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ltimedia/인터넷방송과 IPTV'에 해당되는 글 5건

  1. 2016.06.11 Mobile IPTV
  2. 2016.06.11 스마트TV 기반 멀티스크린 서비스 기술
  3. 2015.09.19 IPTV 1.0/2.0에 대하여 설명
  4. 2015.09.19 IPTV 서비스 및 기술진화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2015.09.19 인터넷 방송

1. 개요

 - Mobile IPTV는 기존IPTV에 이동성을 추가한 개념으로 다양한 무선기술을 이용하여 이동환경에서도 양방향 IPTV서비스 제공 기술.

 - 모바일IPTV는 장소와 단말 종류, 콘텐츠 접속 등의 제약을 극복하고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IPTV를 시청할 수 있는 IPTV 2.0 서비스임

 

 

2.  IPTV 진화

  - IPTV 1.0: Real-time IPTV, VoD IPTV

  - IPTV 2.0: Mobile IPTV

  - IPTV 3.0: Realistic/UHD IPTV, Ubiquitous IPTV(Globally Interoperable)

 

3. 모바일 IPTV의 기술적 이슈

 - 데이터를 수신하는 최종 경로가 무선구간이며,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무선구간에서의 가용 대역폭은 상황에 따라 수시로 변경

 - 무선구간에서는 데이터 손실률 및 지연이 유선구간에 비해 크게 발생

 -  사용자가 수신하고 있는 Mobile IPTV 단말의 성능한계

 

 

4. 모바일 IPTV 국제 표준화 동향

 가. Mobile TV와 IP를 결합한 형태의 Mobile IPTV 서비스

    - Mobile IPTV는 전형적인 디지털 방송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IP기반의 오디오, 비디오 및 다양한 콘텐츠들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방식

    - 양방향 서비스로의 확장을 위해 리턴 채널을 결합하는 형태로 개발 중

    - DBV-CBMS(Convergence of Broadcast and Mobile Service)

 나.  고정형 IPTV에 Mobile기능을 결합한 형태의 Mobile IPTV서비스

    - ITU-T에서 FG IPTV를 통해 국가 간의 통일 된 표준화 규격을 작업 중

 다.  이동통신 영역에서의 Mobile IPTV서비스

    - 가장 대표적인 표준화는 OMA BCAST(BroadCAST)

 

5. 멀티캐스트 표준 기술

 가. 3GPP/MBMS

    -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 3GPP 이동통신망에서 멀티캐스트 기술표준

    - LTE 망에서의 eMBMS 개발 중

 나. 3GPP2/BCMCS

    - BCMCS(Broadcast Multicast Services)

    - 3GPP2 이동통신망에서 멀티캐스트 기술표준

 다. WiMax/MBS

    - MBS(Multicast Broadcast Services)

    - 802.16m 접속기술에서의 멀티캐스트 전송을 지원하는 eMBS 표준 개발 중

 라. DVB-H

    - DVB에서 표준화

 

6. 국내 서비스 동향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 사용자는 스마트TV를 중심으로 다양한 스마트 장치를 연결하여 방송과 통신, , 홈네트워크가 결합된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요구함

 

2. 멀티스크린 서비스 발전 방향

 

 

3. 멀티스크린 서비스 기술

 가. 콘텐츠 부호화 기술

    1) SVC(Scalable Video Coding)

      - 계층적인 코딩방식

      - 하나의 비트스트림으로 다양한 해상도, 프레임율, 화질을 갖는 영상을 서비스 할 수 있는 압축 기술

    2) RVC(Reconfigurable Video Coding)

      - Config 정보를 보내어 수신측에서 decoder를 구성할 수 있는 압축기술

      - 다양한 스마트 기기와 미디어에 보다 능동적으로 대처 가능

      - 기존 비디오 부호화 코덱이 고정된 형태로 설계되어 왔다면, RVC는 비디오 코덱을 세부 부 호화/복호화 기능 중심의 모듈화를 통해 보다 유연하게 재구성 가능한 형태로 설계

 

  3) 분산 비디오 부호화(Distributed Video Coding, DVC)

    - DVC는 기존 부호화기의 부하를 복 호화기 측에서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

