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oT 개념

2. IoT 기술

3. IoT 컨소시엄 동향

4. IoT 활성화 방안



1. IoT의 정의

- Internet of Thing으로 모든 사물이 인터넷과 연결된다는 것을 의미함

- 사물인터넷, M2M, IoE(Internet of Everything)등 다양한 용어로 표준화 되고 있음

- 초연결사회가 지향하는 가장 기본적인 인프라 기술임

 

2. IoT 기술

 

 

- 사물 과 사물이 1:1로 연결되는 M2M을 넘어 모든 사물이 Mash처럼 연결되는 네트워크를 IoT라 함

- IoT 세상은 다양은 서비스가 가능하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가능함

- 통신시장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이끌수 있는 핵심 기술임

- 다만, 개인정보보호, 보안등에 취약한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과제가 있음

 

3. IoT 컨소시엄 동향

  - IoT Device 사이의 상호 운용성(Interoperability)을 보장하는 표준을 정의하기 위해 Allseen Alliance(퀄컴 주도),

Thread 그룹(구글주도), OIC 그룹(인텔 주도) 컨소시엄이 활동 중임.
  - 삼성전자는 Thread 그룹과 OIC 그룹에 참여 중임.
  - 애플은 아직 컨소시엄에 참여하지 않고 있음.

 

1) Allseen Alliance (퀄컴 주도)

 - 가전기기/자동차/컴퓨터가 상호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임

 - 오픈소스기반으로 리눅스 재단과 협업

 - WiFi 기반 네트워크를 지향함

 - 가전 + 자동차 + 컴퓨터 회사가 컨소시엄으로 주도하고 있어 성공확률이 높음

2) Thread 그룹 (Google 주도)

 - 저전력, 보안, IPv6기반의 공개 프로토톨임

 - Zigbee 기반 네트워크를 지향함

3) OIC 그룹 (인텔 주도)

 - 인텔, Atmel, 브로드컴 등 부품제조사들 의 컨소시엄임

 - 오픈소스 기반임

4) oneM2M (표준화 단체 주도)

 - 국내의 TTA와 ETSI, ATIS, TCC등 표준화 기관의 컨소시엄임

 - 이동통신 서비스 제조사 들이 주관하고 있음

 

4. IoT 활성화 방안 

1) 만물(Everything)에 통신기능을 부여하려는 창조적 사고의 전환이 필요함.
2) 사업자 간 경쟁 심화를 촉발하는 사물인터넷 표준 플랫폼 선정이 필요함.
3) 사물인터넷 산업육성을 위한 타 분야와의 융합적 정책 개발이 필요함.
4) 사물인터넷 활성화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도 강화하고 대응책이 필요함.
5) 유망분야를 도출하여 선택과 집중의 전략 추진이 필요함.
6) 연결사회 대응하는 지능형 초고속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함.
7) IoT 기반기술 강화를 위한 R&D 투자확대 및 SW기업 육성이 필요함.

 

- 끝 -

 

 

<참조>

http://cafe.daum.net/impeak/Pthm/1?q=%C1%A4%BA%B8%C5%EB%BD%C5%B1%E2%BC%FA%BB%E7&re=1

 

 

iot활성화방안.pdf

 

Posted by 둔탱이
,

 1. 개 요

- 3G, Wi-Fi 등의 여러 인터페이스를 지닌 무선 단말이 증가함에 따라 트랜스포트 계층에서 다수의 네트워크 링크를 인지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다중 경로 트랜스포트 프로토콜의 중요성이 부각

- 다중 경로를 지원하는 트랜스포트 프로토콜에 SCTP와 MPTCP가 있음

 

2. SCTP

 - Stream Control Transport Protocol의 약자임

 - TCP는 End to End간 신뢰성있는 통신이 목적으로, 중간에 Path에 문제가 생기면 데이타가 손실되는 문제가 발생됨

 - 이를 극복하기 위해, SCTP(Multi Homing, Multi Stream기능) 프로토콜이 개발됨.

