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C
1. 개요
2. 통신 원리
3. 전력선 통신(PLC) 구성 개념
4. PLC 구분
4.1 사용 주파수에 의한 분류
4.2 사용 영역에 의한 구분
5. 전력선통신의 장단점
5.1 장점
5.2 단점
6. 모뎀 개발 동향
7. 결론 및 동향
1. 개요
- 전력선 통신(PLC:Power Line Communication)은 전력선을 매체로 하여 전력선의 전원파형(60Hz)에 디지털 정보를 실어서 전송하는 통신방식
2. 통신 원리
- 전력선을 통신선으로 사용하여 전원과 통신신호를 다중화하여 동시에 전송(FDM의 원리)
- 전원(60Hz)+통신신호(수십kHz~수MHz, 고주파신호)
3. 전력선 통신(PLC) 구성 개념
- AC220 또는 100V 저압 전력선을 사용하는 가정은 건물 외부의 변압기에서 옥내의 분전반을 거쳐 콘센트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음
- 최종 사용자는 PLC modem을 플러그를 통해 콘센트에 연결, 이는 다시 분전반에 위치한 PLC 게이트웨이에 연결되고 최종적으로 변압기에 위치한 PLC router를 거쳐 인터텟 백본에 연결됨으로써 인터넷 접속이 가능함
- PLC router: 인터넷 백본망과 연결하기위해 전주에 설치되는 장비
- PLC modem: 전기신호를 통신신호로 변/복조하는 장치
4. PLC 구분
4.1 사용 주파수에 의한 분류
구분 | 저속 PLC | 고속 PLC |
속도 | ~9600bps | 1Mbps 이상 |
주파수 | 10~450kHz | 2~30MHz |
용도 | - 홈네트워킹, 홈오토메이션 - 수용가 원격검침, DLC(Direct Load Control) |
- 고속일수록 광대역이 소요됨 - 고속 가입자망 |
4.2 사용 영역에 의한 구분
5. 전력선통신의 장단점
5.1 장점
- 별도의 통신선로 불필요(저렴한 설치비용)
- 설치가 용이
- 콘센트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접근 가능
- 다양한 응용시장 하부 네트워크 가능
5.2 단점
- 제한된 전송 전력
- 높은 부하 간섭과 잡음
- 가변하는 신호 감쇄 임피던스 특성
- 주파수 선택적 특성
- 표준화 부재
- 국가마다 다른 전력 계통 구성
6. 모뎀 개발 동향
7. 결론 및 동향
- PLC는 기술적, 경제적인 측면에서 절대적 비교우위를 확보하지 못하나 가입자망 구성을 위해 신규 선로 포설이 어렵고, 한 변압기에 수용된 가구수가 많을 경우 경제성이 있을 것임
- 완전한 고속 Access용 PLC는 아직 상용화된 곳이 없으며 기존 가입자망 기술의 적용이 불가능한 지역, 전화 보급율이 낮은 개발도상국의 전화 서비스등에는 제한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 미국의 경우 홈네트워크를 지향하고 있고 2~3년 후 정보가전 시장이 커질 경우 홈 네트워크의 한 가지 기술로 위치를 확보할 것으로 예상됨
- 전력 IT의 활성화를 촉진할 수 있는 가입자망으로 기대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