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사용자는 스마트TV를 중심으로 다양한 스마트 장치를 연결하여 방송과 통신, 웹, 홈네트워크가 결합된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요구함
2. 멀티스크린 서비스 발전 방향
3. 멀티스크린 서비스 기술
가. 콘텐츠 부호화 기술
1) SVC(Scalable Video Coding)
- 계층적인 코딩방식
- 하나의 비트스트림으로 다양한 해상도, 프레임율, 화질을 갖는 영상을 서비스 할 수 있는 압축 기술
2) RVC(Reconfigurable Video Coding)
- Config 정보를 보내어 수신측에서 decoder를 구성할 수 있는 압축기술
- 다양한 스마트 기기와 미디어에 보다 능동적으로 대처 가능
- 기존 비디오 부호화 코덱이 고정된 형태로 설계되어 왔다면, RVC는 비디오 코덱을 세부 부 호화/복호화 기능 중심의 모듈화를 통해 보다 유연하게 재구성 가능한 형태로 설계
3) 분산 비디오 부호화(Distributed Video Coding, DVC)
- DVC는 기존 부호화기의 부하를 복 호화기 측에서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
- 비디오 부호화기의 움직임 추정과 같이 계산량이 많이 소요되는 과정을 복호화기로 이동시킴으로써 경량화 비디오 부호화를 가능하게 하는 압축 기법
- 기존 비디오 부호화 기법은 주로 장치의 연산 자원을 최대로 활용하여 압축률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개발되어 휴대 단말기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는 기법
-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압축방식이 DVC 기법으로 휴대용 단말기나 센서망 등에서 활용이 증가
나.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기반 적응형 미디어 전송
- 스마트TV에서는 방송 및 인터넷 등 다양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연동하여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가능
다. 서비스 발견 및 제어 기술
- 스마트TV를 중심으로 홈 네트워크와 웹 에 연결된 멀티스크린 장치 및 서비스를 발견하고 제어 하기 위한 기술
- DLNA/UPnP, Apple AirPlay/Bonjour, Google Second-screen App/Anymote 등이 있음
스마트TV 기반 멀티스크린 서비스 기술 동향 (1).pdf
'Multimedia > 인터넷방송과 IP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bile IPTV (0) | 2016.06.11 |
---|---|
IPTV 1.0/2.0에 대하여 설명 (0) | 2015.09.19 |
IPTV 서비스 및 기술진화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 | 2015.09.19 |
인터넷 방송 (0) | 2015.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