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TEMPEST:Transient Electromagnetics Pulse Surveillance Technology

 - “통과 전자파 감시기술”의 약자로 지향성이 좋은 안테나를 목적하는 전자기기 쪽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수십 미터 떨어진 장소에서도 키보드의 접속 케이블이나 네트워크 케이블,USB커넥터 등에서 나오는 미약한 신호를 검출하는 기술임

 - 건물의 기둥이나 수도관 등이 도전성의 소자로 되어 있는 경우, 전자파를 전하 는 매개체가 될 수도 있어, 건물 밖에 노출되어 있는 관에 리드선을 연결하여 전자파 도청을 하기도 함

 - 컴퓨터나 주변기기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는 VCC(Current Circuit Voltage) 규격에 의해 규제값이 정해져 있음

- 규제값을 충족시키고 있는 기기라도, 전자파가 완전히 차단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극히 약한 수준의 전자파가 누출되고 있음

- 하드웨어의 교환,증설 등에 따라 규제값 이상의 전자파을 발생시키게 되는 경우도 있음

 

Ⅱ. TEMPEST규격

 - CISPR, FCC등의 기구에서는 정보통신기기에서 발생하는 도청을 방지하기 위해 전원선이나 방사에 의해 정보가 누출되지 않도록 주파수에 따라 일정한 기준을 두고 규제하고 있음

 

Ⅲ. 보호대책

 (1) Black Zone 대책 - 탐색장비 등으로 수시로 탐색 후 유·무선 도청 방지기를 필요장치에 일일이 설치

 (2) Pink, Red Zone 대책 Pink, Red Zone  설정 후 정도에 맞게 불요전자파 차폐막 설치 및 보호조치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 신호파형의 각 사이클을 펄스양자화하여 단위시간에 그 개수를 세고 1초당 펄스 개수를 직접 Hertz(Hz)로 표시하는 측정기를 말함

 

2. 구성 및 원리

 - 구성도 및 각부의 파형 변화 모습

 - 피측정파 ①을 증폭부에서 증폭

 - 방형 정형부에 가하여 상하를 절취 (Slice)시켜서 ②와 같은 구형파

 - 미분 회로에 통과시켜 ③과 같은 미분파형을 만들어 정펄스(+)만 을 택하여서 ④와 같은 펄스

 - 게이트부에서 계수시간 만큼 게이트부 통과

 - 계수부에서는 들어온 ⑥의 펄스수를 세어서 표시부로 표시

 

3. 측정 시 주의사항

 - 전원을 인가한 후 예열 시간을 충분히 가질 것

 - 기준 발진기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높은 정확도를 가진 주파수에 교정하여 측정

 - 입력 임피던스를 높게하여 피측정 회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할 것

 - 고입력 전압에 의한 입력회로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도가 낮은 곳에 놓고 입력을 가한 후 차례로 감도를 올릴 것

 - ±1 Count오차를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값으로부터 한 자리 정도를 높게 읽을 수 있도록 게이트 시간을 조정할 것

 - 피측정파의 파형에 왜곡(Distortion)이 있으면 측정값에 오차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트리거 레벨 (Trigger lever)의 설정에 주의할 것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2. 기하학적 가시거리와 전파 가시거리

3. 등가지구 반경

4. 전파투시도

 

 

 

1. 개요
  - 전파는 곡선으로 진행하나 계산의 편의상 직선적으로 진행한다고 보기위해 가상적인 등가지구반경을 적용

  - 가상적인 등가지구 반경과 실제지구반경의 비를 나타낸 것이 등가지구 반경계수임

  - 등가지구반경을 적용한 수직 지형단면도를 전파투시도라 함

 

2. 기하학적 가시거리와 전파 가시거리

  가. 기하학적 가시거리

     - 지구는 반지름이 6370[km]인 큰 구라고 볼 수 있으므로 기하학적으로 볼 수 있는 거리는 짧음

     - 기하학적 가시거리 d는

 

  나. 전파 가시거리

     - 우리나라의 경우 실제 지구보다 4/3배 만큼 더 큰 지구반경을 가상하면 전파통로는 거의 직선이 되어 전파통로를 구하기가 쉬워짐

     - 전파 가시거리 d'는       

 