      - 비디오 부호화기의 움직임 추정과 같이 계산량이 많이 소요되는 과정을 복호화기로 이동시킴으로써 경량화 비디오 부호화를 가능하게 하는 압축 기법

      - 기존 비디오 부호화 기법은 주로 장치의 연산 자원을 최대로 활용하여 압축률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개발되어 휴대 단말기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는 기법

     -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압축방식이 DVC 기법으로 휴대용 단말기나 센서망 등에서 활용이 증가

 

 나.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기반 적응형  미디어 전송

 - 스마트TV에서는 방송 및 인터넷 등 다양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연동하여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가능

다. 서비스 발견 및 제어 기술

  - 스마트TV를 중심으로 홈 네트워크와 웹 에 연결된 멀티스크린 장치 및 서비스를 발견하고 제어 하기 위한 기술

  - DLNA/UPnP,  Apple AirPlay/Bonjour,  Google Second-screen App/Anymote 등이 있음

 

스마트TV 기반 멀티스크린 서비스 기술 동향 (1).pdf

'Multimedia > 인터넷방송과 IP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bile IPTV  (0) 2016.06.11
IPTV 1.0/2.0에 대하여 설명  (0) 2015.09.19
IPTV 서비스 및 기술진화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 2015.09.19
인터넷 방송  (0) 2015.09.19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 IPTV란 '일정한 수준의 QoS/QoE, 보안과 상호작용성, 신뢰성이 보장되는' 광대역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양한 TV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서비스  

- 브로드밴드와 같은 네트워크 인프라 상으로 IP 기반 하에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 초고속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실시간 방송, VOD, 인터넷 서비스 등 다양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2. IPTV의 진화

 2.1 IPTV 1.0

    - Real-time IPTV, VoD IPTV

    - 레거시 인터넷망 환경에서 실시간 방송 재전송 서비스, VoD 서비스 등 가장 기본적인 IPTV 서비스

    - 전화회사 중심의 방송 서비스

    - 유선 기반 광대역/고품질 네트워크

 

 2.2 IPTV 2.0

    - Mobile IPTV

    - IPTV 2.0은 언제 어디서나 임의의  IP 단말을 이용하여 이동 중에도 임의의 IP 콘텐츠를 최적 품질로 끊김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 다양한 사업자 존재(이동통신사, 방송사업자, ISP 등)

   - 유무선 통합 인프라

   - IPTV 2.0, 이른바 모바일 IPTV가 가능하려면 이동 중에도 100메가 이상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4세대 이동통신 기술이 뒷받침되어야 함

 

  2.3 IPTV 3.0

     - Realistic/UHD IPTV

     - Ubiquitous IPTV(Globally Interoperable)

 

 

 3. IPTV 1.0과 IPTV 2.0 비교

                                                                                                                               <출처: ETRI>

4. Mobile IPTV 장, 단점


 

 

 

http://www.slideshare.net/RockyS11/nextgeneration-iptv-iptv-20

http://support.oullim.co.kr/portal/Techletter/20090915/news4.htm

 

http://www.google.co.kr/url?sa=t&rct=j&q=&esrc=s&frm=1&source=web&cd=3&sqi=2&ved=0CEgQFjAC&url=http%3A%2F%2Fdbworld.tistory.com%2Fattachment%2Fcfile2.uf%40204DB4214A7B66C537B08F.ppt&ei=kkCPU6-yG4XRkwWQmIDQDg&usg=AFQjCNFzM1rPRpyD4OhsFvW6ZtcyPDAD3w&sig2=Cp7xwvGnvqoaeXhgnL1W7w&bvm=bv.68235269,d.dGI&cad=rjt

 

http://www.google.co.kr/url?sa=t&rct=j&q=&esrc=s&frm=1&source=web&cd=1&sqi=2&ved=0CDcQFjAA&url=http%3A%2F%2Fwww.tta.or.kr%2Fdata%2FreportDown.jsp%3Fnews_num%3D2558&ei=kkCPU6-yG4XRkwWQmIDQDg&usg=AFQjCNGSsi0HP-KQsVMEXVzs8ncVCDKykA&sig2=9vtkJLx8qG4U_7AxTERTLA&bvm=bv.68235269,d.dGI&cad=rjt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2. IPTV 서비스 개념도

