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 무선망 최적화 목적

3. 최적화 방법

  3.1 기지국 최적화

  3.2 무선환경 최적화

  3.3 시스템 최적화



1. 개요

 - 무선망 설계에 제시된 품질과 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해, 전파환경을 분석하고 각 기지국에 운용되는 무선구간, 파라미터, 안테나 등을 조정하여 기지국별 통화량을 적절히 분산하고 잠재 수용 용량을 최대로 확보하는 일련의 작업

 - 지속적으로 무선환경 측정데이터와 통화량 통계 데이터, 호 절단 원인 및 장애분석 데이터를 분석하여 단계적이며 체계적으로 최적화 수행

 

무선망 엔지니어링 단계

 


 

 

 

 

 

 

 

 

 

 

 

 

 

 

 

2. 무선망 최적화 수행사항

 구분 수행사항 
 커버리지 확보 - 음영지역 해소방안 강구 
 절단율 향상 - 호 절단 및 실패 요인 분석, 방안 강구
 옥내 커버리지 확보 - 통화량 밀집 지역의 옥내 커버리지 확보 방안 강구 
 통화량 균등 배분 - 기지국별 및 섹터별 통화량 균등 배분 수행 



참조> 무선환경 측정

 - 측정방법

   > 측정장비를 이용하여 차량에서 측정(도로 측정)

   > 사람이 직접 단말기를 사용한 측정(지하 및 인 빌딩 측정)

   > 사람이 노트북을 사용한 측정(철도 및 지하철)

 - 측정 장비로 무선환경을 측정하여 음영지역 및 통화 불량지역 파악 가능


3. 최적화 방법

 - BTS 최적화, 무선환경 최적화, 시스템 최적 화

 3.1 기지국 최적화

    가. 기지국 별 출력 확인 및 조정

       - 기지국 출력은 오버헤드 채널과 트래픽 채널 출력이 총 합계가 16W(42dBm)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조정

    나. 기지국 별 파라미터 확인 및 조정

       - PN offset 확인

       - 이웃 목록 확인

 3.2 무선환경 최적화

   - 호 실패 조사에 따른 안테나 방향 및 다운 틸트, 안테나 종류 변경, 설치위치 높이 조정 등

    가. 기지국 호 시험

        - 도심지역의 기지국 호 시험

        - 국도변이나 산간지역의 기지국 호 시험

        - 소프트 핸드오프 기능의 확인

    나. 기지국 안테나 조정

        - 커버리지 시나리오에 따라 안테나의 방위각 조정

        - 최대 커버리지를 얻기 위한 안테나 틸트 조정

        - 간섭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한 안테나 틸트 조정

    다. 기지국 통화량 분산

        - 각 기지국의 통화량이 증가하면 통화채널에 할당되는 전력이 늘어나 전체 기지국 출력이 증가하면서 상대적으로 파일롯 채널이 차지하는 전력비가 작아져서 그만큼 모든 커버리지 영역에서 Eb/No가 감소

        - 섹터간 커버리지 조정

        - 인접 셀간 커버리지 조정

  3.3 시스템 최적화

     - BTS, BSC 별 콜 드롭 원인 점검 및 BSC의 주요 프로세서 오버로드 파악 및 조치

     - 페이징 위치 등록 루트의 적정성 확인과 핸드오프가 안되거나 핸드오프 절차상의 문제로 인해 끊어진 호를 최소화 

 

<참조>

Eb/No(Energy per Bit/Noise Spectral Density)

 - Eb/No는 아날로그 통신시스템의 주요 성능평가 특성인 SNR을 정규화한 것

 - 통신시스템 관점에서 Eb/No가 최소가 되는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이 목적

 

 


 

 

4-5._무선통신시스템의_기지국_최적화_작업에_대해_설명하시오..hwp

 

Posted by 둔탱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