3. 등가지구 반경

  - 전파는 곡선으로 진행하나 계산의 편의상 직선적으로 진행한다고 보기위해 가상적인 등가지구반경을 적용

  - 가상적인 등가지구 반경과 실제지구반경의 비를 나타낸 것이 등가지구 반경계수(K)임

  - 실제 지구 반경이 위도에 따라 달라지므로 등가지구 반경계수(K)도 위도에 따라 달라짐

 

   - 등가지구 반경계수(K)는 계절, 기상에 영향을 받음

 

4. 전파투시도

   - 직접파 전파환경에서 송/수신점을 포함한 대지에 수직인 지형 단면도를 전파투시도라 함

   - 수직방향의 장애물을 계산할 때 사용함

   - 우리나라의 경우 등가지구 반경계수를 4/3로 놓고, 전파통로는 직선으로 놓고 그림

  

 

 

<김기남학원 자료>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 무선 통신시스템의 링크 설계에서 송수신이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Link budget 계산

 - 송신측은 최대 가능 출력이 있고 수신측은 최소한의 수신 가능 입력, 수신 감도가 있을 때 이 양단간에 차이를 전송 경로상에 발생하는 감소에 대한 버짓(budget)이라고 함

 - Friis 전력전송방정식을 이용하여 송수신 양단간에 경로 상의 각 단계에서 손실 감쇠 및 이득의 합이 링크버짓을 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

 

2. Friis 전력전송방정식

  - Friis 전력전송방정식은 수신안테나의 전력과 송신안테나의 전력비로 나타냄

 

                                                                 Pr과 Pt는 수신전력과 송신전력

                                                                 Gt와 Gr은 송신안테나와 수신안테나의 이득

                                                                 λ는 사용주파수 파장

                                                                 d는 수신안테나와 송신안테나 사이의 거리

  - 급전선 손실까지 고려한 수신전력 Pr은

   - 수신레벨 = Threshold Level + Fade Margin

  

3. Fade Margin

  - 수신기가 송신 신호를 복구할 수 있는 최저 수신레벨(Threshold level)은 무선전송장치에서 가장 중요한 특성 중에 하나임

  - Fade Margin은 수신 레벨과 수신기 최저수신레벨의 차이임

  - 예를 들면 수신기 입력레벨이 -30dBm인 수신기가 있으면 수신된 입력신호의 레벨이 -30dBm이면 원래 신호를 복구할 수 있으나 실제 페이딩이나 기타 영향으로 인해 수신 전계 강도가 수시로 변하므로 양호한 품질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수신 입력에 여유를 두어야 함----> 이를 Fade Margin이라고 함

   - Fade Margin이 좋을 수록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

 

 

<참조>

 

 http://nicelcw.blogspot.kr/

 

http://www.ktword.co.kr/abbr_view.php?m_temp1=4141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 휴대폰의 사용이 일반화되고, 이로 인해 휴대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인체에 유해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면서 주목 받기 시작한 개념

 - 휴대전화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노출에 대해 인체보호를 위한 노출 제한기준을 전자파흡수율(SAR)로서 정의

 - 전자파흡수율(SAR : specific absorption rate)은 주로 무선주파수 대역에서 노출원과 피노출체 간의 정량화를 위한 것

 

2. SAR 측정

 - SAR(Specific Absorption Rate)이란 단위시간, 질량에 흡수되는 에너지량으로, 인체가 특정 전파를 발생시키는 기기로부터 일정 시간에 어느정도의 에너지를 흡수하는지를 의미

 - 단위는 W/kg으로 kg당 몇 W의 열에너지를 흡수하는가를 나타내며 이 SAR 값이 크면 클수록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큼

 

 

  - 세계 각국에서는 인체, 그 중에서도 특히 머리 부분에 대한 SAR의 허용 기준을 정해 이 기준치를 넘지 않도록 규제

 

구분 

 허용량

 국제기준

 2.0W/kg

 한국, 미국, 캐나다

 1.6W/kg

 


