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 기하학적 가시거리와 전파 가시거리

3. 등가지구 반경

4. 전파투시도

 

 

 

1. 개요
  - 전파는 곡선으로 진행하나 계산의 편의상 직선적으로 진행한다고 보기위해 가상적인 등가지구반경을 적용

  - 가상적인 등가지구 반경과 실제지구반경의 비를 나타낸 것이 등가지구 반경계수임

  - 등가지구반경을 적용한 수직 지형단면도를 전파투시도라 함

 

2. 기하학적 가시거리와 전파 가시거리

  가. 기하학적 가시거리

     - 지구는 반지름이 6370[km]인 큰 구라고 볼 수 있으므로 기하학적으로 볼 수 있는 거리는 짧음

     - 기하학적 가시거리 d는

 

  나. 전파 가시거리

     - 우리나라의 경우 실제 지구보다 4/3배 만큼 더 큰 지구반경을 가상하면 전파통로는 거의 직선이 되어 전파통로를 구하기가 쉬워짐

     - 전파 가시거리 d'는       

 

3. 등가지구 반경

  - 전파는 곡선으로 진행하나 계산의 편의상 직선적으로 진행한다고 보기위해 가상적인 등가지구반경을 적용

  - 가상적인 등가지구 반경과 실제지구반경의 비를 나타낸 것이 등가지구 반경계수(K)임

  - 실제 지구 반경이 위도에 따라 달라지므로 등가지구 반경계수(K)도 위도에 따라 달라짐

 

   - 등가지구 반경계수(K)는 계절, 기상에 영향을 받음

 

4. 전파투시도

   - 직접파 전파환경에서 송/수신점을 포함한 대지에 수직인 지형 단면도를 전파투시도라 함

   - 수직방향의 장애물을 계산할 때 사용함

   - 우리나라의 경우 등가지구 반경계수를 4/3로 놓고, 전파통로는 직선으로 놓고 그림

  

 

 

<김기남학원 자료>

 

Posted by 둔탱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