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이동성을 지원하는 인터넷 구조 및 프로토콜. RFC 3220에 주로 정의됨

 - 모바일 IP란 이동노드가 자신의 홈 LInk를 벗어나 새로운 링크로 움직여도 다른 노드들과 논리적 연결의 단절없이 계속하여 통신할 수 있게하는 프로토콜

 - Mobile IP의 필요성

     - TCP 세션이 맺어졌을 경우 이동 중에도 동일한 IP 주소를 유지해야함.
     - 이동으로 인해 새로운 네트워크로 진입했을 때 IP를 변경해야 하는 문제 발생

 

2. Mobile IPv4

 가. 구성요소

   1) 모바일 노드(Mobile Node)

 

     - IP의 변경없이 네트워크로의 접속점을 변경할 수 있는 시스템(노드)

   2) 홈에이젼트(Home agent, HA)

     - 호스트 첫 등록시 속한 서브네트워크의 라우터

   3) 외부 에이젼트(Foreign Agent, FA)

     - 현재 이동단말기가 임시로 접속된 다른 서브 네트워크의 라우터

   4) 홈어드레스

     - Mobile node가 원래 속해 있던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고 있던 IP 주소 

   5) 관리주소(Care of Address, CoA)

     - MN이 임시로 부여받아 사용하는 주소

   6) 상대노드(Correspondent Node, CN)

     - MN과 통신하는 노드
 

 나. 동작절차

    - MN의 이동

    - MN의 등록 요청/FA의 등록요구사항을 HA에 전달

    - HA의 등록응답과 Mobility Binding

    - FA의 등록응답 후 MN에 전달

    - CN의 MN에 대한 Data 송신
    - HA가 CoA에 대한 Data 송신(Tunneling)

    - FA의 Detunneling / MN에 Data전

 다. 문제점

   1) Triangle Routing

     - 외부 네트워크에 위치한 MN은 통신하려는 상대노드에게 직접 패킷을 전송

     - 그러나 상대노드가 외부 네트워크에 위치한 이동노드로 패킷을 전달할 때에는 이동노드의 홈 네트워크에 위치한 홈 에이전트를 거쳐 터널링되어 전달

     - 이와 같이 상대노드가 전송한 패킷이 이동노드로 직접 전달되지 못하고 항상 홈 에이전트를 거쳐서 전달되는 현상을 Triangle Routing이라고 하며, 이는 통신의 효율성을 떨어뜨림

   2) Ingress Filtering

     - Ingress filtering은 합당하지 않은 발신지 주소를 가진 패킷이 포워딩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기능

     - 만약 FA가 ingress filtering을 수행하고 있을 때 이동노드가 자신의 홈 주소를 발신지로 하여 패킷을 전송한다면 홈 주소는 이동노드가 위치한 네트워크에 속한 주소가 아니므로 FA는 패킷을 폐기해 버린다

     - Mobile IPv4에서 ingress filtering을 수행하는 라우터를 통과하여 이동노드가 패킷을 전달하기 위해서 이동노드는 CoA(Care of Address)를 발신지 주소로 하여 역터널링된 패킷을 생성하여 전송하여야 함

 

3. Mobile IPv6

 가. 동작절차

출처: http://egloos.zum.com/tyland104/v/724434

 

 나. 특징

 - 외부 네트워크에서 사용할 임시주소인 CoA를 홈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라우터에 등록하여 노드의 이동성을 지원한다는 점에서 Mobile IPv4와 근본적으로 비슷하지만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큰 차이를 가짐

    1) FA 불필요

      - Mobile IPv6에서는 FA와 같은 별도의 에이전트를 통해서 이동성을 제공하지 않고 이동노드가 직접 CoA를 생성하여 사용한다

    2)  Routing optimization

       - 이동노드의 CoA가 홈 에이전트와 상대노드에 등록된 후에는 이동노드와 상대노드의 통신은 홈 에이전트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이루어질 수 있다

     3) Ingress filtering

        - Mobile IPv6에서 이동노드는 해당 링크에 속해 있는 주소인 CoA를 발신지로 하여 전송한다. Ingress filtering을 수행하는 라우터를 통과하여 목적지까지 전달될 수 있다

 

4. MIPv4와 MIPv6 비교

5. MIPv4와 MIPv6간의 연동

   - 패킷 구성 방식 : IPv4 / IPv6 듀얼 스택
    - MIPv6 in MIPv4 Tunneling : IPv4/IPv6 듀얼 스택 호스트와 라우터는 IPv6 데이터그램을 IPv4 헤더로 캡슐화하여 IPv4 라우팅 토폴로지 영역을 통과(터널링)