3.  IPTV의 서비스 구조

  3.1 IPTV Headend

  3.2 Backbone(Core) Network

  3.3 Access Network

  3.4 Subscriber Premise

4. IPTV 서비스 주요 기술

  4.1 콘텐츠  

  4.2 Head-end(platform) 기술

     4.2.1 동영상 압축기술

     4.2.2 디지털 콘텐츠 보호 기술

     4.2.3 데이터 방송기술

  4.3 네트워크 기술

     4.3.1 Core망 기술

           가. 인터넷의 전송방식

           나. IP 멀티캐스트 Protocol

           다. QoS

     4.3.2 Access망 기술

5. IPTV 서비스의 발전 전망

6. 향후 전망

 

 

 

1. 개요

 - IPTV란 초고속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방송 및 정보서비스를 TV 수상기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함

 - '일정한 수준의 QoS/QoE, 보안과 상호작용성, 신뢰성이 보장되는' 광대역 IP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양한 TV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서비스

 - IPTV는 인터넷과 TV의 융합이라는 점에서 디지털 컨버젼스의 한 유형으로 리턴채널이 확보된 양방향성을 기반으로 방송서비스외에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

 - QoS 보장 유무에 따라 IPTV와 인터넷TV를 구분함

 

2. IPTV 서비스 개념도 

 

 

3.  IPTV의 서비스 구조

  - IPTV 서비스 플랫폼은 헤드엔드, 백본 네트워크, 액세스 네트워크, 가입자 장치로 구성

  - 클라이언트-서버 모델로 동작

 

 3.1 IPTV Headend

    - 수신된 방송/데이터/부가 서비스 신호를 압축하고 암호화하여 IP망에 전달하는 역할 수행

     가. 수신(베이스밴드 신호처리)

        - 지상파 및 PP 신호를 source 신호를 수신, 광고 또는 자막 삽입 등의 편집을 거쳐 압축/다중화 시스템에 전달

        - Routing Switch를 통해 방송신호 분배

    나. 압축/다중화

        - SDI 및 ASI 방송 신호를 H.264로 압축하고 전송을 위해서 스트림(MPEG-2 TS)화

        - 비디오 및 오디오 MPEG-2 TS와  Data 신호를 다중화

     다. 암호화 및 IP 패킷화

        - 다중화된 TS를 Scramble에 입력하여 암호화하고, IP Packet화

        - IP packet화 한 신호는 네트워크 스위치로 입력되고, 최종 송출

     라. 운영관리

        - 채널정보 관리 등 전반적 시스템의 운용 및 고객관리, 상품관리

     마. 부가 서비스 시스템

         - EPG(Electronic Program Guide System)

         - DBS(Data Broadcasing System)

 

 3.2 Backbone(Core) Network

    - Multicast streaming, QoS 보장

 

 3.3 Access Network

    - Core Network에서는 모든 채널이 전송되나 가입자망에서는 원하는 채널만 선택되어 전달

    - 가입자별 QoS 보장

 

 3.4 Subscriber Premise

    - IP-STB(Set-top Box)

 

 

 <참조> IPTV 구조 예

 <참조> IPTV UHDTV 서비스 개념도

 

4. IPTV 서비스 주요 기술

 - IPTV 서비스를 위한 주요 기술 요소는 크게 콘텐츠, 플랫폼 기술, 네트워크 기술, 단말장치 기술로 구분

 4.1 콘텐츠

    - IPTV 성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가 제공되어야하고 이를 위해서는 기존 방송 콘텐츠는 물론이고 국내외 주요 콘텐츠 제공자들과의 연계가 필수적

 

 4.2 Head-end(platform) 기술

    4.2.1 동영상 압축기술

          - IPTV에 사용되는 동영상 압축기술로는 MPEG2, MPEG4, WM-9, 그리고 H.264가 있다

          - WM-9(Windows Media 9)은 마이크로소프트사가 개발한 스트리밍 오디오/비디오 포맷 멀티미디어 압축 방식으로 보통 파일을 내려 받기하고 재생하거나 내용을 스트리밍 하는데 사용

          - 현재 다수의 IP사업자가 H.264 기술 적용하고 있다

          - 음성 압축의 경우 MPEG-2 AAC 기술 적용

    4.2.2 디지털 콘텐츠 보호 기술

          - 각종 컨텐츠 및 방송미디어가 고화질화, 디지털화 되어감에 따라, CP(Contents Provider) 최대 고민은 디지털 컨텐츠를 어떻게 보호할 것이냐에 있다

