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net'에 해당되는 글 93건

  1. 2015.09.19 IPv6 transition technique
  2. 2015.09.19 IPv4와 IPv6
  3. 2015.09.19 IPv4 설명하고 현 주소체계의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
  4. 2015.09.19 Internetworking
  5. 2015.09.19 OSI 7 Layer
  6. 2015.09.10 IaaS, Paas, SaaS
  7. 2015.09.07 CSMA/CD 1
  8. 2015.09.03 단답형>802.11i
  9. 2015.09.03 CSMA/CA
  10. 2015.09.03 802.11p

1. 개요

2. IPv4와 IPv6의 비교

3. IPv6 연동 기술 on IPv4

   1) Dual stack

   2) Tunneling

   3) Translation

4. IPv6 전환

 

 

1. Outline

   - IPv4는 Address 부족, 보안성 취약, QoS/Multimedia 제공을 위한 성능 부족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음 

   - IPv6는 IPv4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Internet Protocol

 

2. IPv4와 IPv6의 비교

  - IP 주소의 길이가 32 bit에서 128bit로 증가,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

  - IPv4는 보안기능을 첨가하는 IPsec이라는 패치 형태의 Protocol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나 IPv6는 IPsec을 Protocol내에 탑재해 보안 기능을 수행함

  - 주소 유형은 IPv4는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가 있으며 IPv6는 브로드캐스트 대신에 anycast로 도입하였으며, 구성방법도 자동으로 실현됨

  - 40byte로 제한되어 있는 IPv4 헤더옵션과 달리 IPv6 확장헤더 크기는 IPv6 페이로드 크기만큼 확장할 수 있어 다양한 기능이 구현 가능함

  - IPv6는 Flow label 필드를 통하여 응용서비스에 따라 차별화된 QoS가 제공됨

 

 구분  IPv4 IPv6 
 주소 길이  32bit  128bit
 주소 개수  약 43억개  거의 무한대
 품질 제어  품질 보장 곤란(QoS 일부 지원)  등급별, 서비스별로 패킷을 구분할 수 있어 품질 보장이 용이
 보안  IPsec Protocol 별도 설치  확장 기능에서 기본으로 제공
 Auto configuration  곤란

 있음

 이동성 지원 곤란(비효율적)  용이(효율적) 
 Header checksum  있음  없음
 Fragmentation information  모든 데이터그램에  Flow label이 선택적으로
 주소 유형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

 

 

 

 

 

 

 

 

 

 

 

 

 

 

 

 

3. IPv6 연동 기술 on IPv4

  -현재의 IPv4 노드들을 한 번에 IPv6로 대치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IPv6 네트워크 환경으로 넘어가기 위한 과도기적인 방안으로서 상호 연동기술이 필요

  1) Dual stack

    - 기기, 운영체제, 응용프로그램에서 IPv4와 IPv6를 모두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

    - IPv4 네트워크 환경하에서 IPv4와 IPv6를 함께 dual stack 구조로 노드를 구현하는 것

    - 이와 같은 Dual stack 기술은 정식 IPv4 주소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주소 고갈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

  2) Tunneling

    - IPv6 망에서 IPv4 망을 거쳐서 IPv6 망으로 이동할 시 IPv4망에 터널을 만들어 IPv6 packet이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개념

 

 

  3) Translation

    - IPv4 망과 IPv6 망 사이에서 주소변환기를 사용하여 상호 연동시키는 기술

    - IPv4 클라이언트가 IPv6 서버에 접속하거나 반대로 IPv6 클라이언트가 IPv4 서버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 기술

    - Network layer에 header 변환 방식, 전송계층에 relay 방식,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방식

 

 

4. IPv6 전환

  - 차세대 인터넷이 요구하는 보안, 서비스 품질 보장, 멀티캐스트, 이동성 지원 등 새로운 요구사항들에 대한 지원이 용이하며, 앞으로의 인터넷을 한 단계 발전시키는 데 많은 공헌을 할 것으로 예상됨

  - 이동통신 망에서의 무선인터넷 서비스, 홈 네트워킹을 이용한 정보가전 분야, 케이블 망 인터넷 접속 서비스, 군사 및 기타 분야에 조기 적용 가능


 

Posted by 둔탱이
,

IPv4와 IPv6

Internet/TCP/IP 2015. 9. 19. 17:54

1. 개요

2. IPv4

  1) 특징

  2) Header의 구조

3. IPv6

  1) 특징

  2) Header의 구조

  3) IPv6의 주소 체계

  4) IPv6의 주소 종류

4. IPv4와 IPv6의 비교

5. Conclusion

 

 

 

 

1. 개요

  - IP는 네트워크 계층의 핵심적인 프로토콜로서 상위계층의 TCP와 UDP는 모두 IP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함

  - IP의 주된 기능은 패킷을 전송할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데이터그램 방식을 사용함

  - IPv6는 version 6를 의미하며 IPv4가 업그레이드 된 것임

  - IPv6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Internet Address를 수용할 수 있고, Multimedia data 처리가 가능하며 보안성까지 갖추고 있어 IPv4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됨


2. IPv4

 1) 특징

   - 주소체계는 8bit씩 4개 필드로 구성되어 32bit의 숫자로 표현함

   -  IP address=Network ID + Host ID

                 Network ID: 인터넷에서 모든 host를 개별적으로 관리하기 힘들기 때문에 Network ID를 이용하여 하나의 네트워크 범위를 

                                지정, 관리

                 Host ID: 하나의 Network안에서 개별적인 호스트를 구분할 때 사용

   - Class 기반 주소체계(A~E)

   - IP datagram은 가변길이의 패킷으로 헤더와 데이터 부분으로 구성됨

 

 2) Header의 구조

   - Header는 기본적으로 20바이트를 차지하고 최대 60바이트까지 확장 가능

 

   - version : IP version (IPv4, IPv6)

   - Header length : 헤더의 크기

   - Type of service : QoS 구현시 IP 데이터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 Total packet length : IP 헤더와 데이터의 바이트 수

   - Fragmentation Identifier : 식별자. 분할된 IP 데이터그램을 재조립할 때 사용

   - Flag(3bit) : 패킷 분활과 관련된 정보

   - Flagmentation offset(3bit) : 분할된 데이터 순서

   - Time to live(8bit) : 통과할 수 있는 라우터의 수

   - Protocol identifier(8bit) : 상위 프로토콜, ICMP:1, IGMP:2, TCP:6, UDP:17

   - Header checksum(16bit) : IP 헤더가 손상되었는지 판단하는 값

   - Source IP address(16bit)

