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MI의 개념

- 전력정보 전송 통신망

- 자동검침(전기, 수도 등)을 위한 인프라 네트워크를 말함

- 최종 전력 소비자와 전력회사 사이의 전력서비스 인프라로 스마트그리드 실현에 필수적인 핵심 인프라 시스템

- AMI의 중요요소는 측정센서, 전송네트워크, 통합관리 등으로 구분할 수 있음

- AMI를 통해 소비자는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관리자는 수요반응(소비자 사용패턴)을 실시간으로 체크 가능함


2. AMI 시스템/네트워크 구성

 - 데이터관리 시스템까지 데이터를 수집 및 전송하는 구간에서의 구성요소는 스마트미터, 집중기 또는 중계기, 데이터관리 시스템(MDMS:Metering Data Management System)으로 구성


http://news.koita.or.kr/rb/?m=bbs&bid=digest&p=4&where=+display%3D1+&uid=1112


 - AMI 네트워크 구성

 WAN(Wide Area Network)

 - 전력 설비의 종단과 다양한 DCU(Data Concentrate Unit/DGU(Data Gathering Unit)들을 연결하기 위한 통신네트워크

 - Ethernet 기반의 유선 네트워크, 3G, Wibro, LTE등의 무선 네트워크가 주로 사용

 NAN(Neighbourhood Area Network)

 - 스마트그리드의 필드영역을 담당하는 통신 네트워크

 - 다양한 DCU/DGU와 스마트 미터와 연결을 위한 기술

 - PLC와 802.15.4g, SUN(Smart Utility Network) 주로 이용

 HAN(Home Area Network)

 - Home, 빌딩, 산업 부문의 통신 네트워크 기술

 - 정보가전의 제어 및 응용서비스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통신 네트워크

 - PLC, ZigBee, WLAN, Wi-Fi 등이 사용

 

3. AMI 통신기술

 가. 기존 AMI 통신 기술

     - PLC

     - IEEE 802.11s(Wi-Fi Mesh): Wifi Mesh는 멀티 홉을 기반으로 하는근거리 통신망을 구성하고 인터넷 서비스 및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술이다

     - IEEE 802.15.4 (ZigBee)

     - IEEE 802.3 (Ethernet)

  나. 새로운 무선 통신 표준 기술

      1) IEEE 802.15.4g(SUN)

         - 스마트미터, 스마트 단말기 등 스마트그리드 내의 기기간의 상호통신에 사용되는 무선 네트웍에 대한 국제표준 규격

      2) IEEE 802ah

         - 광역 무선랜

         - 최근 고속화와는 별개의 시도로 1km 통신거리와 블루투스와 경쟁할 수 있는 저전력 무선통신과 802.11 Wi-Fi와 연동할 수 있는 무선통신을 목표

      3) IEEE 802.16p(M2M)

        -  IEEE 802.16에서 사물 지능 통신(M2M)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하고 있는 표준

      4) IEEE 802.22b(TV White Space)

        - IEEE 802.22-2011: Cognitive Radio based Regional Area Networks (RAN) in TV White Spaces (TVWS)

        - VHS/UHF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인지기술을 기반으로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 대역을 찾아서 활용함으로써 반경
100km 권내에서 최대 22Mbps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규격

        - TV 대역인 VHF, UHF에 점유되어 있지 않은 채널을 활용하여 미국과 캐나다 등 넓은 지역에서 별도의 주파수 할당을 고려하지 않고 무선으로 인터넷이 가능한 네트워크 운영을 목표로 함

        - IEEE 802.22b: Enhancement for Broadband Services and Monitoring Applications

 

3. AMI의 제공서비스와 기대효과

  가. 제공서비스

     - 원격 검침

     - 수요 관리

     - 다양한 융복합 서비스를 제공

  나. 기대 효과

     - 전력 소비 절감과 전기 품질 향상

     - 전력 피크 시 수용 관리

     - 스마트그리드를 구성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인프라임

 

 

