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 부호화의 종류
2.1 소스코딩
2.2 암호코딩
2.3 채널코딩
2.3.1 FEC(Forward Error Correction)
가. 블록부호화
나. 비블록부호화
2.3.2 ARQ(Automatic Request for Repeat)
가. 정지-대기 ARQ
나. 연속적 ARQ
다. Adaptive ARQ
라. Hybrid ARQ -------> 단일 topic으로 조사할 것
3. 상호비교
1. 개 요
- 음성, 영상등의 정보를 신호처리 및 보안상의 이유로 변환하는 기술을 총칭
- 전송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정보원(Information source)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과정이 소스코딩임
- 디지털 정보원의 전송은 채널의 다양한 특성에 의해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채널코딩이 요구됨
- 암호코딩은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통신에서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기밀스런 정보 보호를 위해서 요구됨
- 디지털 통신의 개요
Source coding → Encrypt → Channel coding → Modulation
2. 부호화의 종류
2.1 소스코딩
- 정보원(Information Source)을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 압축하는 과정
- 소스코딩의 목적
가. 디지털화 및 압축: 아날로그 신호원으로부터 A/D 변환(표본화, 양자화)을 수행하고(Digitising) 잉여정보를 제거(Compression)
나. 평균코드길이의 최소화를 지향: 가장 적은 수의 비트로 원래의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 평균코드길이가 짧을수록 효율적임
- 소스코딩의 분류
가. 코드길이가 일정한가에 따라
- 고정 길이 부호화(Fixed Length Coding)
- 가변 길이 부호화(Variable Length Coding)
나. 원천 정보 형태에 따라
- 영상부호화: JPEG, MPEG
- 음성부호화: 파원부호화(보코딩), 파형부호화(PCM,DM)
다. 원 데이터 손실여부에 따라
- 무손실(Lossless) 압축 부호화: Huffman coding, Arithmetic coding, Run-length coding 등
- 손실(Lossy) 부호화: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Quantisation, PCM 등
2.2 암호코딩
- 통신에서 사용자마다 유일한 번호를 부여하므로 다른 사용자는 이 번호를 알 수 없이 통신 보안성을 확보함
- 의사잡음 부호(PN code)
2.3 채널코딩(Channel coding)
- 디지털 전송 신호에 어떤 부수적인 잉여 비트를 삽입하여 전송 시 채널에 가해지는 각종 잡음으로 인한 에러를 검출, 정정하는 기능을 가짐
2.3.1 FEC(Forward Error Correction, 전방에러정정)
- 무선통신 에러정정
- 오류정정을 위한 여분의 비트를 추가하여 전송하므로 수신쪽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오류를 검출하여 정정하는 방식
- 장점: 역채널이 필요없고 연속적인 데이터 전송 가능
- 단점: 코딩방식 복잡, 추가 bit 사용으로 인해 코딩 효율 저하
가. 블록 부호화(Block coding)
- 에러 정정이 해당 블럭에만 국한되는 방식(정보 비트+패리트 비트)
a. 선형 code: Hamming code
b. 순회 code: BCH(ex>Reed-solomon coding), CRC(Cyclic Redundancy Check)
나. 비블록부호화(Non-Block coding, Convolution Coding, 길쌈부호화)
- 1개의 정보비트를 V개의 확장 비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방식임
- 정보 비트가 sequence내에서 일정한 룰에 따라서 분산되어 부호화 됨
- 부호기에 기억장치가 있어야 하고 선형 블록부호보다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에러 정정능력 우수
- 현재의 입력이 과거의 입력에 대하여 영향을 받아 부호화되는 방법임
- Viterbi-Alogorithm, Trellis encoder
