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이동통신시스템의 전파 경로 직접파, 반사파, 회절파

 - 일반적인 이동통신 환경에서 단말기는 대부분 다수의 반사파와 회절파가 수신됨

 - 이동국은 지속적으로 이동하므로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전파경로 특성이 시간적으로 계속 변함

 - 이를 극복하기 위해 링크적응기술이 요구됨

 - 링크적응기술이란 무선링크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오류없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2. 이동통신에서 전파 특성

 가. 경로 손실

    - 자유공간 손실에 의해 발생

    - 거리에 따라 손실 커짐

    - 이동국이 움직임에 따라 무선 수신신호의 크기는 천천히 변화함

 

 나. Shadowing

    - 장애물에 의한 감쇠

    - 전파 진행방향을 가로막고 있는 물체의 회절현상으로 수신 전계가 느리게 변하는 현상

 

 다. Multipath fading

    - 도심지에서 다중 전송경로로 인하여 수신 신호들 사이에 도착시간의 차이 발생

    - 도착 시간차이를 갖는 신호들이 벡터 합을 이루게 될 때 수신 전계강도가 빨리 변하는 Fast fading 발생

    - 수신신호의 전계가 빨리 변하는 Fast fading

    - Multipath 페이딩은 Rayleigh 분포를 갖음

 

http://www.sharetechnote.com/html/Handbook_LTE_Fading.html

http://www.sharetechnote.com/html/Handbook_LTE_Fading.html

  라. 간섭

    1) 주파수간 간섭

       - 동일채널 간섭: 동일 주파수끼리의 간섭

       - 인접채널 간섭: 인접 주파수끼리의 간섭

    2) 심볼간 간섭

       - ISI(Inter Symbol Interference)

       - 전파의 도달 시간차이에 의해 발생

       - 무선 전파의 다중경로 환경에서 서로 다른 지연시간을 겪게 되어 이들의 합성에 의해 시간축상에서 파형이 늘어지는 현상

       - 다중 경로 지연 확산

http://www.teletopix.org/4g-lte/inter-symbol-interference-in-lte/

 

  마. 도플러 확산

 

     - 수신기와 파원이 가까워지면 수신 주파수 올라감, 멀어지면 수신주파수 내려감

     - 도플러 확산: 도플러 천이로 주파수 대역의 확산

                          fr=ft±ν/λ*cosθ

 

 

3. 링크적응 기술

 가. AMC

    -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 채널환경의 변화에 따라 변조 및 코딩 포맷을 변화시킴

    - 예를 들어 채널환경이 좋을 경우 64QAM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속도를 높이고

                    채널환경이 좋지 않을 경우 QPSK 방식을 이용하여 에러에대한 강인성을 높임

 

 나. H-ARQ

    - FEC 기술과 ARQ 기술을 조합한 구조

    - 무선의 열악한 채널환경에서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FEC(Forward Error Correction) 와 ARQ(Automatic Repeat Request)를 조합한 형태임(3세대 이동통신, Wibro에서 적용됨) 

   - FEC와 비슷한 수준의 정보처리율과 ARQ와 비슷한 수준의 신뢰도를 얻을 수 있음

   - ARQ 방식은 FEC 방식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높은 신뢰성을 제공하지만 채널의 BER이 증가하면서 시스템 효율이 저하되며, FEC 방식은 채널의 BER에 상관없는 정보처리율을 유지하지만 신뢰도가 낮음

 

 1) Hybrid-ARQ Type 1

   - Chase combining

 

 2) Hybrid-ARQ Type 2

     - Partial Incremental Redundancy

   3) Hybrid-ARQ Type 3

      - Full Incremental Redundancy

 

 다. 전력제어

- 근거리/원거리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각각의 이동국의 수신전력이 일정하도록 이동국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여야 한다

  - 즉, 기지국에 가까이 있는 이동국은 낮은 송신출력으로, 먼 곳에 있는 이동국은 큰 전력으로 송신하도록 하여 기지국에서 수신전력이 일정하도록 하는 것을 '전력제어'라고 한다.