   ● Multihoming

       SCTP의 multi-homing 특성은 SCTP 세션이 여러 개의 IP 주소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세션 도중 네트웍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대체경로 (혹은 대체 IP 주소)를 통해 세션이 유지되도록 한다

 

   ● Multistreaming

   SCTP의 multi-streaming 특성은 하나의 세션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응용데이터를 보낼 수 있도록 한다

 - SCTP는 호스트간 2개의 IP를 사용함으로, 종단에 NAT(IP변환)설정에 문제가 발생됨

 - TCP, UDP 그리고 SCTP 비교

 

http://www.technology-training.co.uk/signallingtransportsigtranusingsctp_41.php

<참조>

SCTP(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  IETF는 RFC2960을 통해 SCTP(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를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에 이은 제3의 수송계층 프로토콜 표준으로 제정

    -  90년대 후반에 접어들면서 기존 TCP, UDP를 통해서는 갈수록 광대역화 및 멀티미디어화로 발전하는 인터넷 응용 요구사항을 적절히 수용할 수 없었기 때문

    - SCTP는 기존의 TCP로는 지원 하기 어려운 VoIP (Voice over IP) 신호중계 및 멀티미디어 응용서비스 등의 전송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 

    - SCTP는 UDP의 메시지지향(message-oriented) 특성과 TCP의 연결지향(connection-oriented) 및 신뢰전송 특성을 모두 포함하는 등 TCP와 UDP의 장점을 살리도록 설계되었다. SCTP는 TCP의 연결지향성 및 신뢰전송 기능을 제공하지만, TCP와는 달리 4-way 연결설정 및 3-way 연결종료 등의 기능을 제공

    - SCTP는 멀티스트리밍(multi-streaming) 및 멀티호밍(multi-homing) 특성을 제공

    - Multi-streaming 특성을 통해 하나의 세션에서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를 식별 및 전달할 수 있음

    - Multi-homing 특성을 통해 단말은 두 개 이상의 IP 주소를 한 세션에서 사용할 수 있음

 

 

    - SCTP는 IETF에서 차세대 수송계층 프로토콜 표준으로 제정되었으며, 현재 관련 표준화 및 개발작업이 한창이다. 향후 SCTP는 TCP, UDP를 대체하기보다는 서로 공존하면서, 각각의 특성에 부합하는 응용 및 서비스에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아직은 보급 초기단계이지만, TCP/UDP처럼 향후 지속적인 기술 보완을 통해 점차 실제 인터넷 응용에 널리 적용될 것이다

 

 

 

3. MPTCP

 가. 개요

  - MPTCP는 Multipath TCP의 약어

  - 기존의 TCP Stream을 여러개 묶어서 하나의 Applicaton 또는 Host에서 데이타를 주고 받을수 있음

  - MPTCP (Multi Path TCP)는 IETF에 의해 2013년 표준화된 기술로 TCP 프로토콜을 확장하여 단말과 TCP 서버간에 다수의 TCP 경로를 구성하고 다수의 경로로 동시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 MPTCP는 4계층 프로토콜임

 

  나. 시스템 구성 

  다. 특징

   - MPTCP는 호스트간 여러경로를 두어, 각각의 경로를 통해 데이타를 주고받을수 있는 장점이 있음

   - 중간에 혼잡(Congestion)이 발생하거나 연결이 끊어지더라도 연속적으로 데이타를 주고 받을 수 있음

   - 다중 경로 TCP는 네트워크 전반적인 트래픽 엔지니어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

   - VoIP, IPTV, 게임 등과 같은 요구가 많은 서비스에게 신뢰성(reliability)을 제공하기에 적합

 

4. MPTCP 응용기술

- IP기반의 LTE망에서 혼잡에 의한 트래픽손실 방지를 위해 사용됨

- LTE 와 Wibro, WiFi 네트워크와 연동시 응용됨(LTE와 WLAN과 같이 이종망을 다중 경로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WLAN과 LTE간의 Carrier Aggregation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구조)

http://www.netmanias.com/ko/post/blog/6719/carrier-aggregation-lte-wi-fi/integration-of-lte-and-wi-fi-networks-2-non-3gpp-based

 

 

 

 

 

<참조>

http://www.tta.or.kr/data/weekly_view.jsp?news_id=778

http://www.tta.or.kr/data/weekly_view.jsp?news_id=2766

http://www.netmanias.com/ko/post/blog/6719/carrier-aggregation-lte-wi-fi/integration-of-lte-and-wi-fi-networks-2-non-3gpp-based

http://cafe.daum.net/impeak/Pthm/1?q=%C1%A4%BA%B8%C5%EB%BD%C5%B1%E2%BC%FA%BB%E7&re=1

http://ssami.tistory.com/460

 

sctp.pdf

 

 

'Internet > TCP/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망중립성  (0) 2016.04.29
단답형>NAT  (0) 2015.10.16
NMS&SNMP  (0) 2015.09.20
패킷기반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  (0) 2015.09.20
TCP/UDP  (0) 2015.09.20
Posted by 둔탱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