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 AT-DMB 서비스 개념도

3. AT-DMB의 주요 기술

4. AT-DMB의 전송모드

5. 향후 전망 및 문제점

 

 

1. 개요

 - Advanced T-DMB

 - 지상파 DMB 방송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전송 속도 향상 및 VGA 급으로 고품질과 다채널 서비스 구현할 수 있는 차세대 지상파 DMB임

 - 기존 지상파 DMB와 역호환성 보장

 

2. AT-DMB 서비스 개념도

  - 현재의 T-DMBHP채널을 통해 변조되는 기본계층의 AV스트림을 디코딩하게 되어 기본 품질의 AV서비스를 제공

  - AT-DMB는 계층변조에 의해 HP 채널 및 LP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기본계층 및 강화계층의 AV스트림을 동시에 디코딩하여 고품질의 AV 서비스를 제공받게 됨

 

3. AT-DMB의 주요 기술

 - SVC(Scalable Video Coding)와 계층 변조 기술이 있음

 - 위 2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 속도를 2Mbps로 2배 가량 향상시켜, 동일한 주파수 대역폭에서 채널수를 2배 증가시키거나, 화질을 2배 향상시키는 것임

 

 가. SVC(Scalable Video Coding)

     - 하나의 비디오를 여러개의 비트 스트림으로 코딩해 전송하는 기술

     - SVC인코더에서 출력되는 기본계층(Base layer) 및 강화계층 스트림은 각각 HP채널 및 LP채널로 입력되어 계층 변조됨

    - 다채널 서비스를 실시할 경우에는 SVC 기법을 사용하지 않고 기존 H.264 코딩 기법 사용

    - 고품질 서비스는 기존의 비디오 부호화 기법이 H.264 대신 SVC 코딩기법을 사용하여 VGA(640×480) 서비스를 제공함

 

 나. 계층 변조 기술

    - 계층변조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역방향 호환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유효 데이터 전송률을 향상

    - 현재 T-DMB의 전송신 호에 해당되는 HP 채널 스트림은 현재의 전송표준에 부합되게 π/4- DQPSK 심볼로 매핑된 후 주파수인터리빙

    - 계층변조를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LP 채널 스트림이 입력되어, 계층변조기(hierarchical modulator)에서 LP 심볼로 맵핑

 

 

4. AT-DMB의 전송모드 

 - AT-DMB의 계층변조 모드는 B모드와 Q모드가 있음.

  - B-모드는 LP심볼이 BPSK로 변조된 것이며 기존 T-DMB에 비하50%의 전송용량이 증가되며 이동환경에 적합한 방식임.

 - Q-모드는 LP심볼이 QPSK로 변조된 것이며 기존 T-DMB에 비하여 100%의 전송용량이 증가되며 고정환경에 적합한 방식임.

 

 

5. 향후 전망 및 문제점

  - AT-DMB(Advanced T-DMB)는 가용 서비스채널이 부족한 지상파 DMB의 채널용량을 증대시킴으로써 다채널 서비스와 VAG급의 SD화질을 선택적으로 구현

 - 그러나 AT-DMB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T-DMB 송신장비 등의 일부는 교체해야 하며 기존의 지상파 DMB 단말기를 갖고 있는 사람들은 AT-DMB 서비스를 즐길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음

Posted by 둔탱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