사용자 삽입 이미지

6. 맺음말

 - 이동 프로토콜이 IPv6 네트워크로 진화함에 따라 Mobile 워킹그룹에서는 Mobile IPv6에 대한 보안 문제가 제기->이를 보안하기 위해 IPv6에서의 IPsec구현 및 RR(Return Routability) 등이 등장하고 있음

 - Mobile IPv6를 통해 모든 단말의 All-IP화, 무선화, 유비쿼터스 환경을 이끌 전망

'Internet > TCP/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Multicast Routing  (0) 2016.05.03
IGMP  (0) 2016.05.03
IPv6 유니캐스트 주소  (0) 2016.05.03
네트워크 혼잡제어_작성  (0) 2016.05.03
2계층에서 사용하는 전송제어, ARQ 방식과 Sliding Window를 비교  (0) 2016.05.03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2.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 트리 구분 

3. 주요 멀티캐스팅 프로토콜

4. 맺음말






1. 개요

 -  멀티캐스트(Multicast)란 필요한 데이터를 1:1로 전송하는 유니캐스트와는 달리  1번의 전송으로 그룹내 등록된 가입자 모두에게 전송 하는 방식

 - 멀티캐스트 전송을 위하여 등록 가입자 그룹핑용 IGMP 프로토콜과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이 필요함

 -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은 데이터를 보내는 소스 호스트로부터 그 데이터를 받는 목적지까지 중복되지 않고 루프가 없는 최단경로를 구성하는 역할

 - IPV4에서 Class D 주소 (224.0.0.0~239.255.255.255)를 사용함



2.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 트리 구분 

 - 소스 기반 트리(Source based Tree)와 공유 기반 트리(Share based Tree) 의 두가지로 구분됨

가. 소스 기반 트리

   - SSM(Source Specific Multicast)

   - 송신 단말이 연결된 라우터가 루트가 되어 정보 전달

   - End-to-end maximum delay가 짧다  

   - 망내의 모든 라우터가 모든 멀티캐스트 정보에 대해 저장관리 해야 하기 때문에 망의 부담이 커진다

   - Poor Scalability (large network 적용하기 어려움) 

   - 지원하는 프로토콜로는 DVMRP, MOSPF, PIM-DM



 나. Group-shared Tree

   - Core-Based Tree

   - 망내의 한 라우터를 루트로 선정하여 루트 라우터를 통하여 정보 전달

   - Tree에서 maximum delay가 SBT 보다 길다 

   - 코아 라우터만 모든 정보를 관리하고 나머지 라우터들은 코아의 방향과 현재 인접 라우터에서 요구한 멀티캐스트 정보를 관리

   - Good Scalability (large network 적용 가능) 

   - 지원하는 프로토콜로는 CBT, PIM-SM등

  

  다. 비교



3. 주요 멀티캐스팅 프로토콜

 가. DVMRP(Distance Vector Multicasting Routing Protocol)

    - 유니캐스트 라우팅에서 사용하는 거리벡터 알고리즘 RIP의 확장

    - 동작 절차

         1) 첫 데이터그램은 전체 네트워크로 플러딩 

         2) 이 트래픽을 받은 종단 라우터들은 종단 서브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그룹 멤버가 없으면, Prune 메시지를 송신지를 향해 역방향으로 전송 

         3) Prune 메시지를 통하여 그룹 멤버로 이어져 있지 않은 모든 가지들 을 제거 

         4) 소스 기반의 최단 경로 (shortest-path) 트리 구성 (주기적 동작) 

 


 나. MOSPF(Multicast Open Shortest Path First)

    -  OSPF의 멀티캐스트 확장 

    -  DVMRP와 달리 트리를 최단 경로 대신에 최소 비용 트리를 사용 

    -  각 라우터는 자신이 루트(root)가 되고 다른 나머지 라우터들이 트리의 노드가 되는 최소 비용 트리를 생성하기 위해서 딕스트라 알고리즘을 사용


  다. PIM(Protocol Independent Multicast)

    - PIM이란 특정 유니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과 독립적임을 의미

    - PIM은 그룹의 멤버가 밀집되어 있는 환경을 위한 프로토콜(PIM-DM)과 

        다양한 지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환경을 위한 프로토콜(PIM-SM)로 구분