  -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간 간섭의 영향을 줄여서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임

 

 라. 각 기술 비교

 

4. 맺음말

 - LTE 또는 5G로 발전하면서 고속전송기술로 발전되어 간섭 및 잡음에 의 한 채널영향이 더욱 커지고 있음  

 -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Relay, OFDM, MIMO, CoMP, IcIc등 다양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음

 - Link Adpatation기술은 무선링크의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채널감도저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기술임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2. 5G 이동통신서비스의 요구 조건

3. 5G를 위한, 현재 4G 네트워크가 가지는 한계점

4. 현재 이동통신망과 5G 이동통신망

5. 5G와 네트워크 슬라이싱

6. 결론

 

 

1. 개요

 - 5G 이동통신서비스는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로 초당 20Gbps(최대 전송률) 이상 속도를 내는 통신서비스임

 - 현재 사용하는 4G LTE보다 270배에 달하는 서비스 속도를 제공하려면, 현재 4G 네트워크가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여러 대책이 필요

 - 4G 네트워크의 한계점은 네트워크의 가용성 증대에 따른 Traffic 집중현상과 이에 따른 기술적 해결이 핵심

 

2. 5G 이동통신서비스의 요구 조건

요구 조건 

 현재 4G 네트워크

 대책 방안

 고속 통신서비스

 최대 이용자 체감속도 10Mbps

 이용자 체감 속도 향상

 (5G에서 1Gbps)

 다양한 단말 수용

 Mobile 단말 제공

 다양한 단말 수용

 네트워크 가용성 향상

 부하 급증에 따른 트래픽 집중 발생

 트래픽 분산 및 저지연 패킷 전송에 유리한 Flat한 구조

 SDN과 NFV

 네트워크 증설의 용이성

 네트워크 자원의 한계

 가상화 기술, 클라우드

 

3. 5G를 위한, 현재 4G 네트워크가 가지는 한계점

  가. 고속 통신서비스의 한계점

     - 현재의 4G 네트워크에서 개인당 느끼는 체감속도는 10Mbps 미만임

     - 대용량 트래픽을 유발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용증가

     - 5G 이동통신서비스에서는 이러한 저속 통신의 문제를 해결해야 함

 

  나. 다양한 단말 수용의 한계점

     - 다양한 단말 수용문제는 모바일 기기, 의료/보건 통신기기, 차량통신 기기, TV 단말, 쇼핑, 물류서비스의 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기를 수용하는 것을 말함

     - 현재의 4G 이동통신에서는 스마트 폰 및 태블릿 PC 등, 휴대용 모바일 통신기기의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이 주요 구성임

 

  다. 네트워크 가용성 향상의 한계점

     - 네트워크 가용성이란 언제 어디서나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시스템의 능력

     - 오류가 발생해서 시스템이 더 이상 서비스나 자원을 제공하지 못하는 장애상태에 빠지면 가용성이 낮아진다

     - 현재 4G 이동통신망은 PDN-GW로 Traffic이 집중되는 구조

     - Traffic 분산 및 저지연 패킷 전송에 유리한 Flat한 구조로 진화할 것임

     - SDN과 NFV기술 도입을 통한 네트워크 가용성 향상

 

 

  라. 네트워크 증설의 한계점

     - 컴퓨팅 능력이 향상되고, 개인의 휴대용 기기의 성능에 따른 빅데이터 중요성이 이슈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저장장치 증설의 문제가 해결되어야 함

     - 물리적 증설은 효율성이 떨어지므로 소프트웨어적인 가상화기술을 통한 클라우드 시스템이 5G 이동통신 환경에 적용되어야 함

 

 

4. 현재 이동통신망과 5G 이동통신망

<출처 http://www.netmanias.com/ko/post/operator_news/7827>

5. 5G와 네트워크 슬라이싱

  - 네트워크 슬라이싱이란 물리적으로 하나의 네트워크를 논리적으로 분리된(마치, HDD를 C와 D로 파티셔닝해서 쓰는 것처럼) 네트워크를 만들어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다양한 서비스들에 대해 그 서비스에 특화된 전용 네트워크를 제공해주는 것