3. 맺음말

 - 방송통신위원회에서는 2013년부터 전자파 흡수율 정책을 확대 시행

  가. 대상기기의 확대

    - 전자파흡수율 측정 대상기기를 핸드폰에서 인체 근접사용 무선기기로 확대할 예정

  나. 측정부위의 세분화

    - 머리 외에 몸통, 팔, 다리 등으로 적용 부위를 세분화할 방침

  다. 측정결과의 공개

    - 기존 제조업체에서 전자파 흡수율 측정결과를 자율적으로 공개하던 것을 방송통신위원회 홈페이지에 일괄적으로 공개하기로 함

 

Posted by 둔탱이
,

1. 열잡음(Thermal noise)

2. 최소수신레벨

 

1. 열잡음(Thermal noise)

 가. 발생원인

    - 반도체나 저항체등에서 전자의 열운동에 의한 교란으로 나타나는 불규칙한 전위차로 발생하는 잡음

   - 원천적인 제거 곤란

  - 열잡음원은 모든 주파수대에서 단위 대역폭당 같은 양의 잡음전력을 내보내는 백색잡음의 일종

 

나. 잡음전력밀도[mW/Hz]

  - 부하에 전달될 수 있는 최대 잡음 전력

              Pn=KT,     여기서, K:볼쯔만 상수=1.38*10^-23[Joule/K]

                                       T: 절대온도 [K]

 - 상온에서 잡음전력밀도

             Pn=KT=1.38*10^-23[Joule/K]*290[K]=4*10^-21[W]=4*10^-18[mW/Hz]

             10*log(Pn)=10*log(4*10^-18[mW]/1[mW])=-174[dBm/Hz]

 

다. 잡음 전력

  - 대역폭을 갖는 잡음전력

            P=-174+10*log(B)[dBm]

 

2. 최소수신레벨

 - 최소 수신레벨은 아래와 같은 수식으로 정해진다

           Pr[dBm]=-174[dBm]+S/N[dB]+NF[dB]  여기서 S/N: 신호대 잡음비

                                                                             NF: 수신기 잡음지수

 

 

'Wireless_Communication > 무선통신시스템'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iis 전력전송방정식  (0) 2016.03.17
전자파흡수율  (0) 2016.03.17
RF 측정기(Spectrum Analyser 등)  (1) 2015.09.19
Link budget  (2) 2015.09.19
무선송신기의 스퓨리어스 복사 방지 대책  (0) 2015.09.19
Posted by 둔탱이
,

 

1. RF 측정기 개념 및 상호 비교

   1.1 Oscilloscope

   1.2 Spectrum Analyser

   1.3 Network Analyser

   1.4 상호 비교

2. Spectrum Analyser의 용도

3. Spectrum Analyser의 안전한 사용 방법

4. Spectrum Analyser의 기본적인 조작

 

 

 

 

 

1. RF 측정기 개념 및 상호 비교

 - 고주파 신호의 분석과 측정에 흔히 사용하는 있는 측정기에는 Spectrum Analyser, Oscilloscope, Network Analyser 등이 있다

 1.1 Oscilloscope

    - 입력신호를 적당히 가공(증폭, 감쇠)하여 그 파형을 수평축은 시간, 수직축은 진폭으로 한 그래프를 CRT 화면상에 표시해주는 시간영역 측정기이고, 그 이용범위는 아주 넓음

    - 아날로그 오실로스코우프 구조

 

http://m.blog.naver.com/dolicom/10082897666

  1.2 Spectrum Analyser

    - 입력신호를 적당히 가공(증폭, 감쇠)하여 그 파형을 수평축은 주파수, 수직축은 진폭으로 한 그래프를 CRT 화면상에 표시해주는 주파수 영역 분석기임

 

    - 시간영역에서 측정 및 해석이 불가한 매우 복잡한 파형의 해석이 가능하고, Log 척도를 사용하는 넓은 다이내믹레인지를 가지고 있어서 아주 미약한 신호의 측정이 가능

    - 스펙트럼 분석기의 구성도

 

 

 

  1.3 Network Analyser

    - 미리 알고 있는 기준 신호를 고주파 시스템 회로의 입력에 인가하여 그 응답 특성을 주파수 영역에서 분석하는 측정기

    - 반사계수와 투과계수를 종합적으로 측정 가능

    - 방식에 따라 벡터 네트워크 아날라이저와 스칼라 네트워크 아날라이저로 구분됨

  1.4 상호 비교

측정기기   측정영역 용도  수평/수직축
Oscilloscope  시간 영역 신호의 파형 및 진폭의 측정 수평-시간
수직-진폭
Spectrum Analyser  주파수 영역  신호의 주파수 & 레벨 측정
주파수 대역폭 측정
고조파 및 spurious 측정 
수평-주파수
수직-진폭 
Network Analyser  주파수 영역 S parameters(Magnitude,Phase)
Reflection & Transmission
Input/Output impedance
Radiation Pattern 
 