PIM-DM 

 PIM-SM

 그룹 멤버가 네트워크상에 조밀하게 분포된 경우에 사용

 그룹멤버가 여러 네트워크에 걸쳐 산재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

 대역폭이 충분한 경우에 사용

 대역폭이 제한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

 LAN 환경에 적합

 WAN 환경에 적합

 소스기반 최단경로 트리 생성

 랑데부 포인트를 갖는 그룹 공유트리 사용


  라. CBT

    - 대학/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중인 프로토콜로서 비상업적


4. 맺음말

 - 멀티캐스팅은 제한된 대역폭을 통하여 대용량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기법

 - IP-TV를 비롯해 실시간 정보전송이 필요한 원격화상회의 및 원격 교육 등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음

'Internet > TCP/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MIPv4의 문제점과 MIPv6  (0) 2016.05.04
IGMP  (0) 2016.05.03
IPv6 유니캐스트 주소  (0) 2016.05.03
네트워크 혼잡제어_작성  (0) 2016.05.03
2계층에서 사용하는 전송제어, ARQ 방식과 Sliding Window를 비교  (0) 2016.05.03
Posted by 둔탱이
,

IGMP

Internet/TCP/IP 2016. 5. 3. 16:38

1. 개요

 -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의 약자로 Multicast group들의 Membership을 관리하는 통신 규약임

 - IGMP는 Query, membership report, leave report 패켓을 이용하여 멀티캐스트 그룹을 관리함

 - 멀티캐스트 구현을 위해서는 멀티캐스팅 라우팅 프로토콜과 그룹핑용 IGMP프로토콜이 필요

 


2. IGMP 메시지

 - 메시지 타입에 따라 구분

 

 

 가. Query 메시지

   - Router가 host들에게 주기적으로 Query 메시지를 보내 Group membership을 물어봄

 나. Membership report

   -  Host들은 자신의 Group membership을 Router에게 대답

 다. Leave report

   - Host가 해당 그룹의 Multicast traffic을 원치 않으면 leave 메시지를 전송

   - IGMPv2부터는 탈퇴 응답 메시지 전송 후 탈퇴

 

3. IGMP 동작

 - 그룹 멤버쉽 조사(monitoring): 멤버쉽 질의 메시지를 보내서 응답을 기다림

 - 그룹 가입(Joining): 그룹에 가입하고자 하는 요청을 라우터에 보고

 - 멤버쉽 연속(member continuation): 계속해서 유지하기 원하는 보고 메시지

 - 그룹 탈퇴(Leaving): Host가 해당 그룹의 Multicast traffic을 원치 않으면 leave 메시지를 전송


4. IGMP snooping

 - Switch가 Host와 Router간의 대화내용을 듣는 것

 - Switch는 multicast traffic을 필요로 하는 host에게만 전달

 - Multicast를 이해 못하는 Switch는 broadcast multicast traffic을 LAN상에 모두 보냄-->Multicast traffic 감소


5 맺음말

 - IGMP는 IP-TV, VOD, 온라인 스트리밍, 비디오 게임분야에서 한정된 대역폭을 좀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하는 기술

 - 향후 효율적인 트래픽 처리를 위하여 모든 Local router와 연결되는 L3 switch에 IGMP Snooping을 채택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 IPv6의 주소길이 128비트(IPv4는 32비트)

 - IPv6의 주소체계

   128bit=Network ID(64bits)+ Host ID(64bits)

 

 

2. IPv6 표시 방법

 - IPv6 128bit=16bit(4자리의 16진수로 표시)*8

 - 16진수로 표기된 것은 콜론(:)으로 구분

         예) 2004:0ba8:13aa:1211:0000:0000:0000:abaa

 - 한편, 0000으로 채워진 부분은 ::(더블 콜론)으로 표시 가능함

          예) 2004:0ba8:13aa:1211:::abaa

 - 주소 앞쪽에 “0”이 올 경우는 생략이 가능함

          예) 2004:ba8:13aa:1211:::abaa

 

3. IPv6 주소 유형

      - IPv6는 Unicast, Anycast, Multicast 패킷 전송 지원(Broadcast는 Multicast로 대체)

      가. Unicast


         - 단일 인터페이스를 지정하고, 유니캐스트로 보내진 패킷은 해당 패킷으로만 전달

      나. Multicast

      

         - 인터페이스의 집합을 지정하며, 이 주소로 보내진 패킷은 해당되는 모든 인터페이스에 전달

       다. Anycast

       

 

4. 유니캐스트 주소의 종류

 

 가. Global 유니캐스트 주소

    - '001'로 시작(2000::/3)