4. AMI 동향

 -  한전은 2030년까지 스마트 그리드를 전국에 확대한다는 목표로 지속적으로 AMI를 보급 계획

 - 현재 스마트그리드에 적용할수 있는 무선통신기술을 위한 국제 표준활동이 활발히 진행 

 

<참조>

 


 

http://cafe.daum.net/impeak/Pthm/1?q=%C1%A4%BA%B8%C5%EB%BD%C5%B1%E2%BC%FA%BB%E7&re=1, 박종규 기술사님

 

53호_스마트그리드_구축을_위한_AMI_기술_동향.pdf

 

802_11af_802_22.pdf

 

Posted by 둔탱이
,

1. 블루투스 LE(Low Energy)

 - 블루투스는 WPAN(IEEE802.15.1) 계열로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임

 - 블루투스는 음성,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표준임

 - 최근 사물인터넷(IoT) 이슈로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을 발표함

 

2. 블루투스 4.0

 가. 기술특징

    - 소량의 데이터 전송에 적합

    - 적은 크기와 적은 비용의 장치

    - 저에너지 기술 적용

    - 기술 규격

나. 응용

    - 스마트 조명, 가전제품 등 스마트 홈 기술

   - 테블릿 PC와 장비 연동의  산업 자동화 기술 

   - 헬스케어 와 피트니스 등 U-Healthcare 기술 

   - 위치인식, 도난방지, 근접인식등 위치인식 기술

 

3. 비교

http://www.slideshare.net/fullscreen/Devgear/20150811-deepdive/55

 

 

 

BTLER3.pdf

'홈/센서 네트워크 > 홈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6LoWPAN  (0) 2016.08.02
Zigbee  (0) 2016.05.04
단답형>Z-wave  (0) 2015.10.29
WBAN  (0) 2015.09.03
UWB  (0) 2015.09.03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2. Z-Wave 기술

  가. 구성도

  나. 기술 규격

  다. 응용

3. 기술비교 

 

1. 개요

- 젠시스가 주축이 된 Z-Wave Alliance에서 제정한 홈오토메이션 무선 전송방식 표준

- Z-Wave는 가정 자동화와 센서 네트워크와 같은 저전력과 저대역폭을 요구하는 장치를 위한 무선통신 프로토콜임

-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롤에는 IEEE802.15.3(Zigbee), Z-Wave, 블루투스 LE, 인스테온(Insteon), 웨이트러스(Weightless) 등이 있음

- 스마트홈의 핵심기술로 부상

 

 

2. Z-Wave 기술

  가. 구성도

     - Z-Wave gateway를 통하여 브로드밴드에 접속

     - 브로드밴드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로부터 온 Z-Wave control 신호를 각 Z-Wave module로 전달 

     - 메쉬네트워크 구조임

 

http://l3homeation.com/how-does-home-automation-works-2/how-it-works-3/

 

  나. 기술 규격

     - 주파수 대역: 900㎒ 대

     - 전송속도: 9600bps, 40kbps의 전송속도를 갖는 무선 RF 기술로

     - 변조방식: GFSK

     - 통신거리: 30m 이내

     - 최대 호스트 수: 232개 

 

  다. 응용

     - 홈오토메이션

     - 센서네트워크

     - ZigBee 대비 저가격, 애플리케이션이 쉬움

 

3. 기술비교  

http://brad2014.tistory.com/230

 

 

 

 

http://cafe.daum.net/impeak/Pthm/1?q=%C1%A4%BA%B8%C5%EB%BD%C5%B1%E2%BC%FA%BB%E7&re=1, 박종규 기술사님 자료

http://brad2014.tistory.com/230

'홈/센서 네트워크 > 홈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Zigbee  (0) 2016.05.04
단답형>블루투스 LE(Low Energy)  (0) 2015.10.30
WBAN  (0) 2015.09.03
UWB  (0) 2015.09.03
Wireless PAN  (0) 2015.09.03
Posted by 둔탱이
,

1. 광가입자망 기술

 - PTP(직접 연결) 방식은 전화 국사의 OLT(Optical Line Terminal)에서 각 가정에 위치한 ONT(Optical Network Terminal)에 직접 광케이블로 연결하는 단순한 구조