2. Spectrum Analyser의 용도

 - 스펙트럼 아날라이저는 입력을 통하여 들어온 신호의 각 주파수 성분들을 분석하여 각 주파수별 신호의 크기를 표시하여 줌

 - 다음 항목의 측정에 응용되어 질 수 있음

  가. 각 신호의 주파수 & 레벨 측정

  나. 주파수 대역폭 측정

  다. 찌그러짐 측정(Distortion Measurement)

     - 상호변조(Inter-Modulation)

     - 고조파(Harmonics)

     - 변조도 & FM의 주파수 편이 측정

  라. 불요 방사신호(Sprious) 측정

  마. 송, 수신기 교정


3. Spectrum Analyser의 안전한 사용 방법

  - 측정할 신호의 레벨을 잘 모르는 경우에는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한 몇 가지 방법이 있음

  - 항상 입력 감쇄기를 최대로 함  

  - 가능한 최대 기준 레벨로 함

  - 과조하게 큰 신호들이 화면에 나타나는지 주의깊게 살피면서 아날라이저의 입력단에 신호선을 시험적으로 접촉시켜봄

  - 신호선을 안전하게 연결한 후 화면의 가장 큰 신호가 기준 레벨에 일치하도록 기준 레벨을 줄여 나감

  - 파워미터를 가지고 있다면, 신호원을 아날라이저에 연격하기 전에 전력계를 이용하여 신호레벨을 점검함


4. Spectrum Analyser의 기본적인 조작

  - 기준 레벨(Reference Level)

  - 중심 주파수(Frequency)

  - 수평주파수 간격(Span/div)

  - RBW(Resolution Bandwidth): IF 필터의 대역폭

                                            RBW를 줄이면 신호 분해능을 높아지고 노이즈 레벨이 떨어지나 측정속도는 느려짐

  - VBW(Video Bandwidth Resolution) : Video filter의 대역폭  

  - Dynamic Range: 측정기에 입력되는 신호의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최대 레벨과 최소레벨간의 범위를 말함

                            최대 레벨은 내부 믹서단의 입력 감쇄기에 의해 결정되며, 최소 레벨은 RBW에 의해 결정

 

 

 

 

시간영역과 주파수 영역에서 정보통신 신호를 각각 관찰할 수 있는 측정기기를 설명, 두 영역에서의 신호를 연결하는 수학적인 방법을 설명

 

1. 개요

2. 오실로스코프

3. 스펙트럼 아날라이져

4. 측정기 비교

5. 두 영역에서의 신호를 연결하는 수학적인 방법

 

 

1. 개요

  - 정보통신분야의 신호는 시간이나 주파수 함수를 표현할 수 있음

  - 시간영역에서 신호를 분석할 수 있는 오실로스코프와 주파수영역에서 신호를 분석할 수 있는 스펙트럼 아날라이져가 있음

 

2. 오실로스코프

  - 오실로스코프는 시간에 따른 입력전압의 변화를 화면에 출력하는 장치

  - 오실로스코프는 관측하는 신호가 시간에 대하여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조사하는 것이 주목적

  - 보통 브라운관의 수직축에 신호의 크기를 Volt로, 수평축은 시간을 나타냄

 

3. 스펙트럼 아날라이져

 - 스펙트럼 아날라이저는 입력을 통하여 들어온 신호의 각 주파수 성분들을 분석하여 각 주파수별 신호의 크기를 표시하여 줌

 - 수평축은 주파수, 수직축은 진폭으로 한 그래프를 CRT 화면상에 표시해주는 주파수 영역 분석기임

 - 시간영역에서 측정 및 해석이 불가한 매우 복잡한 파형의 해석이 가능

 

4. 측정기 비교

측정기기   측정영역 용도  수평/수직축
Oscilloscope  시간 영역 신호의 파형 및 진폭의 측정 수평-시간
수직-진폭
Spectrum Analyser  주파수 영역  신호의 주파수 & 레벨 측정
주파수 대역폭 측정
고조파 및 spurious 측정 
수평-주파수
수직-진폭 


 

5. 두 영역에서의 신호를 연결하는 수학적인 방법

 - 시간영역의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화하는 알고리즘인 푸리에변환임.