    - 공인 주소 개념

    - ISP 등에서 부여

    - Global Routing Prefix: 48bits, Subnet ID: 16bits

 

 나. 사이트 로컬 유니캐스트 주소

     - '111'로 시작'(FEC0::/10')

     - 사설 주소 개념

 

 

 나. Link-local 유니캐스트 주소

    - '111'로 시작(FE80::/10)

    - 로컬 링크에서 사용

    - 라우팅 업데이트 등에 사용

 

'Internet > TCP/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Multicast Routing  (0) 2016.05.03
IGMP  (0) 2016.05.03
네트워크 혼잡제어_작성  (0) 2016.05.03
2계층에서 사용하는 전송제어, ARQ 방식과 Sliding Window를 비교  (0) 2016.05.03
망중립성  (0) 2016.04.29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 네트워크 제어방식 및 종류

 제어방식

 문자지향방식

 데이터 프레임에 제어문자를 사용해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구분하고 전송을 제어

 BSC

 바이트 지향

 데이터 프레임의 시작과 끝에 특수문자 등을 삽입

DDCMP

 비트 지향

 프레임에 특수한 비트열인 플래그 추가

 HDLC

 제어의 종류

 회선 제어

 다수의 노드가 하나의 회선을 공유하는 방법

 경쟁방식

 폴링방식

 인터럽트 방식

 토큰 방식

 흐름 제어

 - 송수신 단말간의 처리속도 차이에 의해 수신단말의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서 데이터의 전송량과 전송속도를 조절하는 제어기능

 - 호스트 대 호스트간

 ARQ

 Sliding Window

 오류 제어

 전송프레임에서 발생한 에러를 검출하고 정정하는 기능으로 순방향 오류제어방식과 역방향 오류제어 방식이 있음

 순방향 오류제어(FEC)

 역방향 오류제어(ARQ)

 Hybrid

 혼잡 제어

 - 네트워크의 혼잡 발생 시 송신할 장비에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데이터의 전송량과 전송속도를 조절하는 제어하는 기술

 - 호스트 대 네트워크

 Open loop 제어

 Closed loop 제어

 

 

 

3. 혼잡 제어

 

'Internet > TCP/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IGMP  (0) 2016.05.03
IPv6 유니캐스트 주소  (0) 2016.05.03
2계층에서 사용하는 전송제어, ARQ 방식과 Sliding Window를 비교  (0) 2016.05.03
망중립성  (0) 2016.04.29
단답형>NAT  (0) 2015.10.16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 교환기와 단말, 단말과 단말 등 인접 노드간에 에러없는 전송 담당

 - Network 계층에서 온 패킷을 Frame이라는 형태로 만든 후 이 Frame이 물리적인 매체를 지나 오류없이 상대편 디바이스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함

 - 정보 교환단위: Frame

 

2. 2계층 제어방식

 제어방식

 문자지향방식

 데이터 프레임에 제어문자를 사용해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구분하고 전송을 제어

 BSC

 바이트 지향

 데이터 프레임의 시작과 끝에 특수문자 등을 삽입

DDCMP

 비트 지향

 프레임에 특수한 비트열인 플래그 추가

 HDLC

 제어의 종류

 회선 제어

 다수의 노드가 하나의 회선을 공유하는 방법

 경쟁방식

 폴링방식

 인터럽트 방식

 토큰 방식

 흐름 제어

 송수신 단말간의 처리속도 차이에 의해 수신단말의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서 데이터의 전송량과 전송속도를 조절하는 제어기능

 ARQ

 Sliding Window

 오류 제어

 전송프레임에서 발생한 에러를 검출하고 정정하는 기능으로 순방향 오류제어방식과 역방향 오류제어 방식이 있음

 순방향 오류제어(FEC)

 역방향 오류제어(ARQ)

 Hybrid

 혼잡 제어

 네트워크의 혼잡 발생 시 송신할 장비에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데이터의 전송량과 전송속도를 조절하는 제어하는 기술

 Open loop 제어

 Closed loop 제어

 

3. 오류 제어

- 유, 무선망을 이용하여 신호 전송 시 감쇄 및 손실등으로 인하여 신호의 왜곡 및 에러 발생

 - 에러 제어 방식에는 ARQ(에러검출), FEC 방식(에러정정), Hybrid-ARQ 방식이 있음

 - FEC는 오류정정을 위한 여분의 비트를 추가하여 전송, 수신쪽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오류를 검출, 정정하는 방식

 - ARQ는 에러 검출 후 재전송 요청하는 방식으로 Stop and Wait ARQ, Go back N ARQ, Selective ARQ, Adaptive ARQ가 있음