   - Destination IP address(16bit)

                         

3. IPv6

 1) 특징

   - IPv4 문제점인 Address 부족, 보안성 취약, QoS/Multimedia 제공을 위한 성능 부족등의 문제점 해결 모색

   - IPv6는 IPv4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Internet Protocol

   - IPv6의 주소 길이는 128bit, 가용 주소공간 무한

   - Header 형식의 단순화, 데이터 처리 속도 향상

   - 고품질의 QoS 제공(Header에 Traffic class와 Flow label 두 개의 필드를 사용, 서비스에 따라 네트워크 대역폭이나 처리율을 조절해 효율적으로 네트워크 자원을 사용하겠다는 것)

   - 보안 기능 강화(보안헤더 추가)

   - 비디오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광대역폭을 확보하고 각가 다른 대역폭에서도 무리 없는 동영상 처리가 가능토록 지원함

 

 2) Header의 구조

   - Version(4bits): IP version, IPv4이면4 IPv6이면 6

   - Traffic Class(8bits): IPv4의 TOS(Type of Service)와 유사, 패킷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field, 고품질의 QoS지원 가능

   - Flow Label(20bits): Flow 및 Flow process 정보

   - Payload length(16bits): 40byte header 다음에 오는 데이터 길이 표시

   - Next header(8bits): IPv4의 protocol filed와 유사, 기본 header 다음에 위치하는 확장 header의 종류를 표시(마지막 extension header 내의 next header가 상위 계층의 header에 대한 정보 표시)

      예> 0 hop by hop options header

          2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17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44 Fragment Header

   - Hop limit(8bits): IPv4의 Time to live와 같음, 네트워크 상에서 무한정 떠도는 것을 방 지

   - Source address: 송신측의 IPv6 주소

   - Destination address: 수신측의 IPv6 주소

   - Extension Header

     가. IPv6 header와 Transport header 사이에 위치

     나. End station에서만 사용되며 Router와 같은 장비들은 extension header를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뭉에 IPv6 데이터를 처리할 때 좋은 성능을 가진다. 


   3) IPv6의 주소 체계

      - 128bit=Network ID(64bits)+ Host ID(64bits)=16bit*8

  

    4) IPv6의 주소 종류

      - IPv6는 Unicast, Anycast, Multicast 패킷 전송 지원(Broadcast는 Multicast로 대체)

      가. Unicast


         - 단일 인터페이스를 지정하고, 유니캐스트로 보내진 패킷은 해당 패킷으로만 전달

      나. Multicast

      

         - 인터페이스의 집합을 지정하며, 이 주소로 보내진 패킷은 해당되는 모든 인터페이스에 전달

       다. Anycast

       

         - 복수의 인터페이스에 배정되며, 서로 다른 링크에 속한 인터페이스에 집합을 지정

         - 멀티캐스트 라우팅방식으로 해당 인터페이스 중 가장 가까운 인터페이스(라우터)로만 전달

         - 호스트에서 DNS 질의가 있을 때 가장 가까운 DNS를 문의함으로써 처리


4. IPv4와 IPv6의 비교

  - IP 주소의 길이가 32 bit에서 128bit로 증가,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

  - IPv4는 보안기능을 첨가하는 IPsec이라는 패치 형태의 Protocol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나 IPv6는 IPsec을 Protocol내에 탑재해 보안 기능을 수행함

  - 주소 유형은 IPv4는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가 있으며 IPv6는 브로드캐스트 대신에 anycast로 도입하였으며, 구성방법도 자동으로 실현됨

  - 40byte로 제한되어 있는 IPv4 헤더옵션과 달리 IPv6 확장헤더 크기는 IPv6 페이로드 크기만큼 확장할 수 있어 다양한 기능이 구현 가능함

  - IPv6는 Flow label 필드를 통하여 응용서비스에 따라 차별화된 QoS가 제공됨

 

 구분  IPv4 IPv6 
 주소 길이  32bit  128bit
 주소 개수  약 43억개  거의 무한대
 품질 제어  품질 보장 곤란(QoS 일부 지원)  등급별, 서비스별로 패킷을 구분할 수 있어 품질 보장이 용이
 보안  IPsec Protocol 별도 설치  확장 기능에서 기본으로 제공
 Auto configuration  곤란

 있음

 이동성 지원 곤란(비효율적)  용이(효율적) 
 Header checksum  있음  없음
 Fragmentation information  모든 데이터그램에  Flow label이 선택적으로
 주소 유형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

 

 


       


 

 

 

 

 

 

 




 

5. Conclusion

 - IPv6의 등장 배경은 IPv4의 문제점인 주소 부족, 보안성 취약, 이동성, 대역폭 부족, 고품질의 QoS 부족 등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함

 - 향후 모바일 인터넷과 정보 가전에 대한 수요 증가와 함께 기존 IPv4 체계의 주소가 곧 고갈될 것으로 전망되어 IPv6주소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음

 - 향후 IPv4에서 IPv6로 전환 방법이 이슈일 것임, 전환 1단계는 Dual stack 시스템 사용, 2단계는 터널링 단계, 3단계는 네트워크에서 IPv4를 제거하는 단계임

 - IPv4에서 IPv6로의 이전은 현재 사용 중인 IPv4가 광범위가 퍼져있기 때문에 한꺼번에 교체하기는 힘들고IPv6로 교체가 완료될 때까지 IPv4와 IPv6가 함께 공존하면서 통신하는 방안을 강구해야할 것임


 

Posted by 둔탱이
,

1. IP address 개요

2. IP Class

3. IPv4의 한계

4. 논리적 확장 방안

   가. Subnetting

   나.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다.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5. 물리적 확장 방안

 

 

 

 

 

1. IP address 개요

  -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들이 논리적으로 갖게 되는 주소

  - IPv4=32bit 사용, IPv6= 128bit 사용

  - IPv4는 총 4개의 octet으로 나눠져 있으며, 각각을 dot으로 구분하여 표현한다

  


