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cN

Internet/WAN 2015. 9. 20. 09:31

1. 배경

2. 개념 

3. 계층 구조

4. BcN 기반 기술

5. BcN으로의 변화

6. 맺음말



1. 배경

 - 유,무선 및 방송 사업자별 네트워크 진화 전략에 따른 유사한 망의 중복투자와 망간의 연동문제, 서비스 영역의 제도적 제약으로 이용자에게 편리하고 저렴한 복합서비스 제공이 어려움

 - 따라서 세계적인 통신망 진화방향은 통합, 개방의 추세에 있음

 - 외국에서는 NGN(Next Generation Network), 국내에서는 BcN이라고 명칭

 

<참조>

BcN의 태동
네트워크 관계자들이 2000년부터 기존의 네트워크를 최대한 재활용하면서 향후 다가올 서비스를 충분히 서비스 해 줄 수 있는 망구조, 즉 차세대 네트워크 (Next Generation Network)에에 대해 논의를 시작하였습니다. 2002년 1월 ITU-T NGN 그룹 및 IETF, ETSI에서 NGN으로 추진하기 시작하였으며, ITU-T를 중심으로 NGN 2004 Project를 시작하였습니다.

NGN 개요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All IP 구조 지향 (IP 기반으로 모든 서비스 및 망구조를 구축)
  2) 개방형 구조
  3) 음성 및 데이타 서비스를 통합하여 IP 서비스를 함
  4) 유선 및 무선망을 통합하여 망 간 로밍 및 핸드오프를 고려
  5) 서비스 및 제어 계층, 전달망 계층, 가입자망 계층 3단계로 구분

 2003년 5월 정보통신부는 "NGcN 구축 기획단"을 발족하면서 본격적으로 NGN에 대해 논의를 시작하였으며, 기존의 NGN 개념을 승계하고 보다 광범위한 범위의 융합을 시도하려고 하였습니다. 우리 나라에서 NGN을 NGcN (Next Generation convergence Network)이라 명명하여 진행하였습니다. NGN과 같은 개념입니다.

 기존의 NGcN에 누락된 통방 융합의 개념을 포함하여 BcN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이라고 명명하여 NGN을 국내 브랜화화하였으며, IT 839 및 u-Korea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게 됩니다.

이러한 일련의 진행은, 정보통신부 주도로 80년대 전전자 교환기 TDX의 성공적인 개발, 90년대 CDMA의 성공으로 이동전화 시장의 확보와 해외 수출 견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2000년 초의 초고속 인터넷 보급으로 정부 주도의 IT 신화를 계속  이어 갈 수 있었으며,  정보 통신 부는 BcN을 다음 목표로 삼고 2010년을 목표로 BcN 시범 사업을 통해 ISP 및 다양한 사업자들이 BcN으로 망을 전개하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http://www.nexpert.net/15

 


 

2. 개념 

 - All-IP 망을 기본으로 하는 유선, 무선, 방송, 통신 등 이기종망을 연동한 단일화된 인프라망

 - 통신, 방송, 인터넷이 융합된 품질보장형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끊임없이 안전하게 광대역(50~100Mbps)으로 이용할 수 있는 차세대 통합 네트워크(모든 정보통신 기기가 하나의 네트워크에 연결)

 - 특징

   가. 음성/데이터, 유/무선, 통신/방송 융합형 멀티미디어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통합망

   나. 다양한 서비스를 용이하게 개발/제공할 수 있는 개방형 플랫폼(Open API) 기반의 통신망

   다. 보안(Security), 품질보장(QoS), IPv6가 지원되는 통신망

   라. 단말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서비스를 끊김없이(Seamless) 이용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서비스 환경을 지원하는 통신망

 

3. 계층 구조

  -  BcN은 크게 서비스 및 제어계층, 전달망 계층, 가입자 망계층, 홈 및 단말 계층 4단계로 나뉨

  - 가입자망은 무선 가입자망, 유선 가입자망, 방송 가입자망으로 나뉘고 각각의 망들은 전달망으로 연동되어 마치 하나의 망처럼 이용 가능

  - 서비스 및 제어 계층을 통해 세션 제어를 수행하고, QoS를 지원

 

http://middleware.tistory.com/98

 



 가. 서비스 계층
     - OSS(Operational Supports System), BSS(Business Supports Systems)와 같은 망관리 시스템 및 다양한 응용서비스 서버들로 구성되어 모든 네트워크에서 동일한 개방형 서비스 플랫폼을 적용하여 'Plug and Play' 형태로 서비스 구현

 나. 제어 계층

    - 통신망을 제어하는 소프트 스위치 플랫폼을 구성하여 통신망 자원정보와 가입자 정보으 통합관리 가능

 다. 전달망 계층

    - 음성, 데이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QoS가 보장되는 패킷기반의 단일망 구축을 목표

 라. 가입자 계층

    - 유무선의 다양한 가입자망을 모두 수용함으로써 이용자 환경에 따라 적절히 가입자망을 선택하여 끊김없는(Seamless) 서비스를 지원

 마. 홈, 단말 계층

    - 홈네트워크(Home Gateway), U-센서 네트워크(UWB, 스마트태그), 통합단말 등 다양한 형태의 단말로 구성

    - 정보가전 및 이동단말들의 확산으로 인한 인터넷 주소부족문제는 IPv6의 도입으로 해결 가능


4. BcN 기반 기술

구분

 설명

 Broadband

 대용량 트래픽을 유발하는 고품질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유무선 환경에서 제공

 IPv6

 모든 통신 노드에 주소를 부여하여 상호간에 쉽게 통신이 가능하도록 함

 QoS

 Best-effort 한계를 넘어서 융합형 서비스가 요구하는 다양한 품질을 보장 

 Mobility

 무선은 물론 유선 환경에서도 이동 중인 이용자에게 서비스를 끊김없이 제공

 Open API

 개방형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 사업자들이 자유롭게 융합 서비스를 제공


5. BcN으로의 변화


6. 맺음말

 - 내부망으로부터 USN까지 연결되어 유비쿼터스 서비스 환경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진화

 - All-IP망으로 진화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모바일,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해질 것임 

 -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 일본, 유럽 등 주요 국가에서는 패킷기반의 NGN, 소프트 스위치, Open API, 고속 라우터, IPv6, FTTH, 통합단말 등 멀티미디어서비스를 쉽게 수용하고 품질이 보장되는 광대역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관련 기술을 적극 개발 중이며, ITU, ETSI, IETF 등에서는 관련 표준화를 진행

 

 

 

<참조> 

http://dckorea.co.kr/tt/160

http://middleware.tistory.com/98

http://www.nexpert.net/15

김기남 공학원 2012년 1회 정보통신기술사 해설


 


Posted by 둔탱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