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 동기화의 종류

  1) 비동기식 방식

  2) 동기식 방식

3. 비동기식(유사동기식) 디지털계위(PDH)

   1) NAS

   2) CEPT 

   3) NAS와 CEPT의 비교

   4) 비동기식 다중화의 원리

4. 동기식 디지털 계위(SONET/SDH)

   1) SONET 

   2) SDH

   3) 동기식 다중화 구조

5. PDH, SONET, SDH의 비교

6. 결론



1. 개요

  - 동기란 데이터통신에서 전송매체를 통해서 전달된 정보를 정확히 읽어내기 위해 송신과 수신 시점을 맞추는 것을 뜻함

  - 디지털 다중화란 다수의 저속신호를 하나의 고속신호로 다중화하는 방법

  - 디지털 다중화를 위해서는 동기를 맞추는 것이 필수적이며, 동기는 맞추는 방식에 따라서 크게 유사동기방식(PDH:Plesiochronous Digital Hierarchy)과 동기방식(SDH: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SONET:Synchronous Optical NETwork)로 구분

  - 신호계위는 각종 신호의 전송로 매체의 비트속도, 교환기와의 접속, 망구성 등을 고려하여 각 국가마다 국제적인 표준을 갖고 있음


2. 동기화의 종류

  - 모든 통신장비는 동기를 맞추어야만 송수신이 가능하고, 동기를 맞추는 방식에 따라 비동기방식과 동기식 방식이 있음

  1) 비동기식 방식

     - 특별한 클럭을 제공받지 않고 송수신 장비간 동기를 맞추는 방식으로 특별한 문자열 또는 비트블럭으로 동기를 맞추는 방식

     - Start bit(열)와 Stop bit(열)이 있음

     - HDLC의 Flag 01111110, 이더넷의 preamble 7Byte

     - 문자단위 또는 프레임단위의 전송 

참조> Ethernet의 Frame 구조



  2) 동기식 방식

     - 송수신간의 클럭을 동기시키키 위해 외부클럭을 사용하는 방식

     - Start bit와 Stop bit 열이 없음

     - PDH, SDH, SONET등의 계위가 있음


3. 비동기식(유사동기식) 디지털 계위(PDH)

   - PDH(Plesiochrous Digital Hierarchy) 

   - 서로 다른 클럭원에 의하여 발생되는 입력신호들을 결합시키는 방식

   - 입력신호의 비트속도를 맞추기 위해 추가적인 bit 삽입(Bit Stuffing)

   - 북미방식(NAS)과 유럽방식(CEPT)이 있음

   - 단계별 다중화를 거쳐 고위계위로 다중화: 다중화된 신호내의 하위계위신호 추출을 위해서는 순차적으로 상위 계위신호를 해제해야하는 과정을 거쳐야 함


※참조(음성신호 sampling) 

   - 음성신호는 300~3400Hz이며, 보호대역 포함 4kHz로 해석함

   - Nyquist 표본화 이론에 따라서 2배로 표본화하면 8kHz로 sampling

   - 한 sample을 256단계로 나누어서 양자화, 즉 sample당 8개의 bit가 필요

   - 따라서 8000samples/sec*8bits/sample=6400 bits/sec, 다시 말하면 한 개의 음성채널의 전송속도는 64kbps이다


  1) NAS(North America Standard, 북미방식)

    - Frame 구조


   - 표본화 주파수: 8000Hz(125㎲ 주기)

    - 프레임당 타임슬롯(채널) 수:24개

    - 타임슬롯(채널) 당 비트수: 8비트

    - 프레임당 비트수: (8bits * 24채널)+1=193bits

    - 출력 비트율(속도): 193bits/frame*8000frame/sec = 1.544Mbps

   2) CEPT(유럽방식)

    - frame 구조


    

     - 표본화 주파수: 8000Hz(125㎲ 주기)

     - 총 채널 수: 32개 수용(정보 채널 30개+동기 채널 1개(time slot 0)+신호 채널 1개(time slot 16))

     - 타임슬롯(채널) 당 비트수: 8비트

     - 프레임당 비트수: 8bits*32channel=256bits

     - 출력 비트율(속도): 256  bits/frame+8000 frame/sec = 2.048Mbps 

      