  - 하나의 물리적인 망상에 여러 개의 논리적인 망을 만들어 비용을 절감해주는 것이 네트워크 슬라이싱

  - 5G의 주요 Use case와 특성

 

 - 네트워크 슬라이싱 개념도

 

  - 네트워크 슬라이스 만들기

<출처 http://www.netmanias.com/ko/?m=view&id=blog&no=8292>

 

5. 결론

  - 4G 네트워크의 한계점은 이용자 체감속도 10Mbps의 속도문제, 다양한 단말수용 문제, 네트워크 가용성 증대에 따른 문제, 네트워크 증설의 한계가 있음

  - 이른 개선하기 위한 방향으로 5G 네트워크는 진화할 것으로 보임

  - 5G 네트워트에서는 ① Flat네트워 크 구조, ② S/W의 가상화 (Virtualization)  및 모듈화(Modularization), 

③ 개방형 (Open) 네트워크로의 진 화로의 혁신이 기대되고 있음

  - SDN, NFV,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등이 관련 기술로 떠오르고 있음

Posted by 둔탱이
,

1. 열잡음

2, AWGN

3. 백색 잡음 특징

4. 대역제한된 백색잡음의 자기상관함수

5. 통신채널에서 AWGN이 사용되는 이유

 

 


1. 열잡음

 - 열잡음은 가장 일반적으로 발생되는 잡음(주로 저항성소자에서 전자의 열적 불규칙 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잡음)---->통신이론에서 잡음을 모델링하는데 주로 사용

 - 열잡음은 대표적인 내부잡음이며, 외부잡음으로는 공전잡음이 대표적임

 - 관심이 있는 거의 전 주파수 대역에 균등 확률 분포 형태를 갖음

 - 모든 통신설비에서 발생

 - 열잡음 전력 N=kTB [W]

 - 잡음 전력스펙트럼밀도 No=Nw/W [Watt/Hz]

 - 열잡음 전력스펙트럼밀도 No=kT [Watt/Hz]

<참조>



2, AWGN

 - AWGN(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 열잡음이 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훼손시키는 특성에 따라 이름붙여진 잡음

       - 가산적/부가적(additive)

       - 백색(white)

       - 가우시안 정규분포(Gaussian)


 가. 가산적/부가적 의미

    - 열잡음이 신호위에 곱하기 연산 과정 없이 단지 더해지는 형태를 취하기 때문

    - 모든 통신채널에 항상 가산적으로 부가됨

 나. 가우시안/정규분포(Gaussian/Normal)

   - 시간영역에서는 가우시안 확률분포를 갖음


   - 주파수영역에서는 균등 확률분포를 갖음

  다. 백색잡음

     - 모든 주파수를 거의 다 포함하기 때문에 백색 잡음이라고 함



3. 백색 잡음 특징

 - 평균값은 0이고 주기적이 아님

 - 가우시안 정규분포를 가짐

 - 전력밀도 스펙트럼이 전 주파수에서 일정함

                          GNN(f) = No/2 [W/Hz] ,  No=kT [Watt/Hz]

 - 평균전력은  

   그러므로 실현 불가능

 -  자기상관함수

 by 위너-힌친 정리



4. 대역제한된 백색잡음의 자기상관함수

  - 대역제한된 백색잡음의 전력밀도 스펙트럼은 다음과 같음

 - 대역제한된 함수를 Rect 함수로 바꾸면

 - 자기상관함수를 푸리에 변환하면 전력밀도 스펙트럼을 얻을 수 있다는 위너-힌친 정리를 이용하고 척도변환 푸리에 변환 성질을 이용하여

 - a=2fm 이므로, 자기상관함수는

 


5. 통신채널에서 AWGN이 사용되는 이유

 - 개개의 잡음이 가우스 분포가 아니어도 이러한 잡음을 무수히 모아 만든 시스템은 중앙극한정리에 의해 가우스분포를 따르므로 이를 잡음모델로 사용함--->중앙극한 정리

 - 시스템에서 각 요소의 잡음이 가우스분포가 아니어도 모든 잡음이 합성되면서 가우스분포를 가지게 된다는 것임






Posted by 둔탱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