          - 보편적으로 인터넷 기반의 컨텐츠 유통분야(VOD)에서는 DRM(Digital Right Management) 기술을 많이 사용해 왔으며, Cable TV, 위성방송 등 방송 분야에서는 수신제한시스템, 즉 CAS(Conditional Access System) 솔루션을 많이 사용

          - CAS와 DRM 비교

 구분  CAS  DRM
 개요  인증된 사용자만이 사용할 수 있도록 통제  암호화 기술을 이용,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 복제 및 유통을 방지
 암호화 방식  다단계 키 or 알고리즘  일반적으로 1개의 License key로 복호화
 장단점 비교

 장점

 -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수용 가능

 -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방식의 이중 암호화  적용으로 보안성 우수

 단점

 - 비용 고가

 - 다양한 권한 제어 불가능

 장점

- 콘텐츠 접근/배포 권한 제어 우수

- 솔루션 비용 저가

 단점

- 소프트웨어 방식의 단일 암호화 적용으로 보안성 취약

 적용사례  Cable, 위성, IPTV  VoD 사업자

 

     -CAS 인증 절차

 

    4.2.3 데이터 방송기술

          - IPTV에서의 양방향 데이터 방송 기술은 현재 표준화 진행 중에 있으며, 유럽중심의 DVB-MHP 기반의 미들웨어와 한국, 미국 중심의 ACAP 미들웨어 표준을 수용하는 방향으로 표준화 논의가 진행 중

          - 사용자의 서비스 유인 및 유지를 위한 다양한 Killer Application 발굴 및 구현이 미들웨어의 API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므로 안정적인 미들웨어 솔루션을 확보하는 것은 IPTV를 포함한 차세대 방송시장의 핵심 경쟁력

 

  4.3 네트워크 기술

     4.3.1 Core망 기술

           가. 인터넷의 전송방식

               - Unicast, Multicast, Broadcast

               - Unicast: 송신자와 수신자가 1:1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방식, 현재 인터넷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식

               - Multicast: 멀티캐스팅을 요청하는 특정 수신자에게만 보내는 1:N 방식,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수신을 원하는 수신자에게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다수의 수신자가 수신할 때 사용하며 유니캐스트보다 훨씬 효율적인 방식

               - Broadcast: 제한된 범위 내에서 모든 수신자에게 보내는 1:ALL 방식임, 송신자가 수신자의 주소를 알 수 없을 때 송신자가 사용하는 방식

 

 

              

           나. IP 멀티캐스트 Protocol

              - 멀티캐스트 패킷을 네트워크에서 전송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장비에 멀티캐스트 프로토콜이 구동되어야 함

              - 액세스망 장비: IGMP, IGMP Snooping Protocol

              - 백본/전송망:PIM-SM Protocol 

 

             <참고>

             ▶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 하나의 라우터와 여러 호스트로 구성되는 서브 네트워크 상에서 라우터 및 호스트들이 어떤 멀티캐스트 그룹에 속하는 가를 알게하기 위한 일종의 그룹 관리용 프로토콜, 즉 서브넷(로컬 네트워크) 상의 멀티캐스팅 멤버십 제어를 위한 프로토콜

               - IPTV가 Cable TV와 달리 가입자 망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하는 프로토콜

             ▶IGMP Snooping

               - IGMP Snooping은 라우터와 호스트 사이에 있는 스위치가 IGMP 메세지들을 들을 수 있게하는 기능을 말함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

               - DVMRP(Distance Vector Multicasting Router Protocol)

               - MOSPF(Multicasting Open Shortest Path First)

               - CBT(Core Based Tree)

               - PIM-SM/DM(Protocol Independent Multicast-Sparse Mode/Dense Mode)

               - SSM(Source Specific Multicast)

  

           다. QoS

              - 현재 네트워크는 Best-Effort형 네트워크로 QoS 기능 미적용

              - 품질 보장형 Unicast 서비스(영상전화 등) QoS 적용 필요성 대두

              - IPTV의 경우 전체 네트워크 구간에 QoS 적용 필요

 

     4.3.2 Access망 기술

           - Access망의 주요 기술은 전화선(xDSL), 동축케이블(HFC), UTP케이블(LAN), 광케이블(FTTH) 등이 있으며, 가정에서 인근 통신국사까지 연결