 

 - AON(Active Optical Network) 방식은 OLT와 ONU 사이에 스위치(RN: Remote Node)를 설치하여 ONU쪽으로 분배

 

 - PON(Passive Optical Network) 방식은 수동형 광분기소자(Optical Splitter)를 이용하여 하나의 OLT가 다수의 ONU 또는 ONT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

 - PON 방식에는 시분할 방식(TDM-PON)과 파장분할 방식(WDM-PON)이 있음

 

 

2. WDM-PON

- 광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을 이용한 광네트워크 구조임

- WDM-PON 방식은 아파트 동 장비실에 파장 다중화 장치를 사용하여 가입자에게 독립적인 파장을 할당하며, 가입자단에 광/전 변환기를 사용하는 방식임(최대 1024 이상의 분기율을 가지고 있음)

- WDM-PON은 가입자에게 독립적으로 파장이 제공됨으로 보안성 우수하며, 가입자 별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함

- 사용 파장 간격에 따라 CWDM 및 DWDM-PON으로 구분하며, 가격이 보다 저렴한 CWDM-PON이 가입자 망에 사용됨

 

3. 국내 주요 광 가입자망 기술 비교

항목  AON   PON
 ATM기반 Ethernet 기반 

WDM 기반 

BPON  GPON  EPON/GE-PON  W-PON 
표준화  IEEE  ITU-T G.983 ITU-T G.984  IEEE 802.3ah  FSAN, ITU-T 
공유방식  TDMA  TDMA  TDMA  TDMA  WDM 
기본 프레임  Ethernet Frame ATM cell
(53byte 고정) 

ATM/Ethernet

동시 수용

GEM(GPON Encapsulation Method) 프레임

Ethernet  프로토콜 의존 
서비스 속도  하향 1Gbps
상향 100Mbps

상, 하향 최대

 622Mbps 

하향 2.5Gbps
상향 1.25Gbps 

하향 1.25Gbps
상향 1.25Gbps 

가입자별 파장

가입자별 1~10Gbps

QoS 제공  IEEE 802.1p 

ATM 트래픽 관리

ATM 트래픽 관리

IEEE 802.1p 트래픽 의존  
유지 보수  많음  적음  적음  중간  적음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2. MPEG-21 주요기술 

3. MPEG 표준 비교

4. MPEG-21 응용분야

 

 

1. 개요

  - MPEG은 디지털 콘텐츠(동영상, 소리, 사진 등)에 대한 저장, 압축, 전송, 검색, 저작권 보호등에 대한 표준임 

  - MPEG-21은 Multimedia 콘텐츠를 생산, 유통, 소비함에 있어 필요한 전반적인 프레임워크를 정의

 

2. MPEG-21 주요기술

  - 디지털 품목 선언: 분배 및 처리에 기본이 되는 디지털 아이템의 정의

  - 디지털 아이템 식별자 부여: 디지털 품목에 하나의 유일한 식별자를 부여하는 표준

  - 콘텐츠 표현 기술

  - 디지털 품목 관리와 사용: 디지털 품목의 생성에서부터 소멸까지의 생명주기 사이에 필요한 인터페이스와 전송규약
의 표준

  - 저작권 관리 및 보호

  - 단말 및 네트워크 기술 : 사용자가 단말기와 통신망의 기술적인 사항을 의식하지 않고, 콘텐츠를 서비스 받을 수 있
도록 하는 것을 목표

   - 이벤트 리포팅

 

 

3. MPEG 표준 비교

종류 

 용도

 비트레이트

 비고

 MPEG-1

 동영상 저장용

 1.5Mbps

 비디오, CD, MP3

 MPEG-2

 동영상 저장용, 방송용

 4~80Mbps

 HDTV, DVD

 MPEG-4

 이동영상전화

휴대용 멀티미디어 방송

 10,24,48kbps

 

 MPEG-7

 콘텐츠 검색

 

 

 MPEG-21

 콘텐츠 전자상거래

 

 

 

 

 

