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 송, 중계소 시스템 설계 및 구축
3. 송, 중계소와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과의 차이
4. 맺음말
1. 개요
- 방송망은 연주소, 송신소, 중계소, TVR 등으로 구성
- 송신소는 연주소에서 전송 받은 프로그램을 직접 송신하는 곳(연주소에서 비교적 가까운 곳, 링크 구성이 용이한 곳)
- 중계소는 연주소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전파가 수신되지 않은 지역을 대상으로 방송하기 위해 설비를 갖춘 곳
- 간이중계소(TVR)는 방송 전파를 수신하여 채널을 변경하여 중계하는 곳, 보통 500W 이하
2. 송, 중계소 시스템 설계 및 구축
- 송·중계소는 송신설비와 구축물로 크게 구분됨
- 송신설비로는 Microwave 장비, 송신기, 안테나, 전원설비가 이에 해당되고, 구축물로서는 송신설비가 설치되는 청사와 방송 프로그램 수신 및 송신 안테나 등이 부착되는 철탑이 이에 해당됨
- 지상파 DTV방송 사업자가 송신소를 구축하기위해 미래창조과학부에 무선국개설 허가를 신청
- 해당사업자는 송신점, 송신설비(송신출력, 주파수, 송신점 높이, 안테나형식 등), 구축물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함
가. 송신점의 선정
- 관할 방송구역내에 전파서비스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 것
- 건설비를 절약할 수 있는 장소이며 기기 반입이 용이한 곳
- 전원선 인입이 용이해야 함
- M/W 등 회선구성이 용이해야 함
- 자연재해의 영향이 적은 곳을 선택
- 주변 환경을 해손하지 않아야 함
- 임대차 관계 확인
- 유지보수 인력이 접근이 용이해야 함
나. 송신설비
1) 주파수
- 낮은 채널을 우선적으로 검토
- 주파수가 높을수록 회절 특성이 적고 손실이 크다
2) 송신 출력
- 출력이 높아지면 전계강도도 좋아짐
- 타방송에 혼신을 초래할 염려 있음
- 출력이 높아지면 투자 비용이 유지보수 비용이 높아짐
- 안테나 이득 및 서비스 지역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송신 출력 선정
3) 송신점의 높이
- 송신점이 높을 수록 더 멀리 전파됨
4) 안테나 이득
- 안테나 실효 복사전력이 커짐
- 동일 지점에서 동일한 전계를 얻는다고 가정할 때, 안테나 이득이 높으면 송신기 출력이 적어도 됨
5) 틸트
- 안테나를 수평면에서 얼마나 경사를 갖고 있는지를 의미
- 틸트각을 조정하여 방사된 전파가 공중에서 낭비되는 것을 방지
- 서비스 지역을 고려하여 안테나 방향 및 틸트각 설계
- 기계적인 방법과 전기적인 방법이 있음
6) 중계기 및 TVR
- 신뢰성 있는 장비 선정
- Auto 운용 및 원격 운용에 대한 충분한 검토
7) 전원부
- 서지 방지 대책 수립, 서지 흡수기 설치
다. 구축물 관련
1) 타워
- 대부분 사각 자립식 타워 사용
- 보통 40~50M 정도의 높이
- 항공기로부터 보호를 위한 항공등 설치
- 지진 및 태풍으로부터 강인하도록 설계
2) 피뢰 및 접지 시설
- 타워 상단에 피뢰기 설치하여 낙뢰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함
- 통합접지방식 이용
3) 청사
- 소음 차단문제
- 청사와 타워와의 이격거리는 최소화
- 예비 장치 설치공간 고려
- 유지 보수 인력들에게 쾌적한 근무환경 조성
- 장비 모니터 방안 수립
3. 송, 중계소와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과의 차이
4. 맺음말
- 다른 방송 및 통신 시스템에 혼신을 주지 않도록 충분히 검토하여야 함
- 송신설비의 안정적 동작 및 유지보수 인력의 안전을 최우선으로하여 송, 중계소를 검토하여야 함
'Multimedia > 지상파D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PSIP (0) | 2016.06.10 |
---|---|
DVB-T2_작성 (0) | 2016.05.27 |
지상파방송의 난시청대책 (0) | 2015.09.18 |
아날로그 TV와 디지털 TV를 비교하고 미국, 유럽, 일본 방식의 특징을 설명하시오 (0) | 2015.09.18 |
8VSB (0) | 2015.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