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 델린저 현상

3. 자기폭풍 현상

 

 

 

 

1. 개요

  - 전리현상 : 상층 대기의 공기 분자가 자외선, 방사선 등의 에너지를 받아 자유전자와 양이온으로 분리되는 현상

  - 전리층 : 전리현상으로 만들어진 자유전자가 특히 많이 모여 있는 층으로 전파가 반사

. - 전리층은 D층, E층, F층, Es층 등이 있고, 중파는 E층에서, 단파대는 F층에서 반사된다.

  - 전리층은 페이딩과 에코 현상, 델린져 현상과 자기람의 원인이 된다

 

2. 델린저 현상

  - 소실현상 또는 SWF(Short Wave Fade-out)라고도 한다

  - 단파 통신에 있어서 수신 전계가 갑자기 저하하여 수신 불능 상태로 되었다가 수 분 ∼ 수 시간에 점차적으로 회복되는 현상

  - 원인 : 태양 표면의 폭발로 방출된 다량의 자외선이 E층 또는 D층의 전자밀도를 증가시켜 임계주파수의 상승, 전리층 내의 감쇠가 증가

 

 

  - 발생구역과 시간 : 주간의 구역에 한하고 저위도 지방에서 발생한다.  

  - 상황 : 돌발적으로 발생하여 10분 혹은 수십분 계속되다가 차차 고위도 지방부터 회복

  - 통신에 주는 영향 : 1.5 ~ 20MHz 정도의 단파 통신에 영향을 주며 이보다 낮거나 높은 주파수는 영향이 없고 낮은 주파수 쪽이 영향을 많이 받는다.  

  - 전리층에 주는 변화 : D층, E층 전자밀도는 증가하나 F층의 전자밀도는 거의 증가하지 않는다.
  - 출현주기 : 빈발성이 있으며 태양 푹발이 선행되는 수도 있으나 불확실하다

 

 

3. 자기폭풍 현상

  - 자기람: Magnetic storm

  - 태양 활동에 따라서 방출된 하전 미립자들이 지구로 날아와 지구자계에 현저한 혼란을 일으키는 것

  - 원인: 태양 표면의 폭발로 방출된 하전 미립자군이 지구 가까이 도달하여 전리층을 교란

  - 발생구역과 시간 : 지구 전역(특히 고위도 지방이 심하다)에서 주,야 구별 없이 발생

  - 상황 : 느린 속도로 발생하고 지속시간은 비교적 길어서 1~2일 또는 수일 계속

  - 통신에 주는 영향 : 20MHz 이상의 높은 주파수의 전파에 영향이 심하다. 전파통로가 특히 극지방을 통과할 때에 더 큰 영향

  - 전리층에 주는 변화 : 주로 F2층의 임계주파수는 저하하고, 높이는 높아지며 흡수도 증가한다. MUF와 LUF의 폭이 좁아지며 없어지기도 한다

  - 출현주기 : 빈발성이 적고 태양 폭발이 선행되기 때문에 예측할 수 있다. 중위도 지방에서는 태양 폭발이 관측된 다음 0.5 ∼ 1일 후에 발생한다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 송신안테나에서 복사된 전파가 수신안테나에 도달할 때 수신안테나에는 목적하는 전파외에 불필요 한 전파가 들어오게 되는데 이런 불필요한 신호를 전파잡음이라고 함

 - 전파의 잡음은 발생원인에 따라 자연잡음과 인공잡음으로 나누며 잡음의 성질에 따라 충격성, 연속성, 주기잡음으로 나뉨

 

2. 자연 잡음 원인과 경감책

 원인

설명 

경감책 

 우주 잡음

 - 태양잡음: 태양활동에 수반해서 발생하여 지구에 도달하는 잡음

 

 - 우주잡음: 태양외의 다른항성에 서 발생하며 이 잡음전파의 강도는 방향과 파장에 따라 다름

- 태양잡음: 초단파 통신에만 방해요인으로   작용되므로 가급적 주파수를낮춤

 

- 은하잡음: 초단파 통신에 장해를 주며   200MHz를 넘으면 거의 문제가 되지 않음

 공전 잡음

 -대기상의 천둥 등의 방전에 의해 발생

 - 종류: 클릭, 그라인더, Hissing

- 지향성 안테나 사용  

- 수신대역폭을 좁게 하여 선택도를 높임  

- 송신출력을 증대시켜 수신점의 S/N비를 크게 함  

- 비접지 공중선을 사용  

- 짧은 파장을 사용  

- 수신기에 잡음억압회로, 리미터 등을 사용

 

3. 인공잡음 원인과 경감책

 종류

설명 

경감책 

 불꽃 방전

  - 불꽃방전을 발생시키는 부분을 가진 기계에 서 발생

 - 예-고주파용접, 항공기 내연기관, 계전기 등

 일반적인 개선 방법

- 송신전력을 크게 하거나 안테나 의 지향성을 예민하게 하여 이득을 높임으로서 수신전력을 크게 함

- 내부잡음이 적도록 수신기의 설 계를 적절히 함(EMS) 

- 수신기의 실효대역폭을 좁게 함

- 전원회로에 필터를 삽입하거나 차폐를 잘함

- 적절한 통신방식을 선택

- 동축 급전선을 사용하고 수신기 에는 잡음억제회로를 채

 취동 접속

 - 전기회로의 취동 접촉부가 불완전 접촉이나 단속 때문에 잡음을 발생

 - 예: 전기드릴, 전동기의 브러쉬 등

 코로나 방전

 - 고압 송전선이나 오존발생기 등 이 원인

 글로우 방전

 - 네온사인, 수은등, 형광등 등의 글로우방전에 의해 생김

 지속진동

 - 고주파 가열, 고주파 의료기, 기타 수신기 등 에 의해 생김

 도시잡음

 -  이상에서 설명한 여러가지 인공잡음이 동시에 일어나서 이것들의 총합으로서 잡음이 존재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 TEMPEST:Transient Electromagnetics Pulse Surveillance Technology

 - “통과 전자파 감시기술”의 약자로 지향성이 좋은 안테나를 목적하는 전자기기 쪽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수십 미터 떨어진 장소에서도 키보드의 접속 케이블이나 네트워크 케이블,USB커넥터 등에서 나오는 미약한 신호를 검출하는 기술임

 - 건물의 기둥이나 수도관 등이 도전성의 소자로 되어 있는 경우, 전자파를 전하 는 매개체가 될 수도 있어, 건물 밖에 노출되어 있는 관에 리드선을 연결하여 전자파 도청을 하기도 함

 - 컴퓨터나 주변기기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는 VCC(Current Circuit Voltage) 규격에 의해 규제값이 정해져 있음

- 규제값을 충족시키고 있는 기기라도, 전자파가 완전히 차단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극히 약한 수준의 전자파가 누출되고 있음

- 하드웨어의 교환,증설 등에 따라 규제값 이상의 전자파을 발생시키게 되는 경우도 있음

 

Ⅱ. TEMPEST규격

 - CISPR, FCC등의 기구에서는 정보통신기기에서 발생하는 도청을 방지하기 위해 전원선이나 방사에 의해 정보가 누출되지 않도록 주파수에 따라 일정한 기준을 두고 규제하고 있음

 

Ⅲ. 보호대책

 (1) Black Zone 대책 - 탐색장비 등으로 수시로 탐색 후 유·무선 도청 방지기를 필요장치에 일일이 설치

 (2) Pink, Red Zone 대책 Pink, Red Zone  설정 후 정도에 맞게 불요전자파 차폐막 설치 및 보호조치

Posted by 둔탱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