정보, 가격정보 및 각종 엔터테인먼트 정보 등을 이동전화 가입자에게 뿌려주는 서비스로서 동일 기지국 내의 셀 커버리지 안에 있는 모든 이동전화 단말기는 동시에 동일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 양방향 문자 정보 전달 서비스인 SMS와는 상이하게 단방향으로 데이터를 특정 서비스 영역으로 전송하는 방식

 


2. 시스템 구성도

  - CBS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CBS 정보를 생성하는 Cell Broadcast Entity(CBE) 기능과 CBS 정보를 저장하고 RNC(Radio Network Controller)와 연동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CBC(Cell Broadcast Centre) 기능이 필요

 




3. 채널 구성 방식

??????????????????????????????


4. CBS와 SMS의 차이점

  page 209


  - 단말기의 진화에 따라 CBS 및 SMS 방식의 서비스는 WAP 또는 ME 등 Mobile Web Browser 방식과의 접목을 통해 문자형태 뿐만 아니라 이미지, 동영상, 음성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기존의  Push 방식에다  Pull & Download 방식을 결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발전하게 되었다.

   - Mobile Web Browser 방식과의 접목을 통해 SMS에 비해 문자메시지의 길이가 다소 길어진 것을 특별히 LMS(Long Message Service)라고 하며, 여기에 동영상 및 이미지 등이 추가된 것을 MMS(Multi Media Service)라 한다.



5. CBS 응용서비스

  - CBS 응용서비스 형태는 Advertising, Information Services, Carrier Services 등의 형태로 크게 나눌 수 있다.

  5.1 Advertising

      - 특정 지역의 CBS 제공자가 CBS 이용자에게 Sales, Special offers, Extended opening time과 같은 정보를 보내기 위해서 CBS를 이용할 수 있다

  5.2 Information Services

      - 위험 경고, 극장 프로그램, 지역 날씨, 비행기 버스 또는 지연, 관광객 정보, 주차와 교통 정보 등이 있다

  5.3 Carrier Services

      - 사용자에게 사업자의 과금 정보 등과 같은 내용을 통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 가능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hoijdgo&logNo=45637928

http://www.arib.or.jp/IMT-2000/V740Dec09/2_T63/ARIB-STD-T63/Rel8/23/A23041-840.pdf


 

'Telecommunication > Applic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LBS(Location-Based Service)  (0) 2015.09.19
Posted by 둔탱이
,

1. Background

2. CoMP(Coordinated Multiple Point)

3. eICIC(enhanced Inter-Cell Interferece Coordination)

 

 

1. Background

  - LTE는 스펙트럼 효율을 높이기 위해 인접 기지국 간에 동일한 주파수 사용

  - 모든 기지국이 같은 주파수를 사용하므로 인접 셀간에 동일 채널 간섭 발생

  - 동일 채널 간섭을 줄이기 위한 대책 필요

 

http://3gppltee.blogspot.kr/2012/09/what-is-icic-inter-cell-interference.html

2. CoMP(Coordinated Multiple Point)

  - OFDM을 무선 접속방식으로 사용하는 LTE-Advanced 이동통신 기술에서 셀 경계지역에 위치한 이동 단말은 동일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주변 셀로부터 간섭 영향으로 서비스 품질이 저하됨

  - CoMP(Coordinated Multi-Point Tx/Rx) 기술은 셀 경계지역에 위치한 단말에 영향을 미치는 주변 셀들 간 협력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스케줄링을 통해 간섭을 최소화 함으로써 셀경계지역 단말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고 시스템 성능을 향상하는 기술

  - 매크로 기지국 경계 지역에서 기지국의 주파수 세기를 제어해 데이터 속도가 떨어지거나 끊기는 일 없이 원활한 통신이 이뤄지도록 하는 기술

http://3gppltee.blogspot.kr/2012/09/what-is-icic-inter-cell-interference.html

 

  - CoMP 기술은 하향전송과 상향전송 기술에 대해 정의되고 있으며, 현재 3GPP는 데이터 하향전송에 대해 JP(Joint Processing)기술과 CS/CB(Coordinated Scheduling/Beamforming) 기술을 논의 중

      가. JP(Joint Processing)

         -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다수개의 전송 점에서 단말에 전송할 데이터를 공유하며 전송하는 방법

         1) JT(Joint Transmission)

          

         2) DPS(Dynamic Point Selection)

      나. CS/CB(Coordinated Scheduling/Beamforming) 방식

         - CoMP 협력 셀에 포함된 2개 이상의 주변 셀에서 협력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활용하여 선택된 한 개의 셀에서 스켈줄링을 통해 주변 셀들과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경계에 위치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이때 주변 CoMP 협력 셀에서는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자원을 사용하지 않는다.

         1) CS

         2) CB

 

 

  3. eICIC(enhanced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http://blog.sktworld.co.kr/4213

 

   - eICIC는 커버리지가 큰 매크로 기지국과 커버리지가 작은 소형 기지국들이 혼재된 상황에서 양 기지국 간의 간섭 현상을 조정해주는 기술

   - Pico cell에 연결되어 있는 UE는 ABS(Almost Blank Subframe)동안 데이터를 주고 받음, Macro cell은 이 기간동안 낮은 파워의 컨트롤 신호만 송수신하므로써 간섭을 피함 

 

 

http://3gppltee.blogspot.kr/2012/09/what-is-icic-inter-cell-interference.html

 

 

 

 

http://blog.sktworld.co.kr/4213

http://3gppltee.blogspot.kr/2012/09/what-is-icic-inter-cell-interference.html

http://www.netmanias.com/ko/post/blog/6477/comp-lte-a/comp-1-comp-categories-cs-cb-jt-and-dps

 

Posted by 둔탱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