 - 푸리에 변환은  알고리즘 구현의 복잡성 때문에 실제 구현 시에는 FFT알고리즘에 의해 시간영역의 신호를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표현됨

  - FFT(Fast Fourier Transform)에 의해 시간영역의 신호를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표현됨

 

 

 - 적절한 입력 신호 레벨을 조정할 수 있는 가변 감쇄기 통과 후 LPF를 통과시켜 고주파 성분 제거함

 - 시간축에 입력되는 신호를 고속 Sampling 후 ADC를 거쳐 디지털화된 데이터를 FFT하여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가 Display됨

Posted by 둔탱이
,

[문제]

Link budget에 대하여 설명하고, 아래와 같은 사항을 만족하는 로켓트가 달에 착륙해 있을 때 수신 전력이 10dBm이 되기 위한 송신 전력[dBm]을 계산하시오(계산은 소숫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시오)

       송신안테나 이득(Gt)=10dB

       수신안테나 이득(Gr)=45dB

       사용주파수(f)=1000MHz

       거리(r)=200,000km

 

 

1. Link budget

2. 주어진 조건에서 송신전력 계산

 

 

1. Link budget

  - 무선 통신시스템의 링크 설계에서 송수신이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Link budget 계산

  - 송신측은 최대 가능 출력이 있고 수신측은 최소한의 수신 가능 입력, 수신 감도가 있을 때 이 양단간에 차이를 전송 경로상에 발생하는 감소에 대한 버짓(budget)이라고 함

  - 송수신 양단간에 경로 상의 각 단계에서 손실 감쇠 및 이득의 합이 링크버짓을 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

  - 링크 버짓은 거의 모든 무선통신에서 전파의 전송경로를 평가하는 기본적인 기법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또한 광통신에서도 적용되고 있음


<Background knowledge>

모든 방향으로 똑같은 전력밀도가 진행하는 등방성 안테나에서

  전력밀도 S

  송신(출력)전력 Pt 

위 전력밀도가 모든 안테나에 대해서 성립하는 건 아니지만, 전력은 전자파가 진행할 수록 1/r^2로 감소한다는 건 똑같다 

(전자파의 고유한 성질)

어느 지점에서 전자파의 전력을 측정했더니 P 였다고 하면, 거기서부터 r 만큼 더 진행한 거리에서 전력을 측정하면

 이 된다.

두개의 안테나가 서로 r만큼의 거리를 두고 떨어져있다. 만일 이 안테나들이 효율 ηe e =100%, 즉 손실저항 (Rl ) 성분을 갖고 있지 않다면, 송신 안테나에서 출력되어 안테나 바로 바깥에서 본 전력은 PtGt

여기서 Gt는 송신안테나의 이득이다. 이렇게 방사된 전력이 r만큼 진행을 해서 수신 안테나 가까이에 도달했다면 그때의 전력은 

여기서 Gr은 수신안테나의 이득이다. 위 수식은 별로 복잡하지 않은 수학적인 증명을 통해 나왔으며, 여기서 직접 증명과정을 보여주진 않겠지만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제 안테나의 유효면적 또는 실효면적을 정의할 수 있으며 아래와 같이 쓴다.

 위 실효면적의 정의는 수신 안테나의 이득이 크면, 수신전력이 크다는 의미이다. 즉, 실효면적이 크면 클수록 수신 전력이 크다는 것을 뜻한다. 전파망원경 내지 우주망원경을 왜 그렇게 크게 만드는지 생각해보면 직관적인 이해가 가능하다.

 수신 안테나로 수신한 전력을 다시 써보면, 

전자파 (전파)가 진행(전파)할 때 어떤 성질을 가지는지 설명해주고 있다.

 λ가 클수록, f 가 작을수록 전자파가 멀리 진행해간다.