4. MPEG-21 응용분야

 - 전자 상거래, 전자 도서관 등

 - 디지털 콘텐츠 저작권 보호

 

 

JTGHBY_2002_s82_67.pdf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 5G와 IoT로 인한 무선 트래픽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

                       무선망 성능 개선

                       주파수 효율 향상

                       신규 주파수 할당

                       주파수 공동 사용 기술 개발  

    등이 복합적으로 적용되어야 달성 가능

 - 그의 일환으로 LTE를 비면허 대역에 사용하려는 LTE-U라는 주파수 공동 사용 기술을 이동통신에 적용

 - 별도의 허가나 사용료 없이 사용가능한 Wi-Fi용 주파수를 이용하여 LTE방식으로 Access하는 기술

 - LTE-A의 주파수 집성기술을 활용하여 1차 캐리어를 면허대역 LTE 기반으로 하고, 2차 캐리어를 비면허 대역 LTE로 묶어서 고속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

 - 우선적으로 5GHz 비면허대역에 적용을 검토

 - 현재 사용 중인 LTE 주파수는 700MHz, 900MHz, 1800MHz, 1900MHz, 2100MHz가 있으며, LTE-U 주파수는 Wi-Fi 대역 중 5.8GHz 대역임

 - 주파수를 확보하기 위해 Unlicensed 대역을 함께 사용하는 기술임

 

2. LTE-A의 CA 기술의 진화

  - LTE CA는 여러 LTE 채널들을 결합하여 총 주파수 대역폭을 넓히고 사용자 속도를 높이는 기술

  - LTE CA에서 묶여진 채널들은 하나의 primary 채널과 하나 이상의 secondary 채널(들)로 구분

  - CA 제어는 primary 채널만이 처리하며, primary 채널을 anchor로 하여 secondary 채널(들)을 결합/해제

  - LTE-A에서는 5개까지 LTE-Pro에서는 32개까지 LTE 채널을 결합할 수 있고 그 결과 수백 Mbps에서 수 Gbps까지의 속도를 제공

  - LTE CA는 채널을 결합할수록 속도가 증가하나 가용 면허 주파수의 부족, 엄청난 주파수 비용으로 인해 이동통신사업자는 면허 주파수를 제 때 확보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음

  - 2013년 6월 세계 최초로 2-band CA (총 20 MHz, 150 Mbps)를 상용화한 이래 2014년 6월에는 광대역폭을 이용한 2band CA (총 30 MHz, 225 Mbps), 2015년 1월에는 3사 모두 3-band CA (총 40 MHz, 300 Mbps)를 상용화

  - 추가 면허 대역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모바일 사업자들이 비면허 대역인 WiFi 대역 활용을 적극적으로 시도

 

 

3. Aggregation technology


<출처> Netmanias, LTE-WiFi Aggregation 기술 분석

가. LTE-U/LAA

   1) 개념도

 

    - LTE-CA를 그대로 비면허 대역으로 확장하는 기술

    - LTE-A의 주파수 집성기술을 활용하여 1차 캐리어를 면허대역 LTE 기반으로 하고, 2차 캐리어를 비면허 대역 LTE로 묶어서 고속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

 

  2) LTE-U의 Access 망

 3) LTE-U의 장점

   - 주파수 대역폭 확장으로 채널용량 개선

   - 기존 Wi-Fi 인프라를 그대로 수용하여 옥내커버리지 확보

   - LTE와 LTE-U 서비스에 스케줄링을 통한 트래픽 분산가능

   - QOS 확보

 

 4) LTE-U의 제약사항

    - LTE와 Wi-Fi의 채널 액세스 방법이 다르게 때문에 발생하는 fair access 이슈

        --->LTE와 WiFi가 같은 채널에서 전송을 시도하면 LTE가 채널을 점유해 버려 WiFi에 불공정

    - 나라별로 다른 5GHz 주파수 정책

    - 기존 LTE 망에 신규 LTEU/LAA 스몰 셀 (예, Small RRH, Pico)을 도입해야 하므로 상당한 액세스 망 비용이 필요

    - 단말 역시 5 GHz LTE 하드웨어가 필요

 