  - IP address=Network ID + Host ID

                 Network ID: 인터넷에서 모든 host를 개별적으로 관리하기 힘들기 때문에 Network ID를 이용하여 하나의 네트워크 범위를 

                                지정, 관리

                 Host ID: 하나의 Network안에서 개별적인 호스트를 구분할 때 사용

 2. IP Class

  - A class: User용(대규모), network 수(128-2=126), host 수(2^24-2=16777124)

              A class에서 Network 주소 0과 127은 사용하지 않는 예약된 주소이다

  - B class: User용(중규모), network 수(64*256=16384), host 수(2^16-2=65534)

  - C class: User용(소규모), network 수(2^21=2097152), host 수(2^8-2=254)

  - D class: Multicast 용도

  - E class: Reserved for future use

 Class 기본 마스크  네트워크 주소  호스트 주소 
 A class 255.0.0.0  1~126  0.0.1~255.255.254 
 B class  255.255.0.0  128.0~191.255 0.1~255.254 
 C class  255.255.255.0 192.0.0~223.255.255  1~254

 

  - 특별한 IP 주소(host에서 all zeroes는 this network, all ones는 broadcast를 의미)

 

3. IPv4의 한계

  - IPv4의 클래스 기반 주소체계는 네트워크와 호스트 ID 길이가 고정적이므로 비효율적, 주소 부족

  - 주소부족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가. Subnetting

    다. DHCP

    라. NAT

  - 실제 물리적인 IP 확장을 위해서는 IPv6 주소를 사용하여야 함

4. 논리적 확장 방안

  가. Subnetting

     - subnet mask: network ID와 host ID를 구분해 주는 역할

                      bit가 1인 부분은 IP 주소에서 network ID로 인식, bit가 0인 부분은 IP 주소에서 Host ID로 인식

     - Subnet mask를 이용하여 IP 주소 중 host 주소 일부분을 필요한 만큼의 서브 network로 분할하여 사용하는 방법 

     - 한 네트워크의 브로드캐스팅이 다른 네트워크로 전송되지 않으므로 네트워크 상의 불필요한 트래픽을 줄일 수 있음

 

        ex> C class network 198.1.1.0

             subnet mask 255.255.255.192로 subnetting하면

             11000110    00000001    00000001    00000000

             11111111    11111111    11111111    11000000


             4개의 network가 나옴

                            198.1.1.0

                            198.1.1.64

                            198.1.1.128

                            198.1.1.192

  

   나.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 공인 IP와 사설 IP를 서로 변환시켜줌

      - 사설 IP는 공인 IP와는 달리 동일 네트워크 내부에서만 인식이 되고 타 네트워크에서는 접속할 수 없는 IP를 말한다. 즉, 내부에서 외부로는 접근이 가능하나, 외부에서는 내부로 접근이 불가능, 방화벽의 일부로 사용

      - 각 통신사업자들이 개인에게 대부분 한 개의 유동 IP만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한 개의 IP로 여러 단말들이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사용됨, 즉 소수의 공인 IP를 통해 수 많은 사설 IP가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NAT 기술이라 한다. 

   

    다.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 IP 주소를 관리하고 할당하며 컴퓨터가 네트워크의 다른 장소에 접속되었을 때 자동으로 새로운 IP 주소를 할당한다. 

      - DHCP는 사용 가능한 IP 주소의 개수보다 더 많은 컴퓨터가 있는 경우에도 IP 주소의 임대시간을 짧게 함으로써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컴퓨터는 DHCP 서버에게 지속적으로 IP 임대시간 요청하여 IP 사용

      - BOOTP(Bootstrap Protocol)의 대안, DHCP는 BOOTP와 달리 할당된 IP 주소에 임대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 장점: 네트워크 관리 용이, 네트워크 flexibility 증가, IP 충돌 예방


 구 분 DHCP NAT 
 IP 구분 공인 IP  사설 IP 
응용제한  공인 IP이므로 응용 이용의 제한이 없음  인스턴트메시징 서비스 및 게임에 제한인 많음 
 해킹추적 가능  불가능 
 개인사설망 보호 불가능  가능 
 지연요소 상대적 유리  상대적 불리
(모든 패킷은 NAT를 통해야 하므로) 

 


5. 물리적 확장 방안

 - IPv6 적용

 - 32bit 주소공간체계를 쓰던 IPv4에 비하여 128bit로 이를 확장하여 이론적으로 무한대의 주소공간을 확보하게 됨

 - IPv4와 달리 비클래스 주소체계를 적용하여 효율성을 높임

   



     


 

'Internet > TCP/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기반 통신서비스의 QoS 보장 방안  (0) 2015.09.20
Supernetting  (0) 2015.09.19
IP protocol의 문제점 및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0) 2015.09.19
IPv6 transition technique  (0) 2015.09.19
IPv4와 IPv6  (0) 2015.09.19
Posted by 둔탱이
,

Internetworking

Internet/OSI 2015. 9. 19. 17:48

1. 개요

2. Inter-networking 장비 개념도

3. Inter-networking 장비 구성 요소

 1) Repeater/Hub

 2) Bridge/Switch

 3) Router

 4) Gateway

 

 

 

 

 

 

 

1. 개요

  -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개개의 network간의 접속을 의미

  - 둘 이상의 network 상호간을 연결하여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기법

  - 어느 계층에서 연결되는가에 따라서 사용되는 장비, 기대효과가 다름


2. Inter-networking 장비 개념도


3. Inter-networking 장비 구성 요소

 1) Repeater/Hub

   가 Repeater

     - Network의 길이가 길어지면 cable의 임피던스가 커지고 그에 따라 신호의 전압이 내려가서 정확한 정보를 전송할 수 없어짐

     - 이를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의 중계점에 리피터를 설치하여 전압을 올림

     - 1계층 연동 장비

     - 입출력 단자 규격이 같은 종류이어야 하고, cable의 속도가 서로 다른 경우는 버퍼를 내장한 리피터 사용

     - 신호에 섞인 잡음을 걸러내서 증폭

   

   나 Hub

     - A repeater with multiple ports

     - LAN에서 여러 전송케이블을 한 곳에 모아 접속하기 위한 집선 장치

     - 컴퓨터의 연결뿐만 아니라 또 다른 허브와도 연결할 수 있어 근거리의 다른 Network와 연결 가능

     - 전송대역폭을 서로 동일하게 분할해서 사용, host수가 많을 수록 속도가 느려짐

     - 허브에 연결되는 모든 장비들은 하나의 collision domain을 갖는다. 즉 각각의 PC들은 동시 통신이 불가하다.

