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 무선망 최적화 목적
3. 최적화 방법
3.1 기지국 최적화
3.2 무선환경 최적화
3.3 시스템 최적화
1. 개요
- 무선망 설계에 제시된 품질과 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해, 전파환경을 분석하고 각 기지국에 운용되는 무선구간, 파라미터, 안테나 등을 조정하여 기지국별 통화량을 적절히 분산하고 잠재 수용 용량을 최대로 확보하는 일련의 작업
- 지속적으로 무선환경 측정데이터와 통화량 통계 데이터, 호 절단 원인 및 장애분석 데이터를 분석하여 단계적이며 체계적으로 최적화 수행
무선망 엔지니어링 단계
2. 무선망 최적화 수행사항
구분 | 수행사항 |
커버리지 확보 | - 음영지역 해소방안 강구 |
절단율 향상 | - 호 절단 및 실패 요인 분석, 방안 강구 |
옥내 커버리지 확보 | - 통화량 밀집 지역의 옥내 커버리지 확보 방안 강구 |
통화량 균등 배분 | - 기지국별 및 섹터별 통화량 균등 배분 수행 |
참조> 무선환경 측정
- 측정방법
> 측정장비를 이용하여 차량에서 측정(도로 측정)
> 사람이 직접 단말기를 사용한 측정(지하 및 인 빌딩 측정)
> 사람이 노트북을 사용한 측정(철도 및 지하철)
- 측정 장비로 무선환경을 측정하여 음영지역 및 통화 불량지역 파악 가능
3. 최적화 방법
- BTS 최적화, 무선환경 최적화, 시스템 최적 화
3.1 기지국 최적화
가. 기지국 별 출력 확인 및 조정
- 기지국 출력은 오버헤드 채널과 트래픽 채널 출력이 총 합계가 16W(42dBm)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조정
나. 기지국 별 파라미터 확인 및 조정
- PN offset 확인
- 이웃 목록 확인
3.2 무선환경 최적화
- 호 실패 조사에 따른 안테나 방향 및 다운 틸트, 안테나 종류 변경, 설치위치 높이 조정 등
가. 기지국 호 시험
- 도심지역의 기지국 호 시험
- 국도변이나 산간지역의 기지국 호 시험
- 소프트 핸드오프 기능의 확인
나. 기지국 안테나 조정
- 커버리지 시나리오에 따라 안테나의 방위각 조정
- 최대 커버리지를 얻기 위한 안테나 틸트 조정
- 간섭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한 안테나 틸트 조정
다. 기지국 통화량 분산
- 각 기지국의 통화량이 증가하면 통화채널에 할당되는 전력이 늘어나 전체 기지국 출력이 증가하면서 상대적으로 파일롯 채널이 차지하는 전력비가 작아져서 그만큼 모든 커버리지 영역에서 Eb/No가 감소
- 섹터간 커버리지 조정
- 인접 셀간 커버리지 조정
3.3 시스템 최적화
- BTS, BSC 별 콜 드롭 원인 점검 및 BSC의 주요 프로세서 오버로드 파악 및 조치
- 페이징 위치 등록 루트의 적정성 확인과 핸드오프가 안되거나 핸드오프 절차상의 문제로 인해 끊어진 호를 최소화
<참조>
Eb/No(Energy per Bit/Noise Spectral Density)
- Eb/No는 아날로그 통신시스템의 주요 성능평가 특성인 SNR을 정규화한 것
- 통신시스템 관점에서 Eb/No가 최소가 되는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이 목적
4-5._무선통신시스템의_기지국_최적화_작업에_대해_설명하시오..hwp
'Telecommunication > 이동통신 RF특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 (0) | 2015.09.19 |
---|---|
주파수 사용효율 개선 기법과 송/수신 다이버시티 기법을 이용한 효율 향상 기술 설명 (0) | 2015.09.19 |
OFDM 다중접속방식, 동일채널간섭(CCI, Co-Channel Interference) 감소 방안 (0) | 2015.09.19 |
동일채널 간섭과 타채널 간섭에 대하여 기술하고 채널간섭 경감 대책을 설명 (0) | 2015.09.19 |
셀룰러 방식에서 동일 주파수 간섭을 줄이고 기지국 서비스 지역을 확대시키는 방안 (0) | 2015.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