           - 코어 네트워크에서는 모든 채널이 전송되나 가입자 망에서는 원하는 채널만 선택되어 전달되므로 가입자망의 좁은 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 FTTH(Fiber To The Home)은 광섬유를 각 가정까지 직접 연결하는 것으로 IPTV서비스 뿐만 아니라 BcN의 융합 서비스가 다양화, 고도화되면서 증가되는 개인별 사용 대역폭을 쉽게 수용할 수 있는 망 구성방법이다

           - FTTH 기술은 현재 가입자당 50~100Mbps를 제공할 수 있으며, QoS를 보장하기 위한 최소 대역 보장도 다른 가입자망 기술에 비해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IPTV를 위한 최종 네트워크 기술이라 볼 수 있음 

 

5. IPTV 진화

  - IPTV 1.0: Real-time IPTV, VoD IPTV

  - IPTV 2.0: Mobile IPTV

  - IPTV 3.0: Realistic/UHD IPTV, Ubiquitous IPTV(Globally Interoperable)

 

 

6. 향후 전망

 - IPTV서비스는 3A(Any time, Any device, Any place)로 정의되는 미래 유비쿼터스 미디어 환경의 기반 서비스로 발전할 것임

 - IPTV 사업자들은 기존의 비디오 채널의 고품질 프리미엄화와 VOD, PC 연계 서비스등을 통해  케이블 사업자와 차별화를 강조, 시장점유율 확대에 노력하고 있음

 - 사업자들의 노력이 국내외적으로 본격화 되고 있지만 IPTV 활성화를 위해서는 컨텐츠와 서비스 확보 등 소프트웨어적인 측면, 네트워크
인프라와 셋탑박스 등 하드웨어적인 측면 그리고 통신∙방송 융합제도 수립 등 제도적인 측면에서 해결되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음

 - 대표적인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로서 IPTV 서비스의 보급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IPTV 기술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국가별, 지역별, 그리고 관련 산업체 중심의 포럼 등을 통해 활발하게 추진

 - 미주 지역을 중심으로 한 ATIS 표준, 유럽 지역을 중심으로 한 DVB 표준이 대표적이며, IPTV 사업자 및 산업체를 중심으로 한 OIPF 표준
이 또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표준화 작업을 글로벌 표준으로 묶어주기 위한 활동이 ITU-T 주도로 추진되고 있는 IPTV-GSI 표준화 작업임

 

 

 

 

 

 

 

http://www.knom.or.kr/conf/knom2007/tutorials/Tutorial4.pdf

http://www.scienceall.com/contents/contents.sca?todo=archiveraw&bbsid=33&articleid=35425

http://iptv.commres.org/wp-content/uploads/service_woong.JPG

http://smartniptv.tistory.com/entry/IPTV-%EA%B8%B0%EC%88%A0%EA%B0%9C%EC%9A%94-22

http://www.scienceall.com/contents/contents.sca?todo=archiveraw&bbsid=33&articleid=35481

https://www.kocca.kr/knowledge/internal/insu/1212884_4393.html

http://www.ktword.co.kr/abbr_view.php?m_temp1=1716&m_search=IGMP

'Multimedia > 인터넷방송과 IP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bile IPTV  (0) 2016.06.11
스마트TV 기반 멀티스크린 서비스 기술  (0) 2016.06.11
IPTV 1.0/2.0에 대하여 설명  (0) 2015.09.19
인터넷 방송  (0) 2015.09.19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2. 인터넷 방송 서비스 종류

3. 인터넷 방송 기술

4. 인터넷 방송시스템 구조

5. 인터넷 방송 트래픽 전송 구조

 

 

 

 

 

1. 개요

 - 인터넷 방송이란 동영상, 데이터 정보 등의 콘텐츠를 푸시(Push) 및 스트리밍(Streaming) 기술을 기반으로 인터넷 또는 고속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기술

 - 인터넷 방송은 기존 방송과는 달리 사용자 스스로가 원하는 방송 시간과 내용을 선정, 재구성하여 시간/공간의 제약 없이 수신할 수 있음

 - 인터넷 방송은 Best Effort Multicasting 방식인 반면 IPTV는 QoS가 보장된 Multicasting 방식이다

 - 인터넷 방송이 기존 공중파 방송보다는 서비스 이용자가 한정돼 있지만, 주문형 뉴스/교육 서비스, 원격 진료, 원격 강의 등의 분야에서 활발히 이용됨