 5) LTE 서비스간 비교

 

  나. LTE-WiFi Link Aggregation(LWA)

      1) 개념도

       - LTE-U/LAA가 비면허 대역을 이용할 수 있지만 단말과 스몰셀에 새로운 5GHz LTE 하드웨어가 답재되어야만 함

       - 기존 단말과 기지국을 활용할 수 있는 대안으로 LWA가 등장

       -  LTE용 5 GHz 하드웨어 없이 WiFi AP들을 활용하여 LTE 트래픽을 전달

 

      2) LWA access망

    

      3) 특징

        - LWA에서 LTE는 LTE 대역을 WiFi는 WiFi 대역을 이용하므로 LTE-U/LAA와 달리 기존 WiFi와의 fairness나 regulation 문제가 없음

        - LTE 데이터가 eNB에서 분리된 후 단말에서 다시 결합되어야 하므로 eNB, WiFi AP, 단말 모두에 LWA 기능이 추가되어야 하고, LWA 구조, 프로토콜, 동작이 정의

        - LAA와는 달리 새로운 하드웨어를 필요로 하지 않고 기존 기지국과 WiFi AP를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하여 이용

        - 단말에서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필요

        - WiFi로 전송된 LTE 트래픽에 대한 과금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과 과금 정책이 필요


  다. MPTCP path aggregation

    1) 개념도

      - 3GPP에서 주도하는 LWA는 LTE와 WiFi를 radio link 레벨에서 결합

      - IETF MPTCP WG에서 주도하는 MPTCP는 LTE와 WiFi를 TCP 레벨에서 결합

      - 전송 계층 프로토콜인 TCP 프로토콜을 MPTCP로 확장

      - 기존 TCP가 단말과 서버 간에 하나의 TCP 경로만 설정하던 것에 비해 MPTCP는 단말과 서버 간에 여러 TCP 경로를 구성하여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



    2) access망 구조

   3) 특징

     - LTE 사업자는 기존 망 인프라 (LTE 망, WiFi 망 and IP infrastructure)를 교체/변경하지 않고 MPTCP Proxy 추가와 단말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 LTE 와 WiFi를 결합할수 있음

     - 인프라 투자비용을 최소화하고 즉각적으로 상용망에 적용 가능 

     - MPTCP 기술이 기존망에서 최소의 비용으로 즉각 상용화하여 서비스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기술



4. Aggregation technologies 비교

  - LTE-U/LAA/LWA는 radio 레벨에서 LTE와 WiFi를 결합하므로 추가적인 core 망 기능이 필요 없는 반면 새로운/업그레이드된 RAN 장비와 단말이 필요하다. 

  - LTE-U/LAA는 WiFi와 채널 액세스 메카니즘이 다른 LTE가 비면허 대역을 WiFi와 같이 사용하므로 fair access 솔루션이 주요 이슈이다.  

  - LWA는 비면허 대역을 WiFi만 사용하므로 fair access 이슈는 없는 대신 LTE 트래픽을 PDCP 계층에서 결합하기 위한 프로토콜의 변화와 과금 방법이 이슈이다. 기존 장비와 단말의 업그레이드 가능 여부가 LWA의 비용 효율성에 영향을 미친다.   

  - MPTCP Proxy는 기존 망 위에서 결합하므로, RAN 기술/종류에 무관하고 기존 망의 교체/변경이 필요없다. 

  - MPTCP Proxy는 LTE 망과 WiFi 망으로 나눠지는 subflow들에 대한 관리/제어, 사업자 서버와의 연동, 기존에 무료로 이용하던 WiFi 트래픽에 대한 과금 정책이 이슈가 된다. 

