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ltimedia/차세대방송

차세대 모바일 방송 구현(LDM)

둔탱이 2015. 12. 2. 17:55

1. 개요

2. LDM

3. Transmitter/Receiver 구조

4. FDM/TDM/LDM 비교

 

 

 

1. 개요

 - 현재의 방송시스템은 모바일 방송을 지원하지 못하고,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적응력이 떨어지는 한계를 보이고 있음

 -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스펙트럼의 효율을 높이고 유연한 스펙트럼 사용을 지원하는 기술이 LDM

 - ATSC 3.0의 물리계층 기술로 채택

 

2. LDM

 - LDM(Layered Division Multiplexing)

 - 여러 개의 스트림데이터를 하나의 RF채널에서 전송하기 위해 스펙트럼을 중첩시키는 기술

 - 각 스트림 데이터는 각각 다른 파워레벨, 채널코딩, 변조기법을 갖음

 - 하나의 RF 채널에서 4K UHD 및 이동 HD 서비스를 동시에 지원

 - 차후에 더 많은 계층을 올릴 수 있음

 Layer

 내용

 Upper Layer

 SNR threshold가 0에 근접

 모바일 서비스

 Lower Layer

 Upper layer 보다 약 3dB~6dB 아래 중첩

 다채널 HD 또는 UHD 방송

 고정 수신

 

 

3. Transmitter/Receiver 구조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qkrtmddn10&logNo=220473262501

 

 

 

4. FDM/TDM/LDM 비교

 - 각 진영 별 서로 다른 방식을 이용한 모바일 방송 구현

 - DVB-T2: TDM 방식 이용

 - ATSC 3.0: LDM 방식 이용

 - ISDB: FDM 방식 이용

 

 

 5. DVB-T2의 다채널 구현 방식

   - Multiple PLP(Physical Layer Pipes)

  - 모든 PLP는 개별적으로 변조, FEC 코드레이트 및 인터리빙 가능

  - 하나의 DVB-T2 채널로 모든 PLP는 같은 주파수로 방송

  - TDM 방식임

 

  - Block Diagram

 

 

 

 

 

http://www.ldm-tech.com/index.php/basics/benefits/

LDM-presentation.pdf