 - Hybrid-ARQ 방식은 ARQ와 FEC를 조합한 형태로 고속무선통신에 주로 사용

 

 

4. ARQ

  - 에러 검출 후 재전송 요청

 

  

구분

 특징

 정지대기 ARQ

 수신 완료 메세지 받은 후 송신

 연속적 ARQ

 반송 N 블록

 (Go back N ARQ)

 에러 발생한 블록부터 재전송

 선택 재전송

 (Selective ARQ)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만 전송, 효율은 좋으나 구조 복잡

 적응적 ARQ 방식(Adaptive ARQ)

  - BER↑, 블록의 길이↓

  - BER↓, 블록의 길이↑ 즉, 에러 발생 확률에 따라 프레임 길이 조절

  - 전송 효율은 좋으나 제어회로가 복잡하고 채널 대기시간 발생

 

 

4. sliding window

 - 윈도우에 포함되는 모든 패킷을 전송하고, 그 패킷들의 전달이 확인되는대로 이 윈도우를 옆으로 옮김으로써 그 다음 패킷들을 전송하는 방식

 

'Internet > TCP/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v6 유니캐스트 주소  (0) 2016.05.03
네트워크 혼잡제어_작성  (0) 2016.05.03
망중립성  (0) 2016.04.29
단답형>NAT  (0) 2015.10.16
단답형>MPTCP(Multipath TCP)  (0) 2015.10.14
Posted by 둔탱이
,

망중립성

Internet/TCP/IP 2016. 4. 29. 18:01

1. 개념

 - 망중립성이란 허가된 사용자 또는 단말기에 대해서 인터넷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트래픽을 그 내용, 유형, 제공사업자, 부착된 단말기 등에 관계없이 동등하게 처리하는 것을 의미함

 

2. 방통위 가이드라인 기본 원칙

  가. 이용자의 권리

     - 인터넷 이용자는 콘텐츠, APP 등을 자유롭게 사용할 권리를 가지며, 트래픽 관리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권리 

  나. 인터넷 트래픽 관리의 투명성

     - 사업자는 트래픽 관리의 목적, 방법 등을 공개하고 그 사실을 고지해야 함

  다. 차단금지

     - 합법적인 콘텐츠, 서비스 , 장비를 차단해서는 안됨

  라. 불합리한 차별금지

     - 합법적인 콘텐츠, 서비스 , 장비를 차별해서는 안됨

  마. 합리적인 트래픽 관리

     - 망의 보안성, 안정성 확보를 위해 합리적인 트래픽 관리 허용

 

3. 망중립성 주요 쟁점

  가. 찬성

     - 통신망은 전력, 철도와 같은 공공인프라

     - 망사업자가 타사업자를 차별할 경우 불공정한 시장 형성됨

  나. 반대

     - 과도한 트래픽이 통신망의 안정성을 해침

     - 급증하는 트래픽을 차별없이 안정적으로 제공하려면 대규모의 투자 필요

 

 4. IntServ와 Diffserv

   가. IP QoS 파라미터

      - 대역폭: 전송속도를 결정할 수 있는 척도

      - Delay: 패킷의 시간 지연

      - Jitter: 전송도중 발생된 불규칙한 위상지연

      - packet loss: 중간에 유실된 패킷의 정도

      - throughtput: 단위시간내 처리할 수 있는 처리량

      - Service availability: 서비스를 중단없이 신뢰성있게 제공하는지의 척도

      - 연결능력: 얼마나 연결성이 보장되는지의 척도

 

   나. IntServ(Integrated Service)

      - Traffic 별로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

      - Traffic이 지나가는 모든 경로에 RSVP로 자원예약 수행

      - 가장 완벽한 QoS를 지원할 수 있는 모델

      - 확장성이 뛰어나지 못함

      - Flow별 자원예약은 Router에 과부하 야기

 

   다. DiffServ(Differentiated Service)

      - 망규모가 커지면서 IntServ를 적용하는데 한계,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제안

      - Traffic을 Class로 구분, Class별 차등화된 서비스 제공

      - IPv4에서는 ToS(Type of Service), IPv6에서는 Traffic Class 필드를 이용 패킷을 차별화하여 처리

      - 확장성이 뛰어남

      -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

  