 











http://www.tta.or.kr/data/weekly_view.jsp?news_id=4180


152-5-3.pdf


Posted by 둔탱이
,

1. 개 요

- NG-PON(차세대 수동형 광가입자망)은 현재 사용중인 E-PON, G-PON의 차세대 기술 표준임

- 광가입자망 표준화 동향은  G-PON -> NG-PON1 -> NG-PON2로 발전되고 있음

- 급증하는 대용량 트래픽을 가입자까지 원활히 제공해 주기 위한 가입자망 용량증대 기술임

 

2. NG-PON(차세대 광가입자망) 표준화 동향

가. 진화방향

- NG-PON1은 업링크 2.5Gbps, 다운링크 10Gbps를 지원함

- NG-PON2는 상호연동, OLT(최종단말)변경등을 이용해 다운링크 40Gbps를 지원함

- NG-PON2는 TWDMA 기반 다중화 기술임

 

 

나. 표준화기술  

- XG-PON은 NG-PON1 이라 불렸으며, 현재는 의미가 애매하 위치임

 

- 최근에는  NG-PON2 를 차세대 수동형 광가입자망 이라 말함

 

 

3. 발전방향

- 광가입자망 기술의 발전으로 NG-PON2는 다운링크 40Gbps, 업링크 10Gbps를 지원함

- NG-PON2 기술 발전으로 가입자망은 현재 인터넷 기술보다 100배 빠른 속도를 지원 할 수 있음

- NG-PON2의 핵심기술은 TWDMA 다중화 방식 과 Aggragation 기술임

 

 

 끝.

 

http://cafe.daum.net/impeak/Pthm/1?q=%C1%A4%BA%B8%C5%EB%BD%C5%B1%E2%BC%FA%BB%E7&re=1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 유, 무선망을 이용하여 신호 전송 시 감쇄 및 손실등으로 인하여 신호의 왜곡 및 에러 발생

 - 에러 제어 방식에는 ARQ(에러검출), FEC 방식(에러정정), Hybrid-ARQ 방식이 있음

 - FEC는 오류정정을 위한 여분의 비트를 추가하여 전송, 수신쪽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오류를 검출, 정정하는 방식

 - ARQ는 에러 검출 후 재전송 요청하는 방식으로 Stop and Wait ARQ, Go back N ARQ, Selective ARQ, Adaptive ARQ가 있음

 - Hybrid-ARQ 방식은 ARQ와 FEC를 조합한 형태로 고속무선통신에 주로 사용

 

2. FEC

    - 무선통신 에러정정

    - 오류정정을 위한 여분의 비트를 추가하여 전송하므로 수신쪽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오류를 검출하여 정정하는 방식

    - 장점: 역채널이 필요없고 연속적인 데이터 전송 가능

    - 단점: 코딩방식 복잡, 추가 bit 사용으로 인해 코딩 효율 저하 

 

3. ARQ

  - 에러 검출 후 재전송 요청

    가. 정지-대기 ARQ

       1) 동작설명

         - 송신기에서 데이터(1Frame) 송신 후 자체 타이머를 동작시킴

         - 수신측에서는 데이터 수신 성공시 ACK, 실패시 NAK를 전송함

         - 송신측이 ACK를 받으면 다음 데이터를 전송하고, NAK를 받거나 Timer 동작시간내에 응답이 없으면 데이터를 다시 송신함

       2) 특징

         - 신뢰성 있는 통신이 가능하나 고속전송이 불가함

         - 저속 문자 방식에 사용됨

         - 전송되는 Frame의 수가 한 개이므로 송신측이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져 전송효율이 저하됨

     

    나. Go & Back ARQ

        1) 동작 설명

           - 송신측에서는 윈도우 크기만큼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에러 검출 시 NAK 신호를 송신측으로 보냄

           - NAK를 받은 송신측은 에러가 발생한 데이터 이후의 데이터를 재전송함

          2) 특징

           - 데이터 재조립을 위해 송신버퍼메모리가 필요함

           - 정지 대기 ARQ보다 성능이 우수하나 채널환경에 따라 적당한 N값 설정이 필요함

 

    다. Selective ARQ

       1) 동작설명

      

       - 송신측에서는 수신측으로 연속적으로 프레임을 전송하고, 수신측은 에러 검출 후 에러 발생 시 해당 프레임 정보를 NAK 신호로 송신측으로 전송함