     - 연결된 장비의 수가 많을수록 Collision domain 영역이 커진다. 


    

   다 1계층 장비인 Hub와 Repeater의 주요 특징

     - 리피터는 물리적인 LAN segment 연장, 장거리 전송 시 신호를 재생 및 재전송 가능

     - 허브는 매체 배선을 위한 중앙집중장치로 사용되며, 스타 topology 구성, 리피터 기능 포함


 2) Bridge/Switch

   가 Bridge

      - 2계층 연동 장비

      - Link계층에서 연결되므로 상위계층에서 보면 하나의 네트워크처럼 보임

      - 허브와 달리 collision domain을 나눠주어 F가 통신을 하는 동안 E도 통신이 가능하다.

      - software방식으로 Frame을 처리(속도가 느리다)

      - 같은 속도만 연결해 줄 수 있다.

      - 지원하는 포트수가 적다

      - 프레임 처리방식으로 Store and Forward 방식 사용

      - Bridge 5대 기능

          Learning: Mac address learning

          Forwarding: 자신이 알고 있는 해당 포트에 Frame을 Forwarding

          Flooding: 자신이 알고 있는 Mac address를 제외 모든 포트에 Frame을 Flooding

          Filtering: 출발지와 도착지가 같 Segment상에 있는 경우 filtering

          Aging:Bridge table에서 Source Mac address를 기억하는 시간


 나 Switch

    - 각각의 포트가 서로 다른 collision domain을 갖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 어느 PC나 동시에 통신이 가능

    - Hardward방식으로 프레임을 처리(속도가 빠르다)

    - 서로 다른 속도를 연결해 줄 수 있다

    - 지원하는 포트수가 많다

    - 프레임 처리 방식으로 Store and Forward 방식과 Cut Through 방식을 사용한다

3) Router

  - 3계층 연동 장비

  - 라우터는 두 네트워크를 네트워크 계층으로 서로 연결해주는 역할

  - 라우터도 하나의 컴퓨터로 볼 수 있으며 고유의 IP 주소를 갖고 있음

  - 라우터는 3계층인 Network 주소를 기반으로 경로 선택을 하여 목적지까지 Packet을 전달

  - 네트워크에 대한 모든 정보를 Routing 테이블이란 곳에 저장을 한다

  - Router를 통해서는 Broadcast Packet은 통과할 수 없다


4) Gateway

  - 4계층 이상의 연동 장비

  - 네트워크 상의 서로 다른 프로토콜이나 서로 다른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노드가 있을 경우 상호 연결을 시켜주는 장비

  - 전 계층의 프로토콜을 상호 변환하므로 복잡하고 가격이 상승하나 네트워크 상호접속 시 융통성은 가장 큼


구분  Repeater  Bridge  Router  Gateway 
계층  1계층 2계층 3계층 4계층 
 망의 인식 물리적 신호  Mac address  IP address  Protocol 
 전달 단위 bit 신호  Frame  Packet  Message 

 



 

'Internet > OSI'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I 7 Layer  (0) 2015.09.19
Posted by 둔탱이
,

OSI 7 Layer

Internet/OSI 2015. 9. 19. 17:47

1. 개요

2. OSI 7 layer

 1) OSI 전송 계층

  2) OSI 계층을 이용한 전송

3. OSI 7 layer의 특징

  1) 장점

  2) 단점

4. OSI 7 layer 각 계층의 기능

  1) Physical Layer(1계층)

  2) Data link Layer(2계층

  3) Network Layer(3계층)

  4) Transport Layer(4계층)

  5) Session Layer(5계층)

  6) Presentation Layer(6계층)

  7) Application Layer(7계층)

5. OSI 7 layer를 기반으로 간단한 프로토콜을 설계

6. 결론

 

 

 

 

1. 개요

 -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 서로 다른 system간에 compatability를 유지하기 위한 하나의 표준

 - 개방(Open)이란 어떤 특정 시스템의 구현 기술이나 연결의 수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적용 가능한 광범위한 표준을 제시함으로써 이 권고안을 따른 각각의 프로토콜들이 상호 접속 가능하도록 구현하게끔 한다는 것

 

2. OSI 7 layer

 1) OSI 전송 계층

   - 7개의 Layer로 구성

   - 모델의 각 계층은 바로 아래와 위의 계층에 대해 각각 client와 server의 역할을 한다


https://technet.microsoft.com/en-us/library/bb726993.aspx#mainSection



  2) OSI 계층을 이용한 전송

     - 응용프로그램에서부터 물리적인 매체를 거쳐서 다음 system으로 정보가 흐르는 과정

     - 각 층에서 Header를 부가(capsulation)하여 전송하는 개념


http://www.billslater.com/internet/how_tcp-ip_works_.jpg



3. OSI 7 layer의 특징

 1) 장점

   - 다른 계층에 영향을 주지 않고 수정하거나 기능 향상 용이

   - 각 계층의 표준화 및 업무 분담 용이

   - module화로 설계 용이

   - Interface의 표준화

  2) 단점

   - 불필요한 기능을 이용해야 할 경우 발생

   - overhead 증가 

 

4. OSI 7 layer 각 계층의 기능

 

 1) Physical Layer(1계층)

    - 전송 매체에 관한 표준을 결정

    - 단말과 전송 매체 사이의 interface 정의(통신속도, 커넥터의 형태, 전압등을 규정하는 기능)

    - 정보 교환 단위: Bit

    - 프로토콜의 종류: RS-232C, X.21, V.24

    - 해당 장비: Hub, Repeater

  2) Data link Layer(2계층)

    - 교환기와 단말, 단말과 단말등 인접 node간에 error 없는 전송 담당

    - 네트워크 계층에서 온 Packet을 frame이라는 형태로 만든 후, 이 frame이 물리적인 Network를 지나 오류없이 상대편 디바이스로 정확인 전달될 수 있도록 함

    - data link 상에서 사용하는 주소: MAC(Media Access Control)

    - 정보 교환 단위: Frame

    - 프로토콜의 종류

       가. LAN

           LLC(Logical link control, IEEE802.2)

           MAC(Media Access Control)