2. 인터넷 방송 서비스 종류

  - 인터넷 방송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전송방식에 따라 크게 다음 두 가지로 구분된다

 2.1 주문형(On-demand) 서비스

     - 'Pull 서비스' 모델

     - 개별고객의요구에따라컨텐츠종류,타입및전송 속도등이달라질수있으며,고객은원하는 시간대에 원하는 콘텐츠를 수신할 수있다또한,고객의 요구에 따라 반복재생 등의 콘텐츠 조작이 가능

  2.2 생중계(live broadcasting) 서비스

      - 인터넷 생중계 서비스는 push service모델에 해당

      - 방송으로 비유하면 녹화방송이 아닌 특정 이벤트의 실황중계에 해당

  

3. 인터넷 방송 기술

 3.1 영상/오디오 압축 기술

 3.2 IP Multicasting

 3.3 Push 및 Streaming 기술

     가. Push 기술

        - 이용자가 정보를 얻기 위해 웹사이트를 일일이 찾아볼 필요가 없이 정보제공자가 주기적으로 컴퓨터 화면에 직접 밀어넣어(Push)주는 기술

        - 현재 PC 통신사들이 제공하고 있는 뉴스 속보와 유사한 형식의 서비스를 가능하게 해줌

     나. Streaming 기술

        - 실시간 영상 압축복원기술

        - 인터넷상에서 동영상, 오디오 및 멀티미디어를 보고 듣는데 필수적 기술로 파일을 다운로드 함과 동시에 재생해주므로 실시간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기술임      


4. 인터넷 방송시스템 구조

 - 서버의 경우 실제 배치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겠지만 대개 웹 서버와 스트리밍 전송을 담당하는 스트림 서버로 구성된다

 - 또한, 콘텐츠를 생성 혹은 가공하는 인코더와 생성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이 요구

 - 주문형 서비스의 경우, 스토리지 디바이스에 저장된 컨텐츠가 스트림 서버를 통해 고객에게 전달되며, 생방송 서비스의 경우 인코더를 통해 생성된 컨텐츠는 곧바로 스트림 서버를 통해 고객에게 전송된다.

 - 고객이 CP(Contents Provider)의 웹 서버에 접속하 여 관련 컨텐츠를 요청하면, 웹 서버는 생방송/주문형서비스 및 콘텐츠요구에 따라 적절한 스트림서버를 선택하고, 선택된 스트림 서버는 인터넷을 통해 고객에게 데이터를 전송


5. 인터넷 방송 트래픽 전송 구조

  - 인터넷 데이터 전송방식은 크게 유니캐스트와 멀티캐스트로 구분


  - 주문형 서비스처럼 개별 고객의 특성화에 기초한 콘텐츠 전송에는 유니 캐스트 전송이 적합하지만, 생방송 서비스의 경우 동시에 수많은 가입자에게 콘텐츠를 전송해야 함에 따라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성 측면에서 멀티캐스트 전송이 절실히 요구

 5.1 Unicast

     - 현재 인터넷 방송 서비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전송 방식으로, 송신자와 각 개별 수신자간에 TCP/IP 혹은 UDP/IP 유니캐스트 연결을 통해 데이터 패킷이 전송

     - CP 송신자와 각 수신 고객간에 개별적인 유니캐스트 연결을 통해 데이터가 전송된다. 각 수신자는 CP의 웹 서버에 접속하여 콘텐츠를 요청하고 CP는 스트림 서버를 이용하여 해당 콘텐츠를 전송

     가. 장점

        - CP와 고객간에 직접적인 연결이 설정되므로 CP 입장에서 개별 고객에 대한 접속 정보, 콘텐츠 이용 정보 및 트래픽 통계자료 등을 쉽 게 얻을 수 있어 과금 및 고객관리 정책을 수립하기에 유리하다.

      나. 단점

        - 접속자 수 만큼의 유니캐스트 연결이 설정되므로 많은 네트워크 대역폭이 요구되며, 송신 서버 시스템의 부하가 많이 걸린다

        - 대규모 그룹으로 구성되는 인터넷 방송서비스 및 생방송 서비스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한계를 지닌다.