       - NAK 신호를 수신한 송신측은 에러발생한 프레임만 수신측으로 재전송함

      2) 특징

        -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만 재전송하므로 효율이 우수함

        - 재전송된 프레임 순서 재조립을 위해 큰용량의 송수신버퍼 메모리가 필요함

        - 고가이며 LAN 카드에 적용

  

 

    라. Adaptive ARQ

        - BER↑, 블록의 길이↓

        - BER↓, 블록의 길이↑ 즉, 에러 발생 확률에 따라 프레임 길이 조절

        - 전송 효율은 좋으나 제어회로가 복잡하고 채널 대기시간 발생

 

4. H-ARQ

 - 무선의 열악한 채널환경에서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FEC(Forward Error Correction) 와 ARQ(Automatic Repeat Request)를 조합한 형태임(3세대 이동통신, Wibro에서 적용됨) 

 - FEC와 비슷한 수준의 정보처리율과 ARQ와 비슷한 수준의 신뢰도를 얻을 수 있음

 - ARQ 방식은 FEC 방식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높은 신뢰성을 제공하지만 채널의 BER이 증가하면서 시스템 효율이 저하되며, FEC 방식은 채널의 BER에 상관없는 정보처리율을 유지하지만 신뢰도가 낮음

 

 가. Hybrid-ARQ Type 1

   -

 

 

 

 

 - 링크계층(2계층)에서 에러를 감지하고 재전송을 위한 기능을 함

 - 구조가 복잡하고 채널할당이 요구되지만, 빠른 에러정정이 가능하여 고속 Packet서비스에 적합한 에러정정 알고리즘임

 - Hybrid ARQ 서비스 종류

 

 

 Type 1

 Type 2

 Type 3

동작 

 1)데이터와 CRC를 붙여서 송신

 2) 수신측에서 에러를 발견하고(NACK)

 3) 재전송을 요청

 4) 오류난 패킷만 단순히 재전송

  1) 데이터를송신

  2) 수신측에서 에러를 발견하고 (NACK)

  3) 재전송을 요청

  4) 송신측에서 잉여비트를 늘린후 잉여비트를 재전송하고, 수신단은 실패한 패킷을 저장

  5) 수신되면 수신단은 실패한 패킷과 재전송된 잉여비트를 결합하여 복호

 1)데이터를 송신

 2) 수신측에서 에러를 발견하고(NACK)

 3) 재전송을 요청

 4) 전체 데이터를 재전송

 5) 에러패킷 + 재전송패킷

 

 

 

 

5. 비교

 

 

http://www.ktword.co.kr/abbr_view.php?m_temp1=3150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golma2&logNo=120207824719

'Communication_Theory > 정보의 부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류정정부호와 Coding Gain  (0) 2016.04.14
채널부호화  (0) 2015.09.19
채널용량  (0) 2015.09.19
인터리빙  (0) 2015.09.19
Posted by 둔탱이
,

단답형>NAT

Internet/TCP/IP 2015. 10. 16. 10:19

1. 개요

2. NAT의 구성 

3. NAT의 종류

4. NAT 장/단점

5. 맺음말

 

 

 

 

 

1. 개요

- 공인 IP와 사설 IP를 서로 변환시켜줌

      - 사설 IP는 공인 IP와는 달리 동일 네트워크 내부에서만 인식이 되고 타 네트워크에서는 접속할 수 없는 IP를 말한다. 즉, 내부에서 외부로는 접근이 가능하나, 외부에서는 내부로 접근이 불가능, 방화벽의 일부로 사용

      - 각 통신사업자들이 개인에게 대부분 한 개의 유동 IP만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한 개의 IP로 여러 단말들이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사용됨, 즉 소수의 공인 IP를 통해 수 많은 사설 IP가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NAT 기술이라 한다. 