       나. WAN

           HDLC, SDLC, PPP, ISDN, Frame Relay

    - 장비: Bridge, Switch

 3) Network Layer(3계층)

   - DCE와 DCE간의 접속 규약

   - 네트워크 routing 기능

   - 정보교환 단위: packet or datagram

   - Protocol의 종류

     IP(Internet Protocol)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장비: Router

※DCE와 DTE

  - DTE(Data Terminal Equipment): WAN Link 상에서 User Device 끝단에 위치, Router 및 PC   

  - DCE(Data Circuit Equipment): WAN link 상에서 Service Provider의 끝단에 위치, Clocking 제공, CSU/DSU, Modem

  - CSU(Channel Service Unit), DSU(Digital Service Unit)

     가. 전용선 혹은 WAN(Wide Area Network) 회선을 라우터와 같은 사설망의 장비에 연결하는 종단 장비

     나. LAN의 디지털 데이터 프레임을 WAN에 적합 디지털 데이터 프레임으로 또는 그 역으로 변환하는 기능 수행

     다. CSU: 전송할 데이터를 T1, E1과 같은 채널에 연결 시켜주는 장비 

     라. DSU: 디지털 데이터(이진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전송하기위해 변환을 거친 신호)로 변환해주는 역할

  - Modem: 아날로그 회선에서 사용,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기능을 한다.

 4) Transport Layer(4계층)

   - 전송계층은 서로 다른 호스트에서 실행 중인 응용프로그램 사이에 논리적인 연결을 제공하여, 두 응용프로그램 사이에서의 전송을 담당

   - 종단 시스템간의(End to End)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담당

   - DTE와 DTE 사이의 접속 규약

   - 정보교환단위:Segment, Message

   - Protocol의 종류: 컴퓨터 응용프로그램에 따라 전송특성이 다름, 두 프로토콜을 택배회사에 비유하면, TCP는 매우 신뢰성 있는 고급 택배, UDP는 화물 분실에 대해서는 전혀 책임을 지지 않고 최대한 빠르게 배송만 하고자 하는 택배)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 전송 계층에서의 Service 종류

     가. Connection oriented service(접속 지향형 서비스)

         -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 송신측과 수신측 간에 연결을 해놓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형태이다 

         - 데이터에는 연결에만 관련된 정보만 삽입하면 되기 때문에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 TCP, WAN에서 사용

     나. Connectionless oriented service(비접속 지향형 서비스)

         - 데이터를 전송할 때 연결 설정 없이 바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 UDP, LAN에서 많이 사용

  5) Session Layer(5계층)

   - 응용 프로그램간의 연결 설정/관리, 해제하는 기능 수행

   - 메시지 동기화(Message synchronisation)

   - Protocol의 종류

     NFS(Network File System), RPC(Remote Procedure Call) 등등

  6) Presentation Layer(6계층)

   -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 될 수 있도록 데이터를 변환해주는 역할

   - 정보표현방식에 관한 처리 담당

   - Protocol의 종류

     JPEG, MPEG, PNG 등등

  7) Application Layer(7계층)

   - 사용자에게 다양한 응용프로그램 제공

   - Protocol의 종류

     virtual terminal: Telnet

     Electronic Messaging:SMTP, POP3

     Remote File Access: FTP, TFTP

     Network Management: SNMP


5. OSI 7 layer를 기반으로 간단한 프로토콜을 설계

 - 홈오토메이션 서비스

 - 외부에서 홈오토메이션이 가능하도록 인터넷의 연결과 웹카메라를 이용하여 집 또는 외부에서 놀이터, 주차장, 유치원, 주변 교통 상황등을 수시로 모니터할 수 있는 기반 구조를 가짐

 - 홈오토메이션 계층 구조

 서비스 미들웨어 계층     Application Software(제어 및 관리 기능)
 통신 미들웨어 계층 분산된 데이터를 네트워크 하드웨어에 독립적으로 연결    
 하위통신 소프트웨어 계층 PLC  Bluetooth IEEE1394  Ethernet 
 전송미디어 계층 전력선  Wireless  Serial Bus  Twisted Pair 

 


6. 결론

 - 통신시스템과 같이 복잡한 대형 시스템을 다루려면 기능이 같거나 비슷한 것을 하나의 모듈로 묶어 모듈간의 상호작용을 적게하는 것이 바람직

 - 서로 다른 모듈사이에 적용되는 규칙이나 절차를 최소화하는데 바람직한 구조가 계층적 구조임

 - OSI 모델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기반의 논리적인 변화에 대한 요구에 관계없이 서로 다른 시스템 간에 통신을 가능하게 해줌

 - OSI 모델은 유연하고 안전하게 상호연동이 가능하도록 네트워크를 설계하기 위한 것임



 

'Internet > OSI'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rnetworking  (0) 2015.09.19
Posted by 둔탱이
,

IaaS, Paas, SaaS

Internet/기타 2015. 9. 10. 06:07

1. 개요

2. IT 인프라 구성요소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구분

3. 고려사항

4. 특징

5. 활용





1. 개요

 - 최근 소프트웨어를 넘어 플랫폼, 인프라 등 모든 ICT 계층별 요소를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개념이 등장함

 - 이는 기업의 ICT 비용 부담이 늘어나고 급격한 시장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해야만 하는 필요성이 커지면서, 서비스 형태로 ICT의 인프라,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요구에서 출현하게 되었음

 

2. IT 인프라 구성요소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구분


http://www.sqler.com/470686

 가. On-premise 방식

  - 직접 인프라와 플랫폼,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모델을 의미

 

 나.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서버, 스토리지, 데이터 베이스 등과 같은 시스템이나 서비스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IT 자원을 서비스 형태로 제공

   - 컴퓨터로 비유하자면 하드웨어만 제공해주는 서비스

   -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해주는 iaas 라는 틀 안에서 이용자가 원하는 os 와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여 활용할 수 있다

   - 트위터가 profile 과 background 이미지를 저장하고 백업하는데 아마존 S3 이용

 다. PaaS(Platform as a Service)

   -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가 실행되는 "환경"을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아 사용하는 환경

   - iaas의 하드웨어와 더불어 os도 제공된다.

   - 플랫폼 설계에 대해 고민할 필요는 없지만, iaas 에 비해 자유도가 떨어지며, 서비스를 사용하는 동안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관리하는 책임은 사용자가 진다.