    라. IntServ와 DiffServ

구분  통합서비스모델  차등서비스모델 
서비스 단위  개별적 flow 기반
개별적 flow당 QoS 
flow의 집합 기반 
Class당 QoS
서비스 범위 종단간  도메인간 
패킷분류  모든 라우터  경계라우터 
자원예약  모든 라우터에서 연결수락  경계노드에서 감시 
확장성  어려움  용이 
응용분야  가입자망  기간망 

 

 

5. 통신사업자와 OTT 사업자 사이의 망중립성 논란

  - OTT 사업자의 mVoIP 서비스 등이 통신사업자의 수익성 저하를 가져옴

  - 이통 사업자는 IP 트래픽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

  - 통신사업자는 과도한 Traffic을 이유로 차별적인 트래픽 관리를 하고 있음

  - 방통위는 합리적 트래픽 관리 허용

  - OTT 사업자는 이통사가 수익저하가 되는 특정 트래픽을 불합리하게 제한할 수 있다고 주장

 

6. 맺음말

  - 망중립성에 대한 논란이 첨예함

  - 통신사가 트래픽 관리를 할 수 있는 방법에 IntServ와 DiffServ 모델이 있음 

'Internet > TCP/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혼잡제어_작성  (0) 2016.05.03
2계층에서 사용하는 전송제어, ARQ 방식과 Sliding Window를 비교  (0) 2016.05.03
단답형>NAT  (0) 2015.10.16
단답형>MPTCP(Multipath TCP)  (0) 2015.10.14
NMS&SNMP  (0) 2015.09.20
Posted by 둔탱이
,

단답형>NAT

Internet/TCP/IP 2015. 10. 16. 10:19

1. 개요

2. NAT의 구성 

3. NAT의 종류

4. NAT 장/단점

5. 맺음말

 

 

 

 

 

1. 개요

- 공인 IP와 사설 IP를 서로 변환시켜줌

      - 사설 IP는 공인 IP와는 달리 동일 네트워크 내부에서만 인식이 되고 타 네트워크에서는 접속할 수 없는 IP를 말한다. 즉, 내부에서 외부로는 접근이 가능하나, 외부에서는 내부로 접근이 불가능, 방화벽의 일부로 사용

      - 각 통신사업자들이 개인에게 대부분 한 개의 유동 IP만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한 개의 IP로 여러 단말들이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사용됨, 즉 소수의 공인 IP를 통해 수 많은 사설 IP가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NAT 기술이라 한다. 

 

2. NAT의 구성

 

 

3. NAT의 종류

 가. Static NAT

    - 내부 IP 주소 하나에 외부 IP 주소 하나를 할당하는 1:1 방식의 주소변환

 나. Dynamic NAT

    - 로컬 어드레스와 글로벌 어드레스를 동적으로 매핑

    - Many to many 방식 

 다. PAT(Port Address Translation)

    - one to many 방식

    - 하나의 글로벌 어드레스와 여러개의 로컬어드레스를 매핑

    - 글로벌 어드레스의 IP 를 절약하기위해 TCP/UDP 의 소스 포트를 사용해서 변환

 

http://www.9tut.com/network-address-translation-nat-tutorial

    라. LSNAT(Load Sharing NAT)

       - 하나의 외부 IP 주소를 복수 개의 내부 IP주소에 대응시켜, 외부 망에서 해당 IP 주소를 목적지로 하는 모든 세션을 할당된 각 내부의 IP 주소로 분산 변환

 

4. NAT 장/단점

 

 

5. 맺음말

- NAT 는 부족한 IP 주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유용한 장치(기능)임

- 주소 변환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하므로, 보안을 강화하는데 효과적임

- NAT 통해 주소자원 부족과 보안문제를 해결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음

 

 

 

nat.pdf

 

'Internet > TCP/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2계층에서 사용하는 전송제어, ARQ 방식과 Sliding Window를 비교  (0) 2016.05.03
망중립성  (0) 2016.04.29
단답형>MPTCP(Multipath TCP)  (0) 2015.10.14
NMS&SNMP  (0) 2015.09.20
패킷기반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  (0) 2015.09.20
Posted by 둔탱이
,

 1. 개 요

- 3G, Wi-Fi 등의 여러 인터페이스를 지닌 무선 단말이 증가함에 따라 트랜스포트 계층에서 다수의 네트워크 링크를 인지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다중 경로 트랜스포트 프로토콜의 중요성이 부각

- 다중 경로를 지원하는 트랜스포트 프로토콜에 SCTP와 MPTCP가 있음

 

2. SCTP

 - Stream Control Transport Protocol의 약자임

 - TCP는 End to End간 신뢰성있는 통신이 목적으로, 중간에 Path에 문제가 생기면 데이타가 손실되는 문제가 발생됨

 - 이를 극복하기 위해, SCTP(Multi Homing, Multi Stream기능) 프로토콜이 개발됨.