    3) NAS와 CEPT 비교  

   NAS  CEPT
 Channel 수 24  32 
 음성 채널 수 24  30 
 프레임당 비트 수 8bits*24ch+1bit = 193bits  8bits*32ch = 256bits 
 동기신호 프레임의 첫 비트  0번째 time slot 
 제어신호 6, 12번 frame의 채널당 1bit  16번째 time slot 
 전송속도 1.544Mbps   2.048Mbps
 압신방식 μ-law(15절선)  A-law (13절선) 
 정보전송량 54/64kbps  64kbps 
 Line code AMI  CMI 
 멀티 프레임 수   12개 16개 

 

    4) 비동기식 다중화의 원리

      - 여러 개의 하위 계위 신호를 각각의 크기에 맞는 상자에 각자 담아 이것을 모아서 보다 큰 상자인 중간 계위신호에 담고 다시 중간 계위 신호를 모아 보다 큰 상장에 담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다중화





4. 동기식 디지털 계위(SONET/SDH)

  - 기존 디지털 다중화 계위(PDH)는 각 나라별로 서로 다른 계위를 사용하고 있음

  - PDH는 동기를 맞추기 위해 Stuffing bit를 추가해야 하고, 단계별 다중화를 거쳐 고위계위로 다중화하는 단점이 있음

  - 이를 보완하기 위해 SDH(Synchronous Digital Hierarchy)가 제안됨

  - 각종 계위 신호들은 STM-n 신호로 일단계 다중화

  - SONET(Synchronous Optical Network): 북미를 중심으로 제안

  - SDH: SONET을 기초로한 세계적인 동기식 전송방식

  - SONET/SDH는 광케이블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통신 서비스를 전송하기 위한 동기식 네트워크 표준 규격

 

 1) SONET

   - 북미를 중심으로 제안된 동기식 전송 방식

   - SONET의 기본 전송단위인 STS(Synchronous Transport Signal)-1은 90byte*9행의 2차원 논리적 배열구조를 가지는 프레임

   - 전체 810Byte 영역에서 36Byte는 프레임이 올바른 전송에 필요한 프로토콜 오버헤드

   - 상기와 같은 프레임이 초당 8000번(125㎲) 전달되기 때문에 STS-1의 전송속도는 8000 frames/sec*810 bytes/frame*8bits/byte=51.84Mbps

   - SONET이 Gigabit급 이상의 전송속도를 가지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프레임들이 커다란 하나의 프레임으로 다중화되어야 한다

   - 다중화는 STS-1 프레임 단위로 이루어지고 다중화된 프레임은 STS-3, STS-12등과 같이 다중화에 포함된 STS-1 프레임의 수로 표시한다. 


  2) SDH

    - SONET을 기초로 한 세계적인 동기식 전송 방식

    - 프레임(125㎲ 단위) 구조는 270byte*9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송속도는 8000frames/sec*2430bytes/frame*8bits/byte=155.52Mbps이다

https://nets.ucar.edu/nets/presentations/sonet/sonet-13.html

 

 

   - SOH(Section Overhead): STM-n 신호가 구성될 마지막 단계에 삽입, 재생기, 다중화기 구간에서 삽입, 추출

   - RSOH(재생기구간 오버헤드): 프레임 정렬, 오류감시

   - MSOH(다중화기구간 오버헤드): 오류감시, 구간 APS(자동보호절체)

   - AU Pointer: AU로 정렬할 때 추가하는 포인터(TU 또는 AU 프레임 내에 VC가 시작되는 주소 지정)

   - POH(Path Overhead): VC 신호가 구성될 때마다 삽입, 해당 VC가 조성되는 점과 해체되는 점 사이의 Ene-to-End 통신을 위해 사용