 라. SaaS(Software as a Service)

  - 서비스 형태로 인터넷에서 제공받는 클라우드 서비스이다.

  - hardware + os + application 까지 모두 포함한 클라우드 서비스로,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는 물론 인프라 구축까지 모두 서비스 제공자의 몫

  - 자유도는 가장 떨어진다

   - 구글 docs 같이 소프트웨어 형태로 제공해주는 서비스


 

3. 고려사항

 - 기존 시스템과 중복되는 문제 해결이 필요함

 - 과금 구조 문제

 - 보안유지를 통한 안정성 및 신뢰성 확보가 필요함


4. 특징

 - 고픔질의 플랫폼, 인프라, 서비스를 저가에 사용이 가능함

 - 고객의 초기 투자 및 운용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함

 - 시스템 운영관리 및 유지보수 부담이 적어 경제적임

- 신뢰도, 성능개선 및 업그레이드가 용이한 방식임

 - 데이터 보안에 취약하고 제공사의 도산 시 연속성 보장이 어려움


5. 활용

 - 스마트워킹 서비스 분야

 - 개인화된 모바일 웹하드 서비스 분야

 - 언제, 어디서나 활용 가능한 데이터 백업서비스분야

 - 멀티미디어 N-Screen 서비스 분야

 - 기업비즈니스의 가상화 분야

'Internet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빅데이터  (0) 2015.09.20
클라우드 컴퓨팅  (0) 2015.09.20
Web 2.0의 개념, 특징 및 기술적 요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 2015.09.20
VoIP  (0) 2015.09.20
RAID  (0) 2015.08.21
Posted by 둔탱이
,

CSMA/CD

Internet/LAN 2015. 9. 7. 15:11

1. 개요

2. 다중접속방식의 진화

3. CSMA

4. CSMA/CD

  가. 작동방식

  나. CSMA/CD 네트워크 사이즈 제한

  다. 재전송 알고리즘

 

 

 

 

 

1. 개요

 - LAN과 같이 많은 호스트의 사용자가 하나의 회선에 동시에 접근하면 신호가 겹쳐서 신호가 손상되거나 신호자체가 소실될 가능성이 있음

 - 각 호스트가 동시에 자주 네트워크를 접속할수록 또는 호스트에서 전송할 데이터가 많아질수록 이러한 충돌도 증가하게 됨

 - 이러한 충돌을 피하면서 많은 양의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매체접근제어 메커니즘이 필요함

 - CSMA/CD는 매체 접근제어 메커니즘 중의 한 방법으로 IEEE 802.3으로 표준화 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이더넷이라 불리고 있음

 

 

2. 다중접속방식의 발전

 - CSM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D(Collision Detection)는 호스트가 채널의 상태를 감지해 충돌을 피하는 매체접근방식임

 - 초기의 다중접근방식(MA:Multiple Access)은 두개 이상의 장치가 동시에 매체에 접근할 확률이 매우 낮은 것으로 보고 전송 전 통신 채널을 Listen하지 않는 간단한 방식  

                   Pure ALOHA Protocol

                             Station이 전송할 Frame이 생기면 바로 전송

                             ACK를 기다림

                             ACK 오면 성공, 그렇지 않으면 재전송

                             Backoff limit에 이를 때까지 재전송이 반복되면, Frame 전송을 포기

                   Slotted ALOHA Protocol

                             Pure ALOHA Protocol을 보완한 프로토콜, 캐리어를 센스하지 않는 점은 Pure ALOHA와 동일하지만 각 스테이션간 동기화 기법을 적용하여 ALOHA 네트워크의 Throughput을 2배로 증가시킴

  - 다음에 등장한 CSM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방식은 호스트가 전송하기 전에 회선의 상태를 점검, 사용되지 않은 상태임을 확인하고 전송을 시작

  - CSMA 방식에 충돌을 검출하는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 바로 CSMA/CD 방식임(유선 링크의 경우 충돌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가능한 방식, 유선 Ethernet LAN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 무선 네트워크에서는 충돌을 감지하기 힘들기 때문에 CSMA/CD 방식을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충돌을 회피하는 CSMA/CA 방식 사용

 

참조>

 

3. CSMA

  - 각 노드들이 프레임을 전송하려고 공유 매체에 접근하기 전에, 먼저 매체가 사용 중인지 확인(Carrier Sensing)하며 다중 접속(Multiple Access)하는 방식

  가. 작동 방식

     - 패킷의 송출을 개시하기 직전에, 채널이 사용 중인가(Busy) 또는 아닌가(Idle)를 반송파 검출(Carrier Sense)에 의하여 조사

     - Listen before Talk(Transmission)

  나. CSMA에서 채널획득방식(채널이 사용 중이거나 휴지 상태일 때 어떻게 행동하느냐에 관한 방식)  

     - Non-persistent, 1-persistent, p-persistent 방식이 있음

     1) 1-persistent

         - 충돌되지 않으리라는 확률 1을 갖고 사용 중이지 않은 것을 감지하자마자 즉시 매체에 접근하여 데이터 프레임 송출

         - 충돌 위험이 가장 높음, 채널사용률이 낮은 대신에 대기시간은 짧음

     2) Non-persistent

         - 반드시 충돌할 것이라고 비관하여 비록 사용 중이지 않은 것을 감지하여도 임의의 시간만큼 무조건 기다린 후 매체 접근

         - 충돌 위험은 적어지나, 회선효율이 떨어짐(대기시간이 길어짐)

    3) p-persistent

         - 사용 중이지 않은 것을 감지하면 전체 중 확률 p가 충돌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여 매체에 접근하고, 의심을 갖는 나머지 확률 q(=1-p)는 단위시간만큼 기다린 후 매체에 접근

         - Non-persistent 처럼 충돌을 줄이고, 1-persistent 처럼 대기시간을 줄이고자 하는 타협안임

    

 

 

 

 

4. CSMA/CD 

  - CSMA/CD 방식은 CSMA 방식에 충돌을 처리하는 절차를 더한 것 

  - 유선 인터넷 LAN에서 사용하는 방식

  가. 동작과정

     - 회선 감지: 호스트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회선이 사용 중인지 점검함, 회선이 사용 중이면 임의의 시간만큼 기다린 후 다시 회선의 사용 유무를 점검함(신호의 세기를 통하여 busy/idle 상태를 구분)