- 이동통신분야에서 Convolution code(CDMA) → Turbo code(3G) → LDPC(Low Density Parity Check)(4G)로 진화
※Concatenation codes
- 2개의 부호기를 함께 사용, 연집 오류와 랜덤 오류에 강력한 정정능력을 갖도록 한 부호방식
- Inner code: Convolution code, Outer code: Reed-solomon
2.3.2 ARQ(Automatic Repeat Request)
- 데이터통신 에러정정
- 검출 후의 재전송 요청
가. 정지-대기 ARQ: 수신 완료 메세지 받은 후 송신
나. 연속적 ARQ
a, Go & Back ARQ: 에러 발생한 블록부터 재전송
b. Selective ARQ: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만 전송, 효율은 좋으나 구조 복잡
다. Adaptive ARQ
- BER↑, 블록의 길이↓
- BER↓, 블록의 길이↑ 즉, 에러 발생 확률에 따라 프레임 길이 조절
- 전송 효율은 좋으나 제어회로가 복잡하고 채널 대기시간 발생
라. Hybrid ARQ
- ARQ 방식과 FEC방식의 단점을 보완한 에러정정 방식(4G)
- Hybrid ARQ 프로토콜은 FEC 방식으로 어느 정도 오류 정정을 한 후 다시 오류를 검출하여 있을 경우, 새 전송을 요구하는 방식
- 전송 Error가 적으면 FEC 방식 적용
3. 상호 비교
구분 | 소스 코딩 | 채널 코딩 | 암호 코딩 |
정의 | 효율적인 정보 압축 | 에러 검출 및 정정 | 개인의 Privacy를 보호하거나 사용자마다 유일한 번호를 부여 |
목적 | 전송효율의 향상 | 전송오류의 검출 및 정정 | 통신보안성 확보 |
종류 | DM, DPCM, ADM, ADPCM | Hamming code, Convolution code Turbo code |
의사잡음 부호 |
[참고]
1. 음성 부호화
- 주로 음성통신을 위해 음성정보를 가능한 낮은 속도로 전송할 수 있게하거나, 적은 정보량으로도 저장이 가능토록 하는 기법
2. 음성신호 압축 모델에 따른 분류
2.1 파형부호화(Waveform coding)
- 음성신호의 모양 즉 파형을 기반으로 하는 압축방식
- PCM, DPCM, DM, ADPCM 등
2.2 파원부호화(Vocoding)
- 음성신호 발성모델을 이용하여 특정 파라미터 만을 전송함으로써 수신부에서 얼마나 비슷한 소리가 복원되는가에 관심을 갖고 개발된 코딩 방식
- LPC, AMR 등
2.3 혼합부호화
- 위 두방식의 장점을 결합
- CELP, SBC(Spectral Band Coding) 등
3. 음성신호 A/D 변환
구분 | 대역폭 | Sampling Frequency | Bits/sample | 비트율(kbps) | 비고 |
전화음성 | 300~3400 | 8 | 12또는 13 | 96또는 104 | PSTN |
광대역 오디오 | 50~7000 | 16 | 12또는 13 | 224또는 240 | FM radio |
고품질 오디오 | 30~15000 | 32 | 16 | 512 | TV stereo |
고품질 오디오 | 20~20000 | 44.1 | 16 | 706 | CD player |
고품질 오디오 | 10~22000 | 48 | 24이상 | 1152 | 전문가 오디오 |
4. 음성코딩 표준
종류 | 압축방식 | 비트율 | MOS | 사용예 |
G.711 | PCM | 64kbps | 4.1 | PSTN |
G.721/G.726 | ADPCM | 32kbps | 3.85 | PSTN |
G.723 | MP-MLQ/ACELP | 6.3또는 5.3kbps | 3.9또는 3.65 | VoIP |
G.728 | LD-CELP | 16kbps | 3.61 | 이동전화 |
G.729 | CS-ACELP | 8kbps | 3.92 | VoIP |
- 방송, 음향기기에서는 Dolby AC-3, MPEG-2 AAC등이 주로 사용됨
http://www.ktword.co.kr/abbr_view.php?m_temp1=900&m_search=coding
http://www.ktword.co.kr/abbr_view.php?nav=2&m_temp1=997&id=112
http://nooriry.egloos.com/1543852
'Communication_Theory > 정보의 부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류정정부호와 Coding Gain (0) | 2016.04.14 |
---|---|
ARQ 방식과 H-ARQ 방식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0) | 2015.10.16 |
채널용량 (0) | 2015.09.19 |
인터리빙 (0) | 2015.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