    

 

  5.2 중계기 서버 기반 유니캐스트 중계(Relay Server based Unicast Relay)

      - 지역별 혹은 ISP 도메인별 중계기 서버(relay server)가 위치하여, CP의 송신 트래픽을 수신자에게 중계해 주는 방식이다. CP에서 중계기 서버 및 중계기서버에서 수신 고객간에는 모두 유니캐스트 연결을 사용한다.

      - 송신 트래픽은 각 중계기 서버에 유니캐스트로 전송되며, 개별 고객들을 지리적으로 가까운 위치의 중계기서버로부터 유니캐스트 연결을 통해 인터넷 방송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게 된다.

      -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CDN 기술은 “중계기 서버 기반 유니캐스트 중계” 방식의 대표적인 예

      가. 장점

         - 기존의 ‘Pure Unicast’ 방식에 비해 네트워크 대역폭 및 송신시스템 자원의 이용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 가까이에 있는 중계기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CDN의 경우 각 CP는 콘텐츠들을 미리 여러 대의 CDN 중계기서버에 분배해 놓는다. 고객이 웹 서버 등을 통해 컨텐츠 전송을 요구하면 CP는 고객과 가까이에 위치한 최적의 CDN 중계기서버를 찾아 고객에게 응답하고 고객은 해당 중계기서버에 접속하여 콘텐츠를 수신
      나. 단점

         - 생중계 서비스의 특징은 수많은 동시 접속자와 실시간 데이터의 seamless 전송에 있는데 비해, CDN은 기본적으로 유니캐스트 중
계 전송에 의존하므로 동시 접속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 대처 능력에 한계


  5.3 멀티캐스트(Pure Multicast)

       - CP는 웹 서버를 통해 멀티캐스트 세션을 생성하고, 고객들에게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세션 정보를 공지한다. 고객들은 CP의 웹 서버로부터 관련 정보를 얻은 후 멀티캐스트 세션에 가입하고 네트워크에서 멀티캐스트 연결을 설정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네트워크 라우터간에 멀티캐스트 트리가 형성 

       - CP가 전송한 데이터는 네트워크의 멀티캐스트 트리를 통해 각 고객들에게 전달된다. 별도의 중계기서버는 사용되지 않는다.

      가. 장점

         - 멀티캐스트 방식은 수많은 동시 접속자를 갖는 인터넷 생중계 방송 서비스에 매우 적합한 전송방식이며, 이론적으로 무대의 수신자들에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수신자에 도달하기까지 패킷 전송이 모두 네트워크 계층에서 이루어지므로 패킷 전송시간이 매우 짧다.

      나. 단점

         - 생중계 서비스에는 적합한 반면에, 개별 고객에게 특성화된 콘텐츠 및 품질을 제공하는 주문형 방송 서비스에는 적합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


  5.4 중계기서버 기반 멀티캐스트 (Relay Server based Multicast)

      - 멀티캐스트가 지원되지 않는 인터넷 백본망에서는 — ISP 간 IX(Internet eXchange)포함 — 유니캐스트 연결을 사용하고, 멀티캐스트가 지원되는 지역 망에서는 중계기서버를 이용하여 개별 고객과의 멀티캐스트 연결을 사용

      - CP에서 각 지역 망의 중계기서버까지는 유니캐스트 연결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중계기서버는 개별 고객들에게 멀티캐스트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

      - 유니캐스트와 멀티캐스트의 혼합 전송 방식으로서, 멀티캐스트 도입 전망에 따른 현실적인 대안


  5.5 전송방식별 비교 분석

   유니캐스트  중계기서버 기반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중계기서버 기반
멀티캐스트
 Target service  주문형  주문형  생중계  생중계
 자원 이용 효율성  매우 낮음  낮음  매우 높음  높음
 동시 접속자 수  매우 적음  적음  매우 많음  많음
 콘텐츠 및 고객 관리  용이함  비교적 용이함  별도관리 요구됨  별도관리 요구됨
 전송서비스 품질  낮음  높음  매우 높음  높음
 



 



http://protocol.knu.ac.kr/pub/2002-6-trend.pdf

인터넷방송을 위한 멀티캐스트 기술동향.pdf


http://linuxism.tistory.com/1267

Steaming_기술_이해.pdf



 

Posted by 둔탱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