     - 데이터 전송: 회선이 사용되지 않는 것이 확인되면 데이터를 전송함

     - 충돌 발생: 데이터 전송 중 충돌이 검출되면 충돌 발생 사실을 모든 호스트에 간단한 통보신호를 보냄

     - 대기 후 재전송: 충돌이 발생하면 임의의 시간동안 대기한 후 다시 데이터를 다시 전송함

  나. CSMA/CD 네트워크 사이즈 제한

    - 노드 A가 프레임 전송 후 노드 B에 거의 도달하기 전 노드 B는 프레임 전송을 시작

    - 충돌이 발생, 충돌을 감지한 노드 B는 전송을 즉각 멈추고 잼신호 전송

    - 노드 A는 약 2T 시간 후에 충돌 감지

    - 노드 A가 아주 짧은 프레임을 약 2T 시간 내에 전송하였다면 노드 A는 프레임이 충돌없이 전송되었다고 판단함

    - 패킷이 충돌없이 전송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해서, 호스트는 반드시 패킷 전송이 끝나기 전에 충돌을 검출할 수 있어야 한다

    - 전송 중에 충돌을 감지하기 위한 프레임의 최소길이는 전파되는 시간의 최소 2배 이상이어야 함

    - 802.3에서 망최대 길이는 2500m, 가장자리의 두 스테이션 사이의 왕복전파지연시간은 51.2㎲

    - for 10Mbps의 경우, 51.2㎲*10Mbps=512bits(64byte)

 

 

 

 다. 재전송 알고리즘

    - 스테이션은 충돌이 발생하면 지속해서 전송을 재시도함

    - 그런데 재시도할 때마다 backoff 하는 시간은 매번 2배씩 증가함

    - 그리고 16번 충돌이 계속해서 발생하면 전송을 중지하고 에러가 발생했다고 보고함

 

 

 

 

 

 

 

 

 

 

 

 

http://nenunena.tistory.com/67

 

 

 

 

'Internet > L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VLAN  (0) 2015.09.20
Gigabit Ethernet  (0) 2015.09.20
단답형>802.11i  (0) 2015.09.03
CSMA/CA  (0) 2015.09.03
802.11p  (0) 2015.09.03
Posted by 둔탱이
,

단답형>802.11i

Internet/LAN 2015. 9. 3. 15:05

1. 개요

2. 인증절차

3. 802.11i 보안체계 구성

4. 무선랜 보안의 진화





1. 개요

 - 초기 무선랜 보안규격인 WEP(Wireless Equivalent Privacy) 알고리즘의 취약성을 보완하기 위해 표준화된 기술

 - IEEE 802.11 TGi의 표준화 목표는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단말(MS, Mobile Station) 사이에 인증과 키 교환 및 무선구간 데이터 보호를 통해 튼튼한 보안망(RSN, Robust Security Network)을 구축하여 무선랜 사용자를 보호


2. 인증절차

 - 1단계: 무선단말 발견 및 AP간 인증요청 단계

 - 2단계: AP와 인증서버(AAA)간 RADIUS 프로토콜을 이용한 인증 단계

 - 3단계: 무선단말과 AP간 암호화키를 교환하기 위해 주고 받는 기술인 4-Way Handshaking 단계

 - 4단계: 무선단말과 AP간 암호화된 데이터 통신단계임 

 

http://csrc.nist.gov/archive/wireless/S10_802.11i%20Overview-jw1.pdf


3. 802.11i 보안체계 구성

 - IEEE 802.11i 표준은 무선랜 사용자 보호를 위해서 사용자 인증 방식, 키 교환 방식향상된 무선구간 암호 알고리즘을 정의

 가. 사용자 인증

    - 802.1x: 인증서버로 인증하는 방식

    - 사전 공유키 방식(Pre-Shared Key): 인증서버가 필요없고, 무선단말과 AP간 미리한 약속을 통한 인증방식임

    - 선인증방식: 인접 AP에게 미리 인증을 수행 후 핸드오버 시 연속적인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임

 나. 키 교환 방식

    - 4Way Handshaking: 암호키 교환을 위해 무선단말과 AP간에 요청 및 응답을 4회 주고 받는 교환방식임

 다. 암호화 알고리즘

    - 무선 구간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

    - TKIP(Temporal Key Integrity Protocol) 알고리즘과 CCMP(Counter mode with CBC-MAC Protocol) 알고리즘이 있다. 

    - TKIP은 WEP 을 확장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하드웨어 교체 없이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

    - CCMP(Counter mode with CBC-MAC Protocol)는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암호 알고리즘을 사용, TKIP보다 더 강력한 암호화 알고리즘


4. 무선랜 보안의 진화

 가. WEP(Wireless Equivalent Privacy)

    - 초기 무선랜 보안규격

    - 보안 기능 취약

 나. WPA(Wi-Fi Protected Access)

    - 인증: 802.1x

    - 암호화 알고리즘: TKIP

    - 기존의 하드웨어 교체 없이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 여전히 보완기능 미흡

 다. WPA2

    - 인증: 802.1x

    - 암호화 알고리즘: AES

    - 현재의 무선랜 보안 표준


 

 

 http://searchnetworking.techtarget.com/feature/Wireless-encryption-basics-Understanding-WEP-WPA-and-WPA2 

 

http://www.echaos.co.kr/new1/biz/biz5.php

http://www.iamcorean.net/77, 보안 개요

 

암호프로토콜.pdf


무선랜보안표준.pdf


'Internet > L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gabit Ethernet  (0) 2015.09.20
CSMA/CD  (1) 2015.09.07
CSMA/CA  (0) 2015.09.03
802.11p  (0) 2015.09.03
WiGig(Wireless Gigabit, IEEE 802.11ad)  (0) 2015.08.18
Posted by 둔탱이
,

CSMA/CA

Internet/LAN 2015. 9. 3. 15:04

1. 개요

2. 다중접속방식의 진화

3. CSMA/CA

 


 

 

1. 개요

 - LAN과 같이 많은 호스트의 사용자가 하나의 회선에 동시에 접근하면 신호가 겹쳐서 신호가 손상되거나 신호자체가 소실될 가능성이 있음

 - 각 호스트가 동시에 자주 네트워크를 접속할수록 또는 호스트에서 전송할 데이터가 많아질수록 이러한 충돌도 증가하게 됨

 - 이러한 충돌을 피하면서 많은 양의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매체접근제어 메커니즘이 필요함

