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 Inter-networking 장비 개념도
3. Inter-networking 장비 구성 요소
1) Repeater/Hub
2) Bridge/Switch
3) Router
4) Gateway
1. 개요
-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개개의 network간의 접속을 의미
- 둘 이상의 network 상호간을 연결하여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기법
- 어느 계층에서 연결되는가에 따라서 사용되는 장비, 기대효과가 다름
2. Inter-networking 장비 개념도
3. Inter-networking 장비 구성 요소
1) Repeater/Hub
가 Repeater
- Network의 길이가 길어지면 cable의 임피던스가 커지고 그에 따라 신호의 전압이 내려가서 정확한 정보를 전송할 수 없어짐
- 이를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의 중계점에 리피터를 설치하여 전압을 올림
- 1계층 연동 장비
- 입출력 단자 규격이 같은 종류이어야 하고, cable의 속도가 서로 다른 경우는 버퍼를 내장한 리피터 사용
- 신호에 섞인 잡음을 걸러내서 증폭
나 Hub
- A repeater with multiple ports
- LAN에서 여러 전송케이블을 한 곳에 모아 접속하기 위한 집선 장치
- 컴퓨터의 연결뿐만 아니라 또 다른 허브와도 연결할 수 있어 근거리의 다른 Network와 연결 가능
- 전송대역폭을 서로 동일하게 분할해서 사용, host수가 많을 수록 속도가 느려짐
- 허브에 연결되는 모든 장비들은 하나의 collision domain을 갖는다. 즉 각각의 PC들은 동시 통신이 불가하다.
- 연결된 장비의 수가 많을수록 Collision domain 영역이 커진다.
다 1계층 장비인 Hub와 Repeater의 주요 특징
- 리피터는 물리적인 LAN segment 연장, 장거리 전송 시 신호를 재생 및 재전송 가능
- 허브는 매체 배선을 위한 중앙집중장치로 사용되며, 스타 topology 구성, 리피터 기능 포함
2) Bridge/Switch
가 Bridge
- 2계층 연동 장비
- Link계층에서 연결되므로 상위계층에서 보면 하나의 네트워크처럼 보임
- 허브와 달리 collision domain을 나눠주어 F가 통신을 하는 동안 E도 통신이 가능하다.
- software방식으로 Frame을 처리(속도가 느리다)
- 같은 속도만 연결해 줄 수 있다.
- 지원하는 포트수가 적다
- 프레임 처리방식으로 Store and Forward 방식 사용
- Bridge 5대 기능
Learning: Mac address learning
Forwarding: 자신이 알고 있는 해당 포트에 Frame을 Forwarding
Flooding: 자신이 알고 있는 Mac address를 제외 모든 포트에 Frame을 Flooding
Filtering: 출발지와 도착지가 같 Segment상에 있는 경우 filtering
Aging:Bridge table에서 Source Mac address를 기억하는 시간
나 Switch
- 각각의 포트가 서로 다른 collision domain을 갖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 어느 PC나 동시에 통신이 가능
- Hardward방식으로 프레임을 처리(속도가 빠르다)
- 서로 다른 속도를 연결해 줄 수 있다
- 지원하는 포트수가 많다
- 프레임 처리 방식으로 Store and Forward 방식과 Cut Through 방식을 사용한다
3) Router
- 3계층 연동 장비
- 라우터는 두 네트워크를 네트워크 계층으로 서로 연결해주는 역할
- 라우터도 하나의 컴퓨터로 볼 수 있으며 고유의 IP 주소를 갖고 있음
- 라우터는 3계층인 Network 주소를 기반으로 경로 선택을 하여 목적지까지 Packet을 전달
- 네트워크에 대한 모든 정보를 Routing 테이블이란 곳에 저장을 한다
- Router를 통해서는 Broadcast Packet은 통과할 수 없다
4) Gateway
- 4계층 이상의 연동 장비
- 네트워크 상의 서로 다른 프로토콜이나 서로 다른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노드가 있을 경우 상호 연결을 시켜주는 장비
- 전 계층의 프로토콜을 상호 변환하므로 복잡하고 가격이 상승하나 네트워크 상호접속 시 융통성은 가장 큼
구분 | Repeater | Bridge | Router | Gateway |
계층 | 1계층 | 2계층 | 3계층 | 4계층 |
망의 인식 | 물리적 신호 | Mac address | IP address | Protocol |
전달 단위 | bit 신호 | Frame | Packet | Message |
'Internet > OSI'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I 7 Layer (0) | 2015.09.1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