 


2. 주어진 조건에서 송신전력 계산

  - Pt로 발사된 송신전파가 이상적인 진공 매질 상태에서 d[m] 떨어진 지점에서의 수신 전력 Pr은 다음과 같음

  - 달까지의 자유공간 손실

  - 달까지의 Link equation은

  - 수신전력이 10dBm이 되기 위한 송신전력[dBm] Pt[dB]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2. 스퓨리어스 복사 방지대책

   2.1 고조파

   2.2 저조파

   2.3 상호 변조(Inter modulation)

   2.4 기생 발진

 

 

 

 

1. 개요

  - 스퓨리어스 발사는 허가주파수대역외의 불요파 발사

  - 고조파 발사, 저조파 발사, 기생발진 및 상호 변조 등이 있음

  - 이러한 불요파가 발사되면 다른 방송이나 통신에 혼신 방해를 야기하기 때문에 전파법규에서 정한 스퓨리어스 발사 강도의 허용치를 초과하지 않아야 함

 

참조> 주기성 왜곡파는 기본 주파수 f 이외에 2f, 3f, 4f, ... 등 고조파(harmonics) 성분과 f/2, f/3, f/4,... 등 저조파 성분이 포함

 

2. 스퓨리어스 복사 방지대책

 2.1 고조파

    가. 원인

        - 증폭기의 비직선성에 의하여 생기는 찌그러짐이 원인이 됨 

 

<출처> http://www.rfdh.com/

        - 비선형 소자를 통과하고나면 위와 같이 원래 주파수의 배수에 해당하는 harmonic들이 튀어 나옴

        - 비선형소자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니고 있음

  

 

 

<출처> http://www.rfdh.com/

 

    나. 대책

        - 대출력 방송용 송신기(단파송신)의 양극 동조회로의 실효 Q를 높게 함

        - 안테나 결합단에 π형 결합회로 사용함(저역 여파기 역할로 스퓨리어스 제거 효과가 있음) 

        - 출력 증폭기로 Push-pull 증폭기를 사용(우수차 고조파 상쇄시킴)

 

 

<출처> http://www.rfdh.com/

 

π형 결합회로, trap회로   ????????????

 

   2.2 저조파

       가. 원인

          - 주파수 체배를 행하면 입력 주파수 성분이 출력에 생겨 저조파로 발사됨

          - 주파수 체배기

<출처> http://www.rfdh.com/

 

       나. 대책

          - 각 단간의 차폐를 완전히 함

          - 출력 결합회로의 실효 Q를 높임

          - 송신기 출력에 BPF나 Trap을 삽입하여 제거함

 

  2.3 상호 변조(Inter modulation)

     가. 상호 변조란

         - 복수의 전파가 증폭기 등 비직선성을 가진 회로에 입력된 경우, 입력주파수의 조합에 의해 새로운 주파수들이 발생하는 현상임

         - 비선형 소자를 통한 RF 신호처리 과정에서 두 개의 다른 입력 주파수 신호의 Harmonic 주파수들끼리의 합과 차로 조합된 출력 주파수 성분이 나오는 현상

<출처> http://www.rfdh.com/

 

        나. 대책 

          - 타국의 전파가 송신기에 들어오지 않도록 안테나의 배치나 지향성을 고려하여 안테나 상호간의 결합을 약하게 함

 

     2.4 기생 발진

        가. 발진이란

           - 원하지 않은 주파수 대역에서의 정체불명의 공진신호가 뜨는 경우

           - 출력성분이 입력성분으로 돌아갈 여지가 있는 feedback loop를 통해, 모종의 불안정 미세주파수성분이 결국 그 loop를 돌면서 gain을 가지고 하나의 뚜렷한 주파수출력 성분으로 나타나는 현상

<출처> http://www.rfdh.com/

 

       나. 대책

          - DC 바이어스 선로에 Bypass capacitor와 저항 삽입

          - 증폭단간 차폐를 완전하게 함

          - 부품의 접지를 완전하게 함

          - 회로의 배선을 되도록 짧게 함

          - 부품배치에 유의

       

 

 

참조>

http://www.rfdh.com/ 


 