 - CSMA/CA는 매체 접근제어 메커니즘 중의 한 방법

 

 

2. 다중접속방식의 발전

 - 초기의 다중접근방식(MA:Multiple Access)은 두개 이상의 장치가 동시에 매체에 접근할 확률이 매우 낮은 것으로 보고 전송 전 통신 채널을 Listen하지 않는 간단한 방식  

                   Pure ALOHA Protocol

                             Station이 전송할 Frame이 생기면 바로 전송

                             ACK를 기다림

                             ACK 오면 성공, 그렇지 않으면 재전송

                             Backoff limit에 이를 때까지 재전송이 반복되면, Frame 전송을 포기

                   Slotted ALOHA Protocol

                             Pure ALOHA Protocol을 보완한 프로토콜, 캐리어를 센스하지 않는 점은 Pure ALOHA와 동일하지만 각 스테이션간 동기화 기법을 적용하여 ALOHA 네트워크의 Throughput을 2배로 증가시킴

  - 다음에 등장한 CSM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방식은 호스트가 전송하기 전에 회선의 상태를 점검, 사용되지 않은 상태임을 확인하고 전송을 시작

  - CSMA 방식에 충돌을 검출하는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 바로 CSMA/CD 방식임(유선 링크의 경우 충돌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가능한 방식, 유선 Ethernet LAN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 무선 네트워크에서는 충돌을 감지하기 힘들기 때문에 CSMA/CD 방식을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충돌을 회피하는 CSMA/CA 방식 사용

 

참조>

 3. CSMA/CA

  - 충돌회피방 식

  - 다른 호스트가 데이터 송신 중인지를 판단한 후, 다른 단말이 송신 중이라면 랜덤한 시간동안 대기, 즉 아무도 송신하고 있지 않을 때 전송하는 것

  - CSMA/CD의 경우 일단 전송 후에 충돌이 발생하면 일정 시간 기다린 후 재전송하는 방식

 가. IFS

  - 충돌 회피를 위해 프레임 간에 여유 간격을 두는 것이 IFS(Inter Frame Space)

    ● SIFS(Short IFS): ACK 응답등을 위한 높은 우선순위

    ● PIFS(PCF IFS): PCF 모드에서 중간 우선순위

    ● DIFS(DCF IFS): 비동기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낮은 우선 순위


 

  나. 동작원리

     - 노드가 매체를 감지  

     - 매체가 DIFS동안 사용되지 않으면 송신 시작

     - 매체가 사용 중이면 노드는 DIFS의 주기동안 기다린 후 충돌을 피하기 위해 슬롯시간의 배수만큼의 랜덤 백오프 시간동안 더 기다림

     - 백오프 시간 동안 다른 노드가 이미 매체를 점유하면 백오프 타이머 중지

     - 다음에 매체 경쟁 시 중지된 이후부터 카운트 시작하여 공정성 부여

 

  다. RTS-CTS-ACK

     - Hidden Node 문제 해결을 위해 RTS, CTS 패킷 이용

     - 송신기는 DIFS 만큼 기다린 후 RTS 전송

     - 수신기는 수신 준비가 되었으면 SIFS 만큼 기다린 후 CTS 응답

     - 송신기는 SIFS 후에 데이터 송신

     - 수신기는 데이터 수신 후에 SIFS 만큼 기다린 후 ACK 응답

     - 다른 노드들은 RTS, CTS 수신 후 NAV(Network Allocation Vector)  설정

 

http://cs.stanford.edu/people/eroberts/courses/soco/projects/2003-04/wireless-computing/int_interlan.shtml

 

 


<참조>

  - 802.11에는 여러가지 매체 접근방식이 정의되어 있음

  - 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는 필수 기본, 경쟁방식(먼저 송신한 쪽이 해당 망을 점유하는 방법)

  - PCF(Point Coordination Function): 무경쟁 방식, 시장에서 미구현

  - HCF(Hybrid Coordination Function)


http://www.ktword.co.kr/abbr_view.php?nav=2&m_temp1=4903&id=760

 

    

 

 

 

 


 

 

http://www.ktword.co.kr/abbr_view.php?m_temp1=2038

http://nenunena.tistory.com/67

http://hackhack.tistory.com/entry/Collision-avoidance-system

chapter7-131231105852-phpapp01.ppt


'Internet > L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gabit Ethernet  (0) 2015.09.20
CSMA/CD  (1) 2015.09.07
단답형>802.11i  (0) 2015.09.03
802.11p  (0) 2015.09.03
WiGig(Wireless Gigabit, IEEE 802.11ad)  (0) 2015.08.18
Posted by 둔탱이
,

802.11p

Internet/LAN 2015. 9. 3. 05:17

1.개요 

2. WAVE  프로토콜 구조

3. 기술 특징

4. 802.11a와 802.11p 비교 




1.개요

 - IEEE 802.11은 무선랜, 와이파이라고 부른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을 위한 무선네트워크에 사용되는 기술로 IEEE 표준화 위원회의 11번째 워킹그룹에서 개발된 표준 기술임

 - IEEE 802.11p는 차량간 무선 접속을 통한 통신이나 차량과 노변기지국과의 무선통신(WAVE)을 위한 물리계층과 MAC 계층을 정의

 

2. WAVE  프로토콜 구조

http://www.ieee-vnc.org/2011/talks/panel.pdf

 

3. 기술 특징

  - IEEE 802.11p의 PHY는 5GHz 대역에서 동작하는 IEEE 802.11a PHY로부터 최소한의 변경만을 고려

  -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20MHz 대역폭 대신 10MHz 대역폭을 이용

  - 최고 이동 지원 속도: 200km/h

  - 1km 범위에서 1Mbps 보장



4.  802.11a와 802.11p 비교

 

 

 

 

intelligenttransportationsystems-140109145537-phpapp01.pdf

WAVE.pdf

'Internet > L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gabit Ethernet  (0) 2015.09.20
CSMA/CD  (1) 2015.09.07
단답형>802.11i  (0) 2015.09.03
CSMA/CA  (0) 2015.09.03
WiGig(Wireless Gigabit, IEEE 802.11ad)  (0) 2015.08.18
Posted by 둔탱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