 

2. NAT의 구성

 

 

3. NAT의 종류

 가. Static NAT

    - 내부 IP 주소 하나에 외부 IP 주소 하나를 할당하는 1:1 방식의 주소변환

 나. Dynamic NAT

    - 로컬 어드레스와 글로벌 어드레스를 동적으로 매핑

    - Many to many 방식 

 다. PAT(Port Address Translation)

    - one to many 방식

    - 하나의 글로벌 어드레스와 여러개의 로컬어드레스를 매핑

    - 글로벌 어드레스의 IP 를 절약하기위해 TCP/UDP 의 소스 포트를 사용해서 변환

 

http://www.9tut.com/network-address-translation-nat-tutorial

    라. LSNAT(Load Sharing NAT)

       - 하나의 외부 IP 주소를 복수 개의 내부 IP주소에 대응시켜, 외부 망에서 해당 IP 주소를 목적지로 하는 모든 세션을 할당된 각 내부의 IP 주소로 분산 변환

 

4. NAT 장/단점

 

 

5. 맺음말

- NAT 는 부족한 IP 주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유용한 장치(기능)임

- 주소 변환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하므로, 보안을 강화하는데 효과적임

- NAT 통해 주소자원 부족과 보안문제를 해결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음

 

 

 

nat.pdf

 

'Internet > TCP/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2계층에서 사용하는 전송제어, ARQ 방식과 Sliding Window를 비교  (0) 2016.05.03
망중립성  (0) 2016.04.29
단답형>MPTCP(Multipath TCP)  (0) 2015.10.14
NMS&SNMP  (0) 2015.09.20
패킷기반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  (0) 2015.09.20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2. 실시간 트래픽 분석 필요성

3. SPI

4. DPI

5. 상호비교

 

 

 

 

1. 개요

 - 최근 인터넷 보안 침해 및 위협요소의 증가와 멀티미디어의 증가 및 트래픽 폭증으로 인해 네트워크 트래픽의 실시간 분석이 요구되고 있음

 - 실시간 분석을 위한 기법으로는 네트워크 방화벽 시스템에서 패킷을 검사하는 SPI와 7계층인 어플리케이션까지 실시간 분석하는 DPI가 있음

 

2. 실시간 트래픽 분석 필요성

 - 네트워크 보안, 혼잡관리 및 기타 사업상의 목적에 따라 트래픽 관리의 필요성이 증가

 

 

3. SPI

 - Stateful Packet Inspection

 - 주로 네트워크 방화벽 시스템을 위해 개발되어 온 기술

 - 패킷의 헤더 정보를 조사하고 이들 정보가 블랙리스트에 있으면 패킷을 전달하지 않는 방식

 - SPI는 세션 및 프리젠테이션이나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읽을 수 없고, 이는 패킷의 페이로드 부분까지 들여다 볼 수 없음을 의미

 - 패킷의 헤더 정보만을 통해 트래픽을 판단하기 때문에 트래픽에 대한 정교한 분석(특히, 애플리케이션 관련 추론)은 어렵지만, DPI에 비해 대용량의 트래픽을 매우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4. DPI

 - Deep Packet Inspection

 - 패킷의 헤더뿐만 아니라 콘텐츠가 담긴 페이로드부분까지 보는 기술

 - 5~7계층까지 패킷을 분석, 따라서 DPI는 패킷의 내용까지 보는 기술 

 - DPI기술은 데이터 보호와 프라이버시 이슈 야기

 - 망 중립성은 인터넷망 위에 흐르는 데이터 트래픽을 그 내용, 유형, 인터넷 주소, 제공사업자, 부착된 단말기기 등에 관계없이 동등하게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 그러나 네트워크 보안, 혼잡관리 및 기타 사업상의 목적에 따라 트래픽 관리의 필요성이 증가하면서 트래픽 관리가 망 중립성을 저해하는 것이 아닌지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고 있음

 

5. 상호비교

 구분

 SPI

 DPI

 조사계층

1~3계층

 1~7계층

 처리속도

 빠름

 느림

 분석성

 낮음

 높음

 비용

 낮음

 높음

 

 

 

 

 

 

http://isstory83.tistory.com/category/Security

인터넷 트래픽 관리와 DPI(Deep Packet Inspection).pdf

 

Posted by 둔탱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