'Wireless_Communication > 무선통신시스템' 카테고리의 다른 글

RF 측정기(Spectrum Analyser 등)  (1) 2015.09.19
Link budget  (2) 2015.09.19
무선수신기의 성능지표  (1) 2015.09.19
IMD(Inter-Modulation Distortion, 상호변조왜곡)  (0) 2015.09.19
EMC/EMI/EMS  (0) 2015.08.15
Posted by 둔탱이
,

1. 개요

2. 무선수신기의 성능지표

  2.1 감도(Sensitivity)

  2.2 선택도(Selectivity)

  2.3 충실도(Fidelity)

  2.4 안정도(Stability)

 

 

 

 

 

1. 개요

  - 무선수신기란 수신 공중선에 유기되는 무수한 신호 중 목적주파수를 선택하여 증폭한 후 복조하여 원래의 신호등으로 재현하는 장치를 말함

  - 무선수신기의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로는 감도, 선택도, 충실도, 안정도 등이 있음

 

2. 무선수신기의 성능지표

 2.1 감도(Sensitivity)

    - 감도는 무선수신기가 얼마만큼 미약한 전파까지 수신할 수 있는 가의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임

    - 수신기 입력에 신호전압을 가할 때, 정상적인 동작에 필요한 출력 또는 S/N을 얻기 위한 최소의 수신기 입력레벨로 감도를 표시함

    - 수신기의 감도는 내부잡음, 종합이득 등에 관계되기 때문에 증폭기의 이득이 크고, 내부잡음이 적을수록 수신기의 감도가 향상됨

 

 2.2 선택도(Selectivity)

    - 희망파 이외의 불요파를 얼마만큼 제거할 수 있는가의 능력을 선택도라고 함

    - 선택도 측정

        가. 1신호 선택도: 1개의 신호발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선택도

             - 근접 주파수 선택도: 중간주파 증폭기의 선택도(Q)에 따라 결정

             - 영상 주파수 선택도: 고주파 증폭기의 선택도(Q)에 의해 좌우

        나. 2신호 선택도(실효선택도): 2개의 신호 발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선택도

             - 희망 주파수로 동조시킬 경우 다른 주파수의 방해전파를 제거하는 능력

 

Background>

  실제로 무선수신기에서 RF에서 IF 주파수로 변환 후 Baseband로 내리는 이유는 선택도때문임

  선택도(Q)

   - 원하는 주파수 대역만 정확하게 골라낸다는 의미

 

    - 자기가 원하는 주파수 채널을 골라내기 위해서는 수신 받은 주파수를 Bandpass filtering해야 함

     - 이런 채널선택 과정을 수신된 RF 고주파수에서 하기는 무척 어려움(중심주파수가 무척 높아서 Q값이 매우 높은 필터를 사용해야함)

     - 하지만 IF 주파수 대역으로 내려서 처리하면 Q값은 작아짐

     - 결국 필터의 성능요구가 덜 심해지고, 채널 선택능력 개선됨 

http://www.rfdh.com/

영상주파수(Image Frequency>

 - 수신기 RF 증폭단이 비교적 광대역 주파수에 걸쳐 수신함에 따라, 믹서를 통과한 후에 음(-)의 중간주파수에 위치할 수 있는 원치 않는 주파수 성분

http://www.ktword.co.kr/

 2.3 충실도(Fidelity)

     - 전파된 통신 내용을 수신하였을 때 본래의 신호를 어느 정도 정확하게 재생시키느야 하는 능력을 표시하는 지표임

     - 충실도를 좌우하는 주요 요소로는 주파수 특성, 일그러짐, 잡음 등이 있음

     - 증폭기의 주파수 특성은 회로의 통과 대역폭과 그 대역 내의 이득 편차로 결정되며 주로 중간 주파 증폭기의 특성에 기여함

 

  2.4 안정도(Stability)

     - 안정도는 수신기에 일정한 주파수 및 진폭의 희망파를 가한 때에, 어느 정도 장시간 일정 출력이 얻어지는가의 능력을 표시하는 지표임

     - 수신기의 안정도는 국부발진기의 주파수 안정도로 결정

     - 높은 주파수 안정도가 얻어지는 PLL Synthesizer, 그리고 PLL Synthesizer의 안정도를 더욱 향상시킨 TCXO(Temperature Compensated Crystal Oscillator, 온도보상형 수정발진기)를 주로 사용

 


 

Posted by 둔탱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