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트래픽 분석 필요성을 설명하고, 분석방법 중 SPI(Stateful Packet Inspection)와 DPI(Deep Packet Inspection) 에 대하여 비교 설명
Internet/정보보안 2015. 10. 16. 09:131. 개요
2. 실시간 트래픽 분석 필요성
3. SPI
4. DPI
5. 상호비교
1. 개요
- 최근 인터넷 보안 침해 및 위협요소의 증가와 멀티미디어의 증가 및 트래픽 폭증으로 인해 네트워크 트래픽의 실시간 분석이 요구되고 있음
- 실시간 분석을 위한 기법으로는 네트워크 방화벽 시스템에서 패킷을 검사하는 SPI와 7계층인 어플리케이션까지 실시간 분석하는 DPI가 있음
2. 실시간 트래픽 분석 필요성
- 네트워크 보안, 혼잡관리 및 기타 사업상의 목적에 따라 트래픽 관리의 필요성이 증가
3. SPI
- Stateful Packet Inspection
- 주로 네트워크 방화벽 시스템을 위해 개발되어 온 기술
- 패킷의 헤더 정보를 조사하고 이들 정보가 블랙리스트에 있으면 패킷을 전달하지 않는 방식
- SPI는 세션 및 프리젠테이션이나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읽을 수 없고, 이는 패킷의 페이로드 부분까지 들여다 볼 수 없음을 의미
- 패킷의 헤더 정보만을 통해 트래픽을 판단하기 때문에 트래픽에 대한 정교한 분석(특히, 애플리케이션 관련 추론)은 어렵지만, DPI에 비해 대용량의 트래픽을 매우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4. DPI
- Deep Packet Inspection
- 패킷의 헤더뿐만 아니라 콘텐츠가 담긴 페이로드부분까지 보는 기술
- 5~7계층까지 패킷을 분석, 따라서 DPI는 패킷의 내용까지 보는 기술
- DPI기술은 데이터 보호와 프라이버시 이슈 야기
- 망 중립성은 인터넷망 위에 흐르는 데이터 트래픽을 그 내용, 유형, 인터넷 주소, 제공사업자, 부착된 단말기기 등에 관계없이 동등하게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 그러나 네트워크 보안, 혼잡관리 및 기타 사업상의 목적에 따라 트래픽 관리의 필요성이 증가하면서 트래픽 관리가 망 중립성을 저해하는 것이 아닌지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고 있음
5. 상호비교
구분 |
SPI |
DPI |
조사계층 |
1~3계층 |
1~7계층 |
처리속도 |
빠름 |
느림 |
분석성 |
낮음 |
높음 |
비용 |
낮음 |
높음 |
http://isstory83.tistory.com/category/Security
인터넷 트래픽 관리와 DPI(Deep Packet Inspection).pdf
'Internet > 정보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0) | 2015.11.17 |
---|---|
단답형>AAA (1) | 2015.11.10 |
네트워크 보안기술을 계층별로 분류하고 보안대책을 논하시오 (0) | 2015.10.01 |
웹(Web) 보안 취약점 5가지 (0) | 2015.10.01 |
단답형>UTM(Unified Threat Management) (0) | 2015.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