   - STM-1 payload capacity:9행*260bytes = 149.760Mbps

  3) 동기식 다중화 구조

     - 동기식 신호를 구성하는 단위들은 아래와 같다. 
       (1) C(Container) : 동기식 다중화 구조를 구성하는 기본신호 단위로 Palyload에 들어갈 최소 정보단위이다.
           PHD신호를 수용하기 위한 콘테이너는 C11, C12, C2, C3, C4가 있고 ATM Cell들은 C4에 매핑된 후  동기식 다중화된다. 
       (2) VC(Virtual container) : POH와 Payload로 구성된다. VC1, VC2는 저위 VC이고 VC3, VC4는 고위 VC이다. 
       (3) TU(Tributary Unit) : 저위 VC를 고위 VC로 다중화할 때 사용하며 Payload 와 TU포인터로 구성된다.  
       (4) TUG : TU 한 개 이상 결합한 것으로 Byte Interleaving방식으로 다중화한다. Interleaving이란 brusty한 에러를 분산시켜 robust한다. 
       (5) AU(Administrative Unit) : 고차 VC를 전송하는 단위로 Payload와 AU Pointer로 구성된다.  
       (6) AUG : AU 신호들이 한 개 이상 결합한것  
       (7) STM-n : 동기식 다중화 구조의 최종신호 단위로서 실제 동기식 전송망에 전송되는 신호이다. STM-n은 AUG를 n개 바이트 교직 다중화(BIM) 시킨 후 SOH를 더하여 만들어진다.  

 각종 계위 신호들은 STM-n 신호로 다중화 시키는 과정을 동기식 다중화라고 하며, C, VC로의 매핑, TU, AU로의 정열, TUG AUG로의 다중화, 포인터 처리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1) 매핑(Mapping) :  PDH계 Data를 해당 VC에 싣는 과정으로 비동기식 신호를 동기식 구조로 맞추는 일이다.  
       (2) 정렬(Aligning) : 프레임 어긋남(Frame Offset)에 관한 정보를 반영하면서 VC를 TU 또는 AU에 싣는 과정 
       (3) 포인터 처리 : VC를 TU 또는 AU에 정렬시키면서 프레임 어슷남 정보를 포인터에 기록하는 것 
       (4) 다중화 : TU가 TUG로, AU가 AUG로 적응되는 과정

 

  - A conceptual diagram of the STM-1 frame can be seen below. This diagram shows how a Container-4 maps into a Virtual Container-4 and how a VC-4 subsequently maps into an Administrative Unit-4 and then into an STM-1 frame 

      http://www.ece.uvic.ca/~elec499/2001a/group04/sdh_brief_overview.html

  5. PDH, SONET, SDH의 비교

     - SDH는 기존의 북미시과 유럽식의 디지털 계위를 대부분 수용해서 STM-n 신호로 디지털 계위의 통합이 이루어졌다

     - one step multiplexing과 Overhead의 체계적 활용으로 통신망의 운용관리 및 유지보수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 가능

     - Pointer를 몇 차례 삽입하여 범세계적인 통신망의 동기화를 꾀했다

 


6. 결론
  - 국내 유사동기식 디지털계위에는 유럽식과 북미식을 혼합한 한국식 PDH 표준을 적용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동기식 디지털 계위에는  SDH방식을 표준으로 삼고 있음
  - 유럽식 장비는 SDH만을 지원하기도 하나, SONET과 SDH는 프레임 구조의 유사성으로 많은 장비들이 SONET 및 SDH 신호가 호환되도록 지원하고 있음
  - 트래픽의 광대역화, 대용량화, 이더넷화되면서, 기존으 SDH만으로 수용이 불가능한 이더넷을 함께 수용하기 위한 차세대 디지털 계위가 ITU-T에서 표준화 완료되었고, 그것이 바로 OTN(Optical Transport Network) 계위임
  - OTN(Optical Transport Network)은 IP 기반 데이터 및 기타 데이터 서비스를 통합하는 능력을 가진 광 전송 계층을 정의하는 표준
  - OTN 계위는 디지털 계위와 광학 계위로 구성되고, 디지털 계위는 OTUk(Optical Transport Unit k, k=1,2,3,4)로 정의되며 2.5Gbps, 10Gbps, 40Gbps, 100Gbps의 속도를 가지고, 광학계위는 광채널 계층(Optical Channel:Och), 광다중 계층(Optical Multiplex Section:OMS) 및 광 전송 계층(Optical Transmission Section:OTS)으로 각각 구성됨
  - 근래 출시되는 대부분의 대용량 광전송장비는 OTN표준을 지원하고 있음  

출처
http://nooriry.egloos.com/m/1630569


 

'Communication_Theory > 음성의 디지털 부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OTN(Optical Transport Network)  (0) 2016.04.11
전송방식의 다중화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 2015.09.19
Nyquist sampling theory  (0) 2015.09.19
양자화 잡음  (0) 2015.09.19
DPCM  (0) 2015.09.19
Posted by 둔탱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