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신호파형의 각 사이클을 펄스양자화하여 단위시간에 그 개수를 세고 1초당 펄스 개수를 직접 Hertz(Hz)로 표시하는 측정기를 말함

 

2. 구성 및 원리

 - 구성도 및 각부의 파형 변화 모습

 - 피측정파 ①을 증폭부에서 증폭

 - 방형 정형부에 가하여 상하를 절취 (Slice)시켜서 ②와 같은 구형파

 - 미분 회로에 통과시켜 ③과 같은 미분파형을 만들어 정펄스(+)만 을 택하여서 ④와 같은 펄스

 - 게이트부에서 계수시간 만큼 게이트부 통과

 - 계수부에서는 들어온 ⑥의 펄스수를 세어서 표시부로 표시

 

3. 측정 시 주의사항

 - 전원을 인가한 후 예열 시간을 충분히 가질 것

 - 기준 발진기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높은 정확도를 가진 주파수에 교정하여 측정

 - 입력 임피던스를 높게하여 피측정 회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할 것

 - 고입력 전압에 의한 입력회로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도가 낮은 곳에 놓고 입력을 가한 후 차례로 감도를 올릴 것

 - ±1 Count오차를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값으로부터 한 자리 정도를 높게 읽을 수 있도록 게이트 시간을 조정할 것

 - 피측정파의 파형에 왜곡(Distortion)이 있으면 측정값에 오차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트리거 레벨 (Trigger lever)의 설정에 주의할 것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 전파를 이용하는 장치들이 다양화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더욱 소형이고 가벼운 기기를 원하고 있는 추세

 - 안테나의 크기를 단순히 작게만 만들면 방사효율 저하 및 협대역 특성이 있기때문에 정상적인 동작이 어렵게 된다.

 - 안테나의 소형화 기법을 형태별로 크게 분류한다면 선형, 평면형, 복합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선형 안테나 소형화 방안

 가. 모노폴 안테나 형태

    - (a)는 급전부에 정합회로를 부가하여 효율을 높이는 방법

    - (b)는 연장코일을 안테나소자의 중간에 두는 방법(Centre Loading)

    - (c)는 역 L형

    - (d)는 (c)가 50ohm 급전선에 정합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합이 용이하도록 개선한 것으로 선형 F형 안테나

    - (e) Top loading 방식

    - (f)  금속판 대신에 스피랄을 사용한 것

 

 나. 미소루프안테나 형태

    - 원형이나 사각형으로 만든 루프의 중앙에서 급전한 것

    - 크기가 파장에 비하여 상당히 작기 때문에 미소루프안테나라고 함

    - 안테나의 크기가 작아서 입력저항이 매우 낮기 때문에 저효율이라는 단점이 있음

  

 다. 헬리컬 안테나 형태

    - 코일이 가지는 인덕턴스 성분을 이용하여 물리적 길이를 25%까지 축소할 수 있는 안테나임

    - 전파의 주방사 방향은 코일의 축에 직각인 방향이 됨

 라. 맨더링 안테나 형태

    

    - 맨더링 안테나는 도선을 구부려 접어서 만든 것임

    - 공진에 필요한 안테나의 길이를 작게 할 수 있다는 점

 

3. 평면형 안테나의 소형화 방안

 가. 평면형 역F형 안테나

     - 이동전화용으로는 평면형 역F형 안테나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음

     - 선형 역F형 안테나에서 가로방향의 도체선을 도체판으로 한 구조

     - 도체선으로부터는 전파가 방사되기 어렵지만 도체판으로 대체하면 전파의 방사가 잘 이루어짐

 

 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 Microstrip 기판위에 네모 혹은 원형 형태로 금속패턴을 만든 후 여러 가지 형태로 급전

    -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를 소형화하는 방법은 방사판의 한 변을 도체판과 접속한 것으로 길이는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1/2로 되며, 이득이 3dB 낮아진다

 

4. 복합형 안테나의 소형화 방안

  가. 접어진 안테나

     - 접어진 형태로 만들어서 소형 안테나의 입력저항을 크게 해주는 기술

     - 다이폴에 나란히 도체를 배열하는 폴디드 다이폴 (folded dipole)이 대표적 예

  나. 유전체 장하형 안테나

     - 큰 유전율이나 투자율을 갖는 물질을 안테나에 장착하여 파장을 단축하는 방법으로 소형화 가능

     - 예를들면 모노폴 안테나의 주위를 유전체로 둘러싸는 모양으로 만드는 것

다. 자성체 장하형 안테나

   - 헬리컬 안테나와 같은 코일 모양의 안테나 내부에 강자성체를 삽입하여 소형화하는 방법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2. 자기장 영역

3. 시스템 구성

4. MFAN의 Specification

5. 활용

 

 

 

1. 개요

 - 저주파(128KHz)를 이용한 통신 방식

 - 투과성이 높은 전자계의 자기장 특성을 이용한 근거리 통신방식

 -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고주파(800MHz~2.2GHz) 통신기술과 다르게 투과성이 높아 서로 다른 매질(, , 콘크리트 등)을 통과 할때도 전파손실이 적음

 - 통신 거리가 짧다는 제한이 있음

 

2. 자기장 영역

 - 자기장 영역이란 전자파가 안테나로부터 복사되어 공간으로 전파될 때 안테나에서 2π/λ까지의 영역을 말하며 거리가  2π/λ보다 작은 지점에서는 복사전자 계보다 자기장 통신에서 이용하는 유도 전자계가 강함

     - 복사전계:원거리의 주성분

     - 유도전계:근거리의 주성분
     - 정전계:안테나 부근의 주성분

3. 시스템 구성

        - MFAN-Coordinator: 통신 노드들의 접속과 해제 및 송수신 구간을 관리

          - MFAN-Node: 센서(Sensor)와 결합되어 센싱정보를 제공하는 개별장치

 

4. MFAN의 Specification

 

 

5. 활용

 - 비접촉식 카드 또는 RFID 태그 통신방식보다 통신거리 확장 및 저전력화 등이 용이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지중 또는 수중 시설물, 지반상태, 유해환경 등의 감시, 관리용 센서네트워크 시스템 구축에 적합

 - 땅속에  묻혀 있는 센서로부터 취득한 데이터를 이용 지중시설물 관리

 - 지반상태 및 지진 관리

 - 지중시설물 관리

 - 건물 및 교량 관리

 - 환경오염 감시

'Wireless_Communication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TS  (0) 2016.04.25
C-ITS_작성  (0) 2016.03.28
EMP(Electro Magnetic Pulse)  (0) 2016.03.23
스마트폰 무선충전방식  (0) 2016.03.17
단답형>WMN(Wireless Mesh Network)  (0) 2016.01.09
Posted by 둔탱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