   ● Multihoming

       SCTP의 multi-homing 특성은 SCTP 세션이 여러 개의 IP 주소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세션 도중 네트웍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대체경로 (혹은 대체 IP 주소)를 통해 세션이 유지되도록 한다

 

   ● Multistreaming

   SCTP의 multi-streaming 특성은 하나의 세션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응용데이터를 보낼 수 있도록 한다

 - SCTP는 호스트간 2개의 IP를 사용함으로, 종단에 NAT(IP변환)설정에 문제가 발생됨

 - TCP, UDP 그리고 SCTP 비교

 

http://www.technology-training.co.uk/signallingtransportsigtranusingsctp_41.php

<참조>

SCTP(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  IETF는 RFC2960을 통해 SCTP(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를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에 이은 제3의 수송계층 프로토콜 표준으로 제정

    -  90년대 후반에 접어들면서 기존 TCP, UDP를 통해서는 갈수록 광대역화 및 멀티미디어화로 발전하는 인터넷 응용 요구사항을 적절히 수용할 수 없었기 때문

    - SCTP는 기존의 TCP로는 지원 하기 어려운 VoIP (Voice over IP) 신호중계 및 멀티미디어 응용서비스 등의 전송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 

    - SCTP는 UDP의 메시지지향(message-oriented) 특성과 TCP의 연결지향(connection-oriented) 및 신뢰전송 특성을 모두 포함하는 등 TCP와 UDP의 장점을 살리도록 설계되었다. SCTP는 TCP의 연결지향성 및 신뢰전송 기능을 제공하지만, TCP와는 달리 4-way 연결설정 및 3-way 연결종료 등의 기능을 제공

    - SCTP는 멀티스트리밍(multi-streaming) 및 멀티호밍(multi-homing) 특성을 제공

    - Multi-streaming 특성을 통해 하나의 세션에서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를 식별 및 전달할 수 있음

    - Multi-homing 특성을 통해 단말은 두 개 이상의 IP 주소를 한 세션에서 사용할 수 있음

 

 

    - SCTP는 IETF에서 차세대 수송계층 프로토콜 표준으로 제정되었으며, 현재 관련 표준화 및 개발작업이 한창이다. 향후 SCTP는 TCP, UDP를 대체하기보다는 서로 공존하면서, 각각의 특성에 부합하는 응용 및 서비스에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아직은 보급 초기단계이지만, TCP/UDP처럼 향후 지속적인 기술 보완을 통해 점차 실제 인터넷 응용에 널리 적용될 것이다

 

 

 

3. MPTCP

 가. 개요

  - MPTCP는 Multipath TCP의 약어

  - 기존의 TCP Stream을 여러개 묶어서 하나의 Applicaton 또는 Host에서 데이타를 주고 받을수 있음

  - MPTCP (Multi Path TCP)는 IETF에 의해 2013년 표준화된 기술로 TCP 프로토콜을 확장하여 단말과 TCP 서버간에 다수의 TCP 경로를 구성하고 다수의 경로로 동시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 MPTCP는 4계층 프로토콜임

 

  나. 시스템 구성 

  다. 특징

   - MPTCP는 호스트간 여러경로를 두어, 각각의 경로를 통해 데이타를 주고받을수 있는 장점이 있음

   - 중간에 혼잡(Congestion)이 발생하거나 연결이 끊어지더라도 연속적으로 데이타를 주고 받을 수 있음

   - 다중 경로 TCP는 네트워크 전반적인 트래픽 엔지니어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

   - VoIP, IPTV, 게임 등과 같은 요구가 많은 서비스에게 신뢰성(reliability)을 제공하기에 적합

 

4. MPTCP 응용기술

- IP기반의 LTE망에서 혼잡에 의한 트래픽손실 방지를 위해 사용됨

- LTE 와 Wibro, WiFi 네트워크와 연동시 응용됨(LTE와 WLAN과 같이 이종망을 다중 경로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WLAN과 LTE간의 Carrier Aggregation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구조)

http://www.netmanias.com/ko/post/blog/6719/carrier-aggregation-lte-wi-fi/integration-of-lte-and-wi-fi-networks-2-non-3gpp-based

 

 

 

 

 

<참조>

http://www.tta.or.kr/data/weekly_view.jsp?news_id=778

http://www.tta.or.kr/data/weekly_view.jsp?news_id=2766

http://www.netmanias.com/ko/post/blog/6719/carrier-aggregation-lte-wi-fi/integration-of-lte-and-wi-fi-networks-2-non-3gpp-based

http://cafe.daum.net/impeak/Pthm/1?q=%C1%A4%BA%B8%C5%EB%BD%C5%B1%E2%BC%FA%BB%E7&re=1

http://ssami.tistory.com/460

 

sctp.pdf

 

 

'Internet > TCP/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망중립성  (0) 2016.04.29
단답형>NAT  (0) 2015.10.16
NMS&SNMP  (0) 2015.09.20
패킷기반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  (0) 2015.09.20
TCP/UDP  (0) 2015.09.20
Posted by 둔탱이
,

NMS&SNMP

Internet/TCP/IP 2015. 9. 20. 09:11

1. Introduction

2. NMS의 5대 기능

3. NMS의 구성

4. SNMP
 1) SNMP 기본 관리구조

 2) SNMP 동작

 3) SNMP의 문제점 및 대책

 

 

 

1. Introduction

 - NMS(Network Management System)란 네트워크가 장애 없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만일 네트워크에 부하가 걸려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지, 대역폭의 사용은 무리가 없는지 등 네트워크 운영 전반에 관한 내용을 감독 및 관리하는 시스템임

 - 이더넷, 토큰링, 프레임릴레이, ATM 등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카드, 허브, 스위치, 라우터, 서버등 장비의 이상유무를 확인, 이에 즉시 대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게 바로 NMS임

 - 망 구성요소의 주요 성능, 장애, 구성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 분석하여 망상황을 대형화면에 그래픽으로 표시하여 망관리자로 하여금 가시적인 상황판단 및 제어를 가능하게 해줌


2. NMS의 5대 기능

 - 결함 관리(Fault Management): 결함을 탐지하고, 결함을 특정 구성요소에 고립시키고, 결함을 교정함

 - 회계 관리(Accounting Management): User에게 네트워크 자원의 사용비용을 밝히고 알려줌

 - 구성 관리(Configuration Management): 네트워크 구성의 파라미터, 현재의 위상, 운용상태 등을 상술하며, 필요한 때 시스템의 구성변경

 - 성능 관리(Performance Management): 네트워크 운용에 관한 통계의 수집, 시스템의 상태에 관한 로그 유지와 분석, 네트워크 운용의 최적화

 - 보안 관리(Security Management): 보안 서비스를 만들어 내고, 삭제하며, 제어하는 것


3. NMS의 구성

 - 관리되는 노드

 - 관리해주는 시스템   

 -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라는 통신 Protocol을 사용하여 장비의 구성 및 상태를 파악함

 - SNMP를 지원하는 Network 장비들은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라는 장비들의 상태를 나타내 주는 일종의 Database를 갖고 있기때문에 NMS에서는 이 정보를 읽어서 장비들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음

4. SNMP

  -여러가지 네트워크 자원(서버, 라우터 등)을 감독하고 제어, 감시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트콜

 1) SNMP 기본 관리구조

  - SNMP manager와 SNMP agent 사이에서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 관리정보베이스)를 기초로 여러 명령어를 사용해서 네트워크를 관리한다.

  - UDP datagram 방식을 사용하여 관리

 2) SNMP 동작

    - manager가 agent에게 request를 보내고 agent가 이에 대한 응답을 되돌려 보내는 형태로 이루어짐

    - SNMP message type

      가 get request: manager가 agent에게 관리 정보 요청

      나 get next request: manager가 agent에게 관리 정보를 연속해서 요청 

      다 get response: agent가 manager의 질의에 대한 응답을 보내 줌

      라 set request: manager가 agent에게 관리 정보를 설정

      마 trap: agent에서 특별한 이벤트가 발생했을 경우 능동적으로 manager에게 알린다  



 

snmp v2에서 모든 메시지가 구현되었으며 v3는 단지 보안기능만을 추가한것입니다. 
snmp v2에서 많은 보안의 논의(snmp v2 community, v2 party, v3 usm..... 기타등등)가 있었지만 반영되지 못하고 v3로 기능을 추가한것입니다. 


 


'Internet > TCP/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답형>NAT  (0) 2015.10.16
단답형>MPTCP(Multipath TCP)  (0) 2015.10.14
패킷기반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  (0) 2015.09.20
TCP/UDP  (0) 2015.09.20
Transport Layer의 전송 프로토콜 등급  (0) 2015.09